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증보판 서문 = 13
서문 = 24
제1장 정치철학과 철학
1. 탐구 형식으로서 정치철학 = 26
2. 형식과 실질 = 29
3. 정치적 사유와 정치적 제도 = 33
4. 정치철학과 정치적인 것 = 35
5. 정치철학의 용어 = 41
6. 비전과 정치적 상상력 = 50
7. 정치적 개념과 정치적 현상 = 55
8. 담론의 전통 = 56
9. 전통과 혁신 = 59
제2장 플라톤: 정치철학 대 정치
1. 정치철학의 발명 = 66
2. 철학과 사회 = 75
3. 정치와 지식 체계론 = 83
4. 사심 없는 도구를 찾아서 = 99
5. 권력의 문제 = 105
6. 정치적 지식과 정치 참여 = 110
7. 통일성의 한계 = 117
8. 플라톤의 모호성 = 122
제3장 제국의 시대: 공간과 공동체
1. 정치적인 것의 위기 = 126
2. 공간의 새로운 차원 = 130
3. 시민됨과 이탈 = 139
4. 정치와 로마 공화정 = 147
5. 이익의 정치 = 154
6. 정치적 결사에서 권력 조직으로 = 159
7. 정치철학의 쇠퇴 = 164
제4장 초기 기독교 시대: 시간과 공동체
1. 초기 기독교에서 정치적 요소: 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관념 = 166
2. 정체로서의 교회: 정치 질서에 대한 도전 = 182
3. 교회-사회에서 정치와 권력 = 195
4. 정치화된 종교의 당혹스러움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과제 = 204
5. 재강조된 교회-사회의 정체성: 시간과 운명 = 210
6. 정치사회와 교회-사회 = 216
7. 종교의 언어와 정치의 언어: 중세 기독교 사상에 대한 보충 설명 = 223
제5장 루터: 신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1. 정치 신학 = 236
2. 루터 사상의 정치적 요소 = 239
3. 제도에 대한 불신 = 252
4. 정치적 질서의 지위 = 258
5. 균형추 없는 정치 질서 = 264
6. 단순 소박함의 열매 = 269
제6장 칼빈: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적 교육
1. 질서의 위기와 시민성의 위기 = 273
2. 칼빈 사상의 정치적 특성 = 278
3. 교회 정부의 정치 이론 = 290
4. 정치적 질서의 복원 = 294
5. 정치적 지식 = 301
6. 정치적 직분 = 304
7. 권력과 공동체 = 310
옮기고 나서 = 319
주석 = 345
찾아보기 = 383
제7장 마키아벨리: 정치 그리고 폭력의 경제
1. 정치 이론의 자율성
2. 정치 이론가의 헌신
3. 정치의 본성과 새로운 학문의 범주
4. 정치적 공간과 정치적 행위
5. 폭력의 경제
6. 윤리: 정치의 윤리와 사적인 윤리
7. 대중의 발견
8. 정치와 영혼
제8장 홉스: 규칙의 체계로서의 정치사회
1. 정치적 창의성의 부활
2. 정치철학과 과학혁명
3. 정치철학의 약속
4. 정치적 언어: 참여자의 범위 문제
5. 정치적 엔트로피: 자연 상태
6. 주권적 규정자
7. 공동체(성)를 결여한 권력
8. 이익과 대표
9. 힘의 영역으로서의 정치
제9장 자유주의와 정치철학의 쇠락
1.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2. 자유주의 그리고 철학의 차분함
3. 경제 이론의 정치적 주장
4. 정치적 권위의 실추: 사회의 발견
5. 사회와 정부: 자발성 대 강제
6. 자유주의와 불안
7. 쾌락 원칙을 넘어서: 고통의 문제
8. 자유주의와 도덕적 판단: 양심에서 이익으로
9. 자유주의와 순응성: 사회화된 양심
제10장 조직(화)의 시대 그리고 정치의 승화
1. 조직(화)의 시대
2. 담론의 전통 확인하기
3. 조직과 공동체
4. 루소: 공동체의 관념
5. 자유와 비인격적 의존
6. 생-시몽: 조직(화)의 관념
7. 조직 이론과 방법론: 약간의 유사성들
8. 조직, 방법, 그리고 헌정주의 이론
9. 조직의 공동체적 가치
10. 경제적 합리주의에 대한 공격
11. 조직 이론: 합리주의 대 조직화
12. 정치적인 것에 대한 공격
13. 엘리트와 대중: 조직(화)의 시대의 행위
14. 결론
제11장 근대 권력에서 탈근대 권력으로
1. 과거의 '죽음'에 대한 축하
2. 권력에 대한 베이컨적인 비전
3. 정신과 방법의 계발
4. 실현된 근대 권력
5. 근대 권력과 그 구성 요소들
6. 권력의 봉쇄
제12장 마르크스: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치경제학자인가 아니면 붕괴되지 않는 자본주의의 이론가인가?
