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국어 교사의 교과 전문성을 위하여 = 5
제1장 국어과 수업 관련 주요 용어 및 개념
개요 = 24
문제 상황 = 24
관점 갖기 = 25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5
1. 수업, 교수, 학습 = 26
2.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 = 29
3.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 30
4. 국어과 교수ㆍ학습 기법 = 33
교사를 위한 안내 = 34
탐구 활동 = 35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6
제2장 다양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요 = 38
문제 상황 = 38
관점 갖기 = 39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9
1. 정보 처리 모형 = 41
2. 사회적 모형 = 47
3. 개인적 모형 = 54
4. 행동주의 모형 = 57
교사를 위한 안내 = 61
탐구 활동 = 6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64
제3장 국어과 수업 설계의 원리
개요 = 66
문제 상황 = 66
관점 갖기 = 6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67
1. 국어과 수업의 설계 = 68
2. 국어 수업 설계와 주요 변인 = 72
3. 교수ㆍ학습 모형의 선택 기준 = 75
4. 교수ㆍ학습 모형의 적용 원리 = 76
교사를 위한 안내 = 79
탐구 활동 = 80
참고할 만한 자료들 = 83
제4장 교재와 수업
개요 = 86
문제 상황 = 86
관점 갖기 = 8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87
1. 교재의 특징 = 89
2. 교과서의 성격과 기능 = 91
3. 교과서 단원의 재구성 = 95
4. 수업의 성격과 의사소통 = 99
5. 수업 맥락의 분석틀과 사례 = 104
6. 수업 대화의 맥락적 특징과 그 규칙 = 108
7. 수업 대화 중 교사의 질문 차원과 유의 사항 = 111
교사를 위한 안내 = 112
탐구 활동 = 113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14
제5장 말하기ㆍ듣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16
문제 상황 = 116
관점 갖기 = 11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17
1. 말하기ㆍ듣기 수업의 특성 = 121
2. 말하기ㆍ듣기 수업 상황 = 122
3. 말하기ㆍ듣기 교수ㆍ학습 방법의 유형 = 125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130
5. 단계별 듣기 활동 중심의 말하기ㆍ듣기 수업 = 132
6. 토론을 위한 말하기ㆍ듣기 수업 = 142
교사를 위한 안내 = 153
탐구 활동 = 154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56
제6장 읽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58
문제 상황 = 158
관점 갖기 = 159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59
1. 읽기 교육의 동향과 강조점 = 160
2. 읽기 교육의 원리 = 161
3. 수업 준비의 유의점 = 166
4. 현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기능 중심 읽기 수업 = 167
5. 총체적 언어 교육을 활용한 의미 중심 읽기 수업 = 171
6. 사고력 신장을 위한 주제 중심 읽기 수업 = 176
교사를 위한 안내 = 186
탐구 활동 = 187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88
제7장 쓰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90
문제 상황 = 190
관점 갖기 = 191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91
1. 쓰기 교육의 동향 = 193
2.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197
3. 쓰기 워크숍 : 협의 중심 쓰기 지도 = 212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221
5. 직접 교수법을 적용한 쓰기 전략과 기능 지도 수업 = 224
6. 쓰기 워크숍 활동 수업 = 231
7. 출판 프로젝트 = 236
교사를 위한 안내 = 241
탐구 활동 = 24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243
제8장 문법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246
문제 상황 = 246
관점 갖기 = 248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48
1. 문법 지식의 교육적 접근 양상과 그 시사점 = 250
2. 문법 지식의 학습 현상과 과정 = 251
3.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현상 = 254
4. 학습자의 문법 지식 활용 양상 = 257
5. 문법 지식의 교수ㆍ학습 방법과 과정 = 260
6. 수업 준비의 유의점 = 260
7. 설명 중심 문법 수업 = 262
8. 탐구 중심 문법 수업 = 268
9. 통합 중심 문법 수업 = 274
