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어 교육과정론 / 손성희 = 1
Ⅰ.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 = 2
Ⅱ.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8
제2장 한국어 교수 설계 / 조현선 = 23
Ⅰ. 교수 설계의 의미 = 23
Ⅱ. 교안 작성의 원리 = 24
Ⅲ. 평가 = 32
Ⅳ. 교안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 33
Ⅴ. 교안의 개요 = 33
Ⅵ. 교안의 실제 형식 = 34
Ⅶ. 결론 = 41
제3장 한국어 발음 교육론 / 전나영 = 45
Ⅰ. 발음 지도의 필요성 = 45
Ⅱ. 발음 지도의 내용 = 47
Ⅲ. 발음 지도의 단계= 46
Ⅳ. 모음 발음 = 51
Ⅴ. 자음 발음 = 60
Ⅵ. 운율 자질 = 68
Ⅶ. 음운 변동 = 69
제4장 한국어 어휘 교육론 / 정희정 = 79
Ⅰ. 어휘로 무엇을 하는가? = 79
Ⅱ. 어휘를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 80
Ⅲ. 어떤 어휘부터 가르치는가? = 83
Ⅳ. 어휘를 교육할 때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가 = 86
Ⅴ. 어휘는 어떻게 제시하는가 = 87
Ⅵ. 어휘는 어떻게 연습하는가? = 90
Ⅶ. 어휘를 어떻게 사용하게 하는가? = 98
제5장 한국어 문법 교육론 / 김제열 = 105
Ⅰ. 문법 교육의 방향 = 105
Ⅱ.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 110
Ⅲ. 문법 교육의 원리 = 112
Ⅳ. 문법 교육의 방법 = 113
Ⅴ. 문법 수업의 구성 방안 = 120
제6장 한국어 이해 교육론 / 한송화 = 145
Ⅰ. 들어가기 = 145
Ⅱ. 듣기 이해 교육론 = 146
Ⅲ. 읽기 이해 교육론 = 172
제7장 한국어 표현 교육론 / 곽지영 = 205
Ⅰ. 들어가기 = 205
Ⅱ. 말하기 = 206
Ⅲ. 쓰기 = 246
Ⅳ. 마무리 = 274
제8장 한국 문화 교육론 / 한상미 = 279
Ⅰ. 서론 = 279
Ⅱ. 문화 교육의 내용 = 284
Ⅲ. 문화 교육의 방법 = 295
Ⅳ. 문화 교육의 결과 = 304
Ⅴ. 마무리 = 306
제9장 한국어 평가론 / 김미옥 = 313
Ⅰ. 머리말 = 313
Ⅱ. 평가의 정의와 기능 = 314
Ⅲ. 평가의 유형 = 315
Ⅳ. 평가 도구의 조건 = 320
Ⅴ.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 323
Ⅵ. 기능별 평가 = 325
Ⅶ. 수행 평가 = 357
Ⅷ. 한국어 능력 평가 = 359
제10장 한국어 교재론 / 황인교 = 369
Ⅰ. 언어 교육과 교재 = 369
Ⅱ. 한국어 교육과 교재 = 370
Ⅲ. 교수 학습과 한국어 교재 = 375
Ⅳ. 교재 개발 = 382
Ⅴ. 교재 개발의 실제 = 386
Ⅵ. 교재 평가 = 401
머리말
제1장 한국어 교육과정론 / 손성희 = 1
Ⅰ.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 = 2
Ⅱ.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8
제2장 한국어 교수 설계 / 조현선 = 23
Ⅰ. 교수 설계의 의미 = 23
Ⅱ. 교안 작성의 원리 = 24
Ⅲ. 평가 = 32
Ⅳ. 교안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 33
Ⅴ. 교안의 개요 = 33
Ⅵ. 교안의 실제 형식 = 34
Ⅶ. 결론 = 41
제3장 한국어 발음 교육론 / 전나영 = 45
Ⅰ. 발음 지도의 필요성 = 45
Ⅱ. 발음 지도의 내용 = 47
Ⅲ. 발음 지도의 단계= 46
Ⅳ. 모음 발음 = 51
Ⅴ. 자음 발음 = 60
Ⅵ. 운율 자질 = 68
Ⅶ. 음운 변동 = 69
제4장 한국어 어휘 교육론 / 정희정 = 79
Ⅰ. 어휘로 무엇을 하는가? = 79
Ⅱ. 어휘를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 80
Ⅲ. 어떤 어휘부터 가르치는가? = 83
Ⅳ. 어휘를 교육할 때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가 = 86
Ⅴ. 어휘는 어떻게 제시하는가 = 87
Ⅵ. 어휘는 어떻게 연습하는가? = 90
Ⅶ. 어휘를 어떻게 사용하게 하는가? = 98
제5장 한국어 문법 교육론 / 김제열 = 105
Ⅰ. 문법 교육의 방향 = 105
Ⅱ.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 110
Ⅲ. 문법 교육의 원리 = 112
Ⅳ. 문법 교육의 방법 = 113
Ⅴ. 문법 수업의 구성 방안 = 120
제6장 한국어 이해 교육론 / 한송화 = 145
Ⅰ. 들어가기 = 145
Ⅱ. 듣기 이해 교육론 = 146
Ⅲ. 읽기 이해 교육론 = 172
제7장 한국어 표현 교육론 / 곽지영 = 205
Ⅰ. 들어가기 = 205
Ⅱ. 말하기 = 206
Ⅲ. 쓰기 = 246
Ⅳ. 마무리 = 274
제8장 한국 문화 교육론 / 한상미 = 279
Ⅰ. 서론 = 279
Ⅱ. 문화 교육의 내용 = 284
Ⅲ. 문화 교육의 방법 = 295
Ⅳ. 문화 교육의 결과 = 304
Ⅴ. 마무리 = 306
제9장 한국어 평가론 / 김미옥 = 313
Ⅰ. 머리말 = 313
Ⅱ. 평가의 정의와 기능 = 314
Ⅲ. 평가의 유형 = 315
Ⅳ. 평가 도구의 조건 = 320
Ⅴ.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 323
Ⅵ. 기능별 평가 = 325
Ⅶ. 수행 평가 = 357
Ⅷ. 한국어 능력 평가 = 359
제10장 한국어 교재론 / 황인교 = 369
Ⅰ. 언어 교육과 교재 = 369
Ⅱ. 한국어 교육과 교재 = 370
Ⅲ. 교수 학습과 한국어 교재 = 375
Ⅳ. 교재 개발 = 382
Ⅴ. 교재 개발의 실제 = 386
Ⅵ. 교재 평가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