1. 마르크스와 니체: 경제 혹은 문화?
2. 마르크스와 이론적 소명
3. 마르크스와 민주주의의 관념
4. 민주주의 관념을 통한 작업
5. 이론의 힘
6. 경제의 정치: 1844년 수고
7. 권력의 역사적 기원
8. 권력, 강제력, 폭력
9. 드러난 근대 권력
10. 마르크스와 로크: 평행하는 서사
11. 권력의 소외
12. 정치적 행위자로서 노동자
13. 자본주의와 노동계급의 정치적 형성
14. 자본: 모순과 위기
15. 자본의 권력 체계의 승계
16. 정치의 위상
17. 독재의 문제
18. 파리 코뮌
19. 예견되는 정치의 종언
20. 탈정치의 옹호
21. 자본주의자에 대한 평가절하
제13장 니체: 선(先)전체주의 그리고 탈근대주의
1. 경제에서 문화로
2. "어떤 사람은 사후에 태어난다"
3. 신-니체주의자
4. 형식으로서 전체주의
5. 니체: 정치 이론가?
6. 반도덕주의자로서 이론가
7. 비판적 전체주의의 정치
8. 비상한 것 대 정상적인 것
9. 전체주의의 동학
10. 퇴폐의 근절
11. 문화 전쟁
12. 허무주의의 위기
13. 심미주의자와 대중
14. 문화의 정치
15. 새로운 엘리트
16. 반-이론의 이론
17. 신화의 재발견
18. 대중의 형성
19. 신화와 이론
20. 새로운 디오니시우스 찾기
21. 정치 분석가로서 니체
22. 20세기의 권력에의 의지
제14장 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주의의 정치
1. 포퍼, 듀이, 롤즈: 자유주의의 재조명
2. 닫힌 사회
3. 열린 사회
4. 드러나는 모호성에 대한 단서
5. 듀이: 정치 이론가로서 철학자
6. 베이컨의 부활
7. 권력에 대한 교육
8. 민주주의의 수단: 교육
9. 민주주의와 경제
10. 경제를 둘러싼 경합
11. 공중의 관념
12. 위대한 사회와 위대한 공동체
13. 모범적인 민주주의로서의 과학적 공동체
14. 사라지는 과학의 아우라
15. 전체주의와 기술
16. 전체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반동
17. 민주주의의 부활?
제15장 자유주의 정의와 정치적 민주주의
1. 수세적인 자유주의
2. 자유와 평등: 자유주의의 딜레마
3. 롤즈와 정치철학의 부활
4. 경제와 정치경제
5. 정의와 불평등
6. "원초적 입장"과 계약 이론의 전통
7. 자유주의와 정치적인 것
8. 자유주의에 대한 롤즈의 계보학
9. 자유주의의 합당성
10. 포괄적 교리의 위협
11. 자유주의적 정치 문화
12. 자유주의와 통치
13. 냉전시대의 산자유주의
제16장 권력과 형식
1. 낡은 정치적 형식과 새로운 정치적 형식
2. 초강대국과 테러
3. 근대 권력과 탈근대 권력
4. 정치경제: 새로운 공공 철학
5. 붕괴된 공산주의와 붕괴되지 않는 자본주의
6. 정치경제와 탈근대주의
7. 정치적인 것 그리고 그 매개체의 부재
8. 과학의 탈신화화
9. 합리적인 정치학
10. 정치학과 정치제도
11. 국가의 오디세이: 복지국가에서 초강대국으로
12. 동요하는 비전
13. 전체성을 향하여
제17장 탈근대 민주주의: 가상적인가 아니면 탈주적인가?
1. 탈근대 문화와 탈근대 권력
2. 변형된 니체주의적 비관주의
3. 소우주로서의 자아
4. 원심적인 것과 구심적인 것
5. 구심적인 권력
6. 기업의 정치적 진화
7. 제국과 제국의 시민
8. 초강대국과 전도된 전체주의
9. 초강대국의 한계?