교사를 위한 안내 = 278
탐구 활동 = 279
참고할 만한 자료들 = 281
제9장 문학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284
문제 상황 = 284
관점 갖기 = 286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86
1. 문학 교수ㆍ학습의 특성 및 방향 = 288
2. 주체로서의 문학 독자에 주목하는 까닭 = 291
3. '반응'과 대화'를 중심으로 한 교수ㆍ학습 = 292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00
5. 반응 중심 문학 수업 = 301
6. 대화 중심 문학 수업 = 309
7. 문학 감상 프로그램 = 318
교사를 위한 안내 = 323
탐구 활동 = 324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28
제10장 문화ㆍ매체 문식성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330
문제 상황 = 330
관점 갖기 = 331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31
1. 문화ㆍ매체 문식성 교육의 방향과 과정 = 334
2. 문화ㆍ매체의 유형과 수업을 위한 고려 = 336
3. 교실 안과 교실 밖의 교육적 상호작용 = 338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41
5. 비교 매체 수업 = 342
6. 스토리텔링 수업 = 350
7. 매체 제작 프로젝트 = 357
교사를 위한 안내 = 361
탐구 활동 = 36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63
제11장 통합적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366
문제 상황 = 366
관점 갖기 = 36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67
1. 통합적 교수ㆍ학습의 필요성 = 368
2. 통합적 교수 학습의 방향 및 원리 = 370
3.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73
4. '쓰기'와 '매체언어'의 통합 수업 = 374
5. 문학 사전 제작 수업 = 384
교사를 위한 안내 = 386
탐구 활동 = 387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89
제12장 국어과 수업의 계획과 평가
개요 = 392
문제 상황 = 392
관점 갖기 = 393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93
1.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설계와 작성 = 397
2. 수업 평가의 절차와 방법 = 408
3. 좋은 수업의 요건 = 417
교사를 위한 안내 = 419
탐구 활동 = 420
참고할 만한 자료들 = 421
참고문헌 = 423
찾아보기 = 437
인명 찾아보기 = 443
서문 : 국어 교사의 교과 전문성을 위하여 = 5
제1장 국어과 수업 관련 주요 용어 및 개념
개요 = 24
문제 상황 = 24
관점 갖기 = 25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5
1. 수업, 교수, 학습 = 26
2.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 = 29
3.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 30
4. 국어과 교수ㆍ학습 기법 = 33
교사를 위한 안내 = 34
탐구 활동 = 35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6
제2장 다양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요 = 38
문제 상황 = 38
관점 갖기 = 39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9
1. 정보 처리 모형 = 41
2. 사회적 모형 = 47
3. 개인적 모형 = 54
4. 행동주의 모형 = 57
교사를 위한 안내 = 61
탐구 활동 = 6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64
제3장 국어과 수업 설계의 원리
개요 = 66
문제 상황 = 66
관점 갖기 = 6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67
1. 국어과 수업의 설계 = 68
2. 국어 수업 설계와 주요 변인 = 72
3. 교수ㆍ학습 모형의 선택 기준 = 75
4. 교수ㆍ학습 모형의 적용 원리 = 76
교사를 위한 안내 = 79
탐구 활동 = 80
참고할 만한 자료들 = 83
제4장 교재와 수업
개요 = 86
문제 상황 = 86
관점 갖기 = 8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87
1. 교재의 특징 = 89
2. 교과서의 성격과 기능 = 91
3. 교과서 단원의 재구성 = 95
4. 수업의 성격과 의사소통 = 99
5. 수업 맥락의 분석틀과 사례 = 104
6. 수업 대화의 맥락적 특징과 그 규칙 = 108
7. 수업 대화 중 교사의 질문 차원과 유의 사항 = 111
교사를 위한 안내 = 112
탐구 활동 = 113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14
제5장 말하기ㆍ듣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16
문제 상황 = 116
관점 갖기 = 11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17
1. 말하기ㆍ듣기 수업의 특성 = 121
