목차
화보
간행사 / 고령군수 이태근
죽유(竹유) 오운(吳澐)-강좌(江左)와 강우(江右) 문화의 융합자- / 허권수 = 17
Ⅰ. 도언(導言) = 17
Ⅱ. 죽유(竹유)의 사행(事行) = 18
Ⅲ. 영남(嶺南) 재지사족(在地士族)과의 관계 = 26
Ⅳ. 사우관계(師友關係) = 27
Ⅴ. 학문과 문학 = 31
Ⅵ. 죽유와 임진왜란 = 35
Ⅶ. 결언(結言) = 36
『동사찬요』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 / 박인호 = 43
1. 머리말 = 43
2. 『동사찬요』의 편찬과 간행 = 45
1) 봉진본 = 45
2) 8권본 = 46
3) 11권본 = 48
4) 12권본 = 51
5) 16권본 = 53
3. 『동사찬요』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 56
1) 상고사의 체계에 대한 인식 = 56
2) 역사지리에 대한 인식 = 60
4. 맺음말-사학사적 의의 = 69
竹유 吳澐 宗孫家의 社會經濟的 基盤-准戶口, 分財記 分析을 중심으로- / 金容晩 = 75
Ⅰ. 서론-종가소장 고문서 = 75
Ⅱ. 오운 종가의 世系 = 77
Ⅲ. 准戶口에 나타난 가족구성과 노비의 존재형태 = 80
Ⅳ. 分財記에 나타난 재산의 소유 및 분재형태 = 98
Ⅴ. 결론 = 112
16세기 嶺南士林의 分化와 吳澐의 역할 / 薛錫圭 = 119
1. 머리말 = 119
2. 嶺南士林의 分化 = 121
3. 吳澐의 학문경향과 현실대응 자세 = 135
1) 학문연원과 경향 = 135
2) 현실인식과 대응자세 = 145
4. 맺음말 = 157
吳澐의 詩世界에 나타난 興과 浪漫主義的 性格 / 鄭羽洛 = 163
1. 문제의 성격 = 163
2. 독서경향과 문학정신 = 169
3. 사물 인식방법과 興의 구조 = 179
4. 시세계의 낭만주의적 성격 = 188
5. 새로운 모색 = 199
부록
죽유오선생행장(竹유吳先生行狀) = 207
죽유선생연보(竹유先生年譜) = 217
종합토론 녹취록 = 223
화보
간행사 / 고령군수 이태근
죽유(竹유) 오운(吳澐)-강좌(江左)와 강우(江右) 문화의 융합자- / 허권수 = 17
Ⅰ. 도언(導言) = 17
Ⅱ. 죽유(竹유)의 사행(事行) = 18
Ⅲ. 영남(嶺南) 재지사족(在地士族)과의 관계 = 26
Ⅳ. 사우관계(師友關係) = 27
Ⅴ. 학문과 문학 = 31
Ⅵ. 죽유와 임진왜란 = 35
Ⅶ. 결언(結言) = 36
『동사찬요』에 나타난 오운의 역사지리인식 / 박인호 = 43
1. 머리말 = 43
2. 『동사찬요』의 편찬과 간행 = 45
1) 봉진본 = 45
2) 8권본 = 46
3) 11권본 = 48
4) 12권본 = 51
5) 16권본 = 53
3. 『동사찬요』에 나타난 역사지리인식 = 56
1) 상고사의 체계에 대한 인식 = 56
2) 역사지리에 대한 인식 = 60
4. 맺음말-사학사적 의의 = 69
竹유 吳澐 宗孫家의 社會經濟的 基盤-准戶口, 分財記 分析을 중심으로- / 金容晩 = 75
Ⅰ. 서론-종가소장 고문서 = 75
Ⅱ. 오운 종가의 世系 = 77
Ⅲ. 准戶口에 나타난 가족구성과 노비의 존재형태 = 80
Ⅳ. 分財記에 나타난 재산의 소유 및 분재형태 = 98
Ⅴ. 결론 = 112
16세기 嶺南士林의 分化와 吳澐의 역할 / 薛錫圭 = 119
1. 머리말 = 119
2. 嶺南士林의 分化 = 121
3. 吳澐의 학문경향과 현실대응 자세 = 135
1) 학문연원과 경향 = 135
2) 현실인식과 대응자세 = 145
4. 맺음말 = 157
吳澐의 詩世界에 나타난 興과 浪漫主義的 性格 / 鄭羽洛 = 163
1. 문제의 성격 = 163
2. 독서경향과 문학정신 = 169
3. 사물 인식방법과 興의 구조 = 179
4. 시세계의 낭만주의적 성격 = 188
5. 새로운 모색 = 199
부록
죽유오선생행장(竹유吳先生行狀) = 207
죽유선생연보(竹유先生年譜) = 217
종합토론 녹취록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