10. 정치적 기회의 땅
11. 자본과 민주주의
12. 위기에 처한 민주주의
13. 탈대의적 정치
14. 탈주적인 민주주의
증보판 서문 = 13
서문 = 24
제1장 정치철학과 철학
1. 탐구 형식으로서 정치철학 = 26
2. 형식과 실질 = 29
3. 정치적 사유와 정치적 제도 = 33
4. 정치철학과 정치적인 것 = 35
5. 정치철학의 용어 = 41
6. 비전과 정치적 상상력 = 50
7. 정치적 개념과 정치적 현상 = 55
8. 담론의 전통 = 56
9. 전통과 혁신 = 59
제2장 플라톤: 정치철학 대 정치
1. 정치철학의 발명 = 66
2. 철학과 사회 = 75
3. 정치와 지식 체계론 = 83
4. 사심 없는 도구를 찾아서 = 99
5. 권력의 문제 = 105
6. 정치적 지식과 정치 참여 = 110
7. 통일성의 한계 = 117
8. 플라톤의 모호성 = 122
제3장 제국의 시대: 공간과 공동체
1. 정치적인 것의 위기 = 126
2. 공간의 새로운 차원 = 130
3. 시민됨과 이탈 = 139
4. 정치와 로마 공화정 = 147
5. 이익의 정치 = 154
6. 정치적 결사에서 권력 조직으로 = 159
7. 정치철학의 쇠퇴 = 164
제4장 초기 기독교 시대: 시간과 공동체
1. 초기 기독교에서 정치적 요소: 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관념 = 166
2. 정체로서의 교회: 정치 질서에 대한 도전 = 182
3. 교회-사회에서 정치와 권력 = 195
4. 정치화된 종교의 당혹스러움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과제 = 204
5. 재강조된 교회-사회의 정체성: 시간과 운명 = 210
6. 정치사회와 교회-사회 = 216
7. 종교의 언어와 정치의 언어: 중세 기독교 사상에 대한 보충 설명 = 223
제5장 루터: 신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1. 정치 신학 = 236
2. 루터 사상의 정치적 요소 = 239
3. 제도에 대한 불신 = 252
4. 정치적 질서의 지위 = 258
5. 균형추 없는 정치 질서 = 264
6. 단순 소박함의 열매 = 269
제6장 칼빈: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적 교육
1. 질서의 위기와 시민성의 위기 = 273
2. 칼빈 사상의 정치적 특성 = 278
3. 교회 정부의 정치 이론 = 290
4. 정치적 질서의 복원 = 294
5. 정치적 지식 = 301
6. 정치적 직분 = 304
7. 권력과 공동체 = 310
옮기고 나서 = 319
주석 = 345
찾아보기 = 383
제7장 마키아벨리: 정치 그리고 폭력의 경제
1. 정치 이론의 자율성
2. 정치 이론가의 헌신
3. 정치의 본성과 새로운 학문의 범주
4. 정치적 공간과 정치적 행위
5. 폭력의 경제
6. 윤리: 정치의 윤리와 사적인 윤리
7. 대중의 발견
8. 정치와 영혼
제8장 홉스: 규칙의 체계로서의 정치사회
1. 정치적 창의성의 부활
2. 정치철학과 과학혁명
3. 정치철학의 약속
4. 정치적 언어: 참여자의 범위 문제
5. 정치적 엔트로피: 자연 상태
6. 주권적 규정자
7. 공동체(성)를 결여한 권력
8. 이익과 대표
9. 힘의 영역으로서의 정치
제9장 자유주의와 정치철학의 쇠락
1.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2. 자유주의 그리고 철학의 차분함
3. 경제 이론의 정치적 주장
4. 정치적 권위의 실추: 사회의 발견
5. 사회와 정부: 자발성 대 강제
6. 자유주의와 불안
7. 쾌락 원칙을 넘어서: 고통의 문제
8. 자유주의와 도덕적 판단: 양심에서 이익으로
9. 자유주의와 순응성: 사회화된 양심
제10장 조직(화)의 시대 그리고 정치의 승화
1. 조직(화)의 시대
2. 담론의 전통 확인하기
3. 조직과 공동체
4. 루소: 공동체의 관념
5. 자유와 비인격적 의존
6. 생-시몽: 조직(화)의 관념
7. 조직 이론과 방법론: 약간의 유사성들
8. 조직, 방법, 그리고 헌정주의 이론
9. 조직의 공동체적 가치
10. 경제적 합리주의에 대한 공격
11. 조직 이론: 합리주의 대 조직화
12. 정치적인 것에 대한 공격
13. 엘리트와 대중: 조직(화)의 시대의 행위
14. 결론
제11장 근대 권력에서 탈근대 권력으로
1. 과거의 '죽음'에 대한 축하
2. 권력에 대한 베이컨적인 비전
3. 정신과 방법의 계발
4. 실현된 근대 권력
5. 근대 권력과 그 구성 요소들
6. 권력의 봉쇄
제12장 마르크스: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치경제학자인가 아니면 붕괴되지 않는 자본주의의 이론가인가?