2. 말하기ㆍ듣기 수업 상황 = 122
3. 말하기ㆍ듣기 교수ㆍ학습 방법의 유형 = 125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130
5. 단계별 듣기 활동 중심의 말하기ㆍ듣기 수업 = 132
6. 토론을 위한 말하기ㆍ듣기 수업 = 142
교사를 위한 안내 = 153
탐구 활동 = 154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56
제6장 읽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58
문제 상황 = 158
관점 갖기 = 159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59
1. 읽기 교육의 동향과 강조점 = 160
2. 읽기 교육의 원리 = 161
3. 수업 준비의 유의점 = 166
4. 현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기능 중심 읽기 수업 = 167
5. 총체적 언어 교육을 활용한 의미 중심 읽기 수업 = 171
6. 사고력 신장을 위한 주제 중심 읽기 수업 = 176
교사를 위한 안내 = 186
탐구 활동 = 187
참고할 만한 자료들 = 188
제7장 쓰기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190
문제 상황 = 190
관점 갖기 = 191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191
1. 쓰기 교육의 동향 = 193
2.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197
3. 쓰기 워크숍 : 협의 중심 쓰기 지도 = 212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221
5. 직접 교수법을 적용한 쓰기 전략과 기능 지도 수업 = 224
6. 쓰기 워크숍 활동 수업 = 231
7. 출판 프로젝트 = 236
교사를 위한 안내 = 241
탐구 활동 = 24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243
제8장 문법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246
문제 상황 = 246
관점 갖기 = 248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48
1. 문법 지식의 교육적 접근 양상과 그 시사점 = 250
2. 문법 지식의 학습 현상과 과정 = 251
3.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현상 = 254
4. 학습자의 문법 지식 활용 양상 = 257
5. 문법 지식의 교수ㆍ학습 방법과 과정 = 260
6. 수업 준비의 유의점 = 260
7. 설명 중심 문법 수업 = 262
8. 탐구 중심 문법 수업 = 268
9. 통합 중심 문법 수업 = 274
교사를 위한 안내 = 278
탐구 활동 = 279
참고할 만한 자료들 = 281
제9장 문학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284
문제 상황 = 284
관점 갖기 = 286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286
1. 문학 교수ㆍ학습의 특성 및 방향 = 288
2. 주체로서의 문학 독자에 주목하는 까닭 = 291
3. '반응'과 대화'를 중심으로 한 교수ㆍ학습 = 292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00
5. 반응 중심 문학 수업 = 301
6. 대화 중심 문학 수업 = 309
7. 문학 감상 프로그램 = 318
교사를 위한 안내 = 323
탐구 활동 = 324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28
제10장 문화ㆍ매체 문식성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330
문제 상황 = 330
관점 갖기 = 331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31
1. 문화ㆍ매체 문식성 교육의 방향과 과정 = 334
2. 문화ㆍ매체의 유형과 수업을 위한 고려 = 336
3. 교실 안과 교실 밖의 교육적 상호작용 = 338
4.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41
5. 비교 매체 수업 = 342
6. 스토리텔링 수업 = 350
7. 매체 제작 프로젝트 = 357
교사를 위한 안내 = 361
탐구 활동 = 362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63
제11장 통합적 교수ㆍ학습 방법
개요 = 366
문제 상황 = 366
관점 갖기 = 367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67
1. 통합적 교수ㆍ학습의 필요성 = 368
2. 통합적 교수 학습의 방향 및 원리 = 370
3. 수업 준비의 유의점 = 373
4. '쓰기'와 '매체언어'의 통합 수업 = 374
5. 문학 사전 제작 수업 = 384
교사를 위한 안내 = 386
탐구 활동 = 387
참고할 만한 자료들 = 389
제12장 국어과 수업의 계획과 평가
개요 = 392
문제 상황 = 392
관점 갖기 = 393
알아 두어야 할 주요 개념들 = 393
1.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설계와 작성 = 397
2. 수업 평가의 절차와 방법 = 408
3. 좋은 수업의 요건 = 417
교사를 위한 안내 = 419
탐구 활동 = 420
참고할 만한 자료들 = 421
참고문헌 = 423
찾아보기 = 437
인명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