1. 마르크스와 니체: 경제 혹은 문화?
2. 마르크스와 이론적 소명
3. 마르크스와 민주주의의 관념
4. 민주주의 관념을 통한 작업
5. 이론의 힘
6. 경제의 정치: 1844년 수고
7. 권력의 역사적 기원
8. 권력, 강제력, 폭력
9. 드러난 근대 권력
10. 마르크스와 로크: 평행하는 서사
11. 권력의 소외
12. 정치적 행위자로서 노동자
13. 자본주의와 노동계급의 정치적 형성
14. 자본: 모순과 위기
15. 자본의 권력 체계의 승계
16. 정치의 위상
17. 독재의 문제
18. 파리 코뮌
19. 예견되는 정치의 종언
20. 탈정치의 옹호
21. 자본주의자에 대한 평가절하
제13장 니체: 선(先)전체주의 그리고 탈근대주의
1. 경제에서 문화로
2. "어떤 사람은 사후에 태어난다"
3. 신-니체주의자
4. 형식으로서 전체주의
5. 니체: 정치 이론가?
6. 반도덕주의자로서 이론가
7. 비판적 전체주의의 정치
8. 비상한 것 대 정상적인 것
9. 전체주의의 동학
10. 퇴폐의 근절
11. 문화 전쟁
12. 허무주의의 위기
13. 심미주의자와 대중
14. 문화의 정치
15. 새로운 엘리트
16. 반-이론의 이론
17. 신화의 재발견
18. 대중의 형성
19. 신화와 이론
20. 새로운 디오니시우스 찾기
21. 정치 분석가로서 니체
22. 20세기의 권력에의 의지
제14장 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주의의 정치
1. 포퍼, 듀이, 롤즈: 자유주의의 재조명
2. 닫힌 사회
3. 열린 사회
4. 드러나는 모호성에 대한 단서
5. 듀이: 정치 이론가로서 철학자
6. 베이컨의 부활
7. 권력에 대한 교육
8. 민주주의의 수단: 교육
9. 민주주의와 경제
10. 경제를 둘러싼 경합
11. 공중의 관념
12. 위대한 사회와 위대한 공동체
13. 모범적인 민주주의로서의 과학적 공동체
14. 사라지는 과학의 아우라
15. 전체주의와 기술
16. 전체주의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한 반동
17. 민주주의의 부활?
제15장 자유주의 정의와 정치적 민주주의
1. 수세적인 자유주의
2. 자유와 평등: 자유주의의 딜레마
3. 롤즈와 정치철학의 부활
4. 경제와 정치경제
5. 정의와 불평등
6. "원초적 입장"과 계약 이론의 전통
7. 자유주의와 정치적인 것
8. 자유주의에 대한 롤즈의 계보학
9. 자유주의의 합당성
10. 포괄적 교리의 위협
11. 자유주의적 정치 문화
12. 자유주의와 통치
13. 냉전시대의 산자유주의
제16장 권력과 형식
1. 낡은 정치적 형식과 새로운 정치적 형식
2. 초강대국과 테러
3. 근대 권력과 탈근대 권력
4. 정치경제: 새로운 공공 철학
5. 붕괴된 공산주의와 붕괴되지 않는 자본주의
6. 정치경제와 탈근대주의
7. 정치적인 것 그리고 그 매개체의 부재
8. 과학의 탈신화화
9. 합리적인 정치학
10. 정치학과 정치제도
11. 국가의 오디세이: 복지국가에서 초강대국으로
12. 동요하는 비전
13. 전체성을 향하여
제17장 탈근대 민주주의: 가상적인가 아니면 탈주적인가?
1. 탈근대 문화와 탈근대 권력
2. 변형된 니체주의적 비관주의
3. 소우주로서의 자아
4. 원심적인 것과 구심적인 것
5. 구심적인 권력
6. 기업의 정치적 진화
7. 제국과 제국의 시민
8. 초강대국과 전도된 전체주의
9. 초강대국의 한계?
10. 정치적 기회의 땅
11. 자본과 민주주의
12. 위기에 처한 민주주의
13. 탈대의적 정치
14. 탈주적인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