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탐구로의 초대 = 3
제1장 인간의 탐구와 과학 = 4
머리말 = 5
실제에 대한 탐색 = 7
일상적인 인간의 탐구 = 7
전통 = 8
권위 = 9
탐구에서의 오류 및 해결방안 = 9
무엇이 정말로 실제인가? = 12
사회과학의 기반 = 16
철학이나 신념이 아닌 이론 = 17
사회적 규칙성 = 18
개체가 아닌 집합체 = 21
변수언어 = 22
사회연구의 변증법 = 29
사례기술적 설명과 법칙정립적 설명 = 29
귀납적 이론과 연역적 이론 = 31
질적자료와 양적자료 = 33
순수연구와 응용연구 = 36
사회조사의 윤리 = 38
자발적 참여 = 39
연구대상자에 대한 무해 = 39
요점 = 40
핵심 용어 = 41
연습문제 = 42
제2장 패러다임, 이론, 사회조사 = 43
머리말 = 44
사회과학적 패러다임 = 45
거시이론과 미시이론 = 47
초기 실증주의 = 48
사회진화론 = 49
갈등 패러다임 = 50
상징적 상호작용론 = 51
민간방법론 = 52
구조기능주의 = 53
페미니스트 패러다임 = 55
비판적 인종이론 = 57
합리적 객관성 재고 = 58
사회이론의 기본요소 = 63
두 가지 논리체계 = 65
과학의 전통적 모델 = 65
연역적ㆍ귀납적 추론: 사례 설명 = 69
도표 대조 = 73
연역적 이론의 구성 = 75
출발 = 75
여러분의 이론구성 = 76
연역적 이론의 예: 분배적 정의 = 77
귀납적 이론의 구성 = 80
귀남적 이론의 예: 왜 사람들은 대마초를 피우나? = 80
이론과 조사연구의 연결 = 82
요점 = 84
핵심 용어 = 85
연습문제 = 86
제3장 사회조사의 윤리와 정치 = 87
머리말 = 88
사회조사의 윤리적 쟁점 = 89
자발적 참여 = 90
참여자에 대한 무해 = 91
익명성과 비밀성 = 93
기만 = 97
분석과 보고 = 98
제도적 검토위원회 = 100
전문가 윤리강령 = 102
2가지 윤리적 논쟁 = 102
찻집 사건 = 104
인간의 복종 관찰 = 105
사회조사의 정치 = 107
객관성과 이념 = 107
소문자 'p'의 정치 = 113
정치성 조망 = 114
요점 = 115
핵심 용어 = 116
연습문제 = 116
제2부 탐구의 구조 = 121
제4장 연구설계 = 122
머리말 = 123
연구의 3가지 목적 = 124
탐색 = 124
기술 = 126
설명 = 127
법칙정립적 설명의 논리 = 128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판단기준 = 128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잘못된 판단기준 = 130
필요원인과 충분원인 = 131
분석단위 = 133
개인 = 135
집단 = 136
조직 = 137
사회적 상호작용 = 137
사회적 가공물 = 139
분석단위 복습 = 140
분석단위에 대한 잘못된 추론: 생태학적 오류와 환원주의 = 141
시간차원 = 143
횡단연구 = 144
종단연구 = 145
종단연구 근접화 = 149
연구전략 예시 = 151
연구 프로젝트 설계방법 = 152
출발 = 154
개념화 = 155
조사방법 선택 = 155
조작화 = 156
모집단과 표집 = 156
관찰 = 157
자료처리 = 157
분석 = 157
적용 = 158
연구설계 복습 = 158
연구계획서 = 160
연구계획서의 요소 = 160
요점 = 163
핵심 용어 = 164
연습문제 = 165
제5장 개념화, 조작화, 측정 = 167
머리말 = 168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측정하기 = 168
구상개념, 개념, 실제 = 169
구상물로서의 개념 = 172
개념화 = 173
지표와 차원 = 174
지표의 호환성 = 177
실제적, 명목적, 조작적 정의 = 178
개념적 질서의 창조 = 179
개념화의 예: 아노미 개념 = 181
기술적 연구와 설명적 연구에서의 정의 = 185
조작화에서의 선택 = 187
변이의 범위 = 188
극단치 간의 변이 = 189
차원에 대한 주의 = 190
변수와 속성의 정의 = 190
측정수준 = 191
단일 또는 다중 지표 = 197
조작화 선택의 예 = 198
계속되는 조작화 = 199
측정 질의 기준 = 200
정밀성과 정확성 = 200
신뢰도 = 201
타당도 = 205
무엇이 타당한지를 누가 정하는가? = 208
신뢰도와 타당도 간의 긴장 = 208
요점 = 209
핵심 용어 = 211
연습문제 = 211
제6장 지수, 척도, 유형 = 213
머리말 = 214
지수 대 척도 = 215
지수 구성 = 218
문항 선정 = 218
경험적 관계 검사 = 219
지수 점수화 = 226
결측자료의 처리 = 228
지수의 타당도 검사 = 230
여성의 지위: 지수 구성의 예 = 234
척도 구성 = 235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236
서스톤 척도 = 237
리커트 척도 = 238
어의차이 = 240
거트만 척도 = 241
유형 = 244
요점 = 246
핵심 용어 = 247
연습문제 = 248
제7장 표집의 논리 = 249
머리말 = 250
표집의 약사 = 251
알프 랜던 대통령 = 252
토머스 E. 듀이 대통령 = 254
두 가지 표집방법 = 254
비확률표집 = 255
이용 가능한 연구대상자들에 의존 = 255
유의적 또는 판단적 표집 = 256
눈덩이 표집 = 257
할당표집 = 257
정보제공자 선정 = 258
확률표집의 이론과 논리 = 260
의식적 표집 어긋남과 무의식적 표집 어긋남 = 261
대표성과 추출확률 = 263
무작위 추출 = 265
확률이론, 표집분포, 그리고 표본오차의 추정 = 266
모집단과 표집틀 = 277
모집단과 표집틀 복습 = 280
표집설계의 형태 = 281
단순무작위 표집 = 281
체계적 표집 = 281
층화표집 = 285
체계적 표집 내의 암묵적 층화 = 288
예시: 대학생 표집 = 288
다단계 집락표집 = 289
다단계 설계와 표집오차 = 291
다단계 집락표집에서의 층화 = 294
크기비례 확률표집 = 294
불비례표집과 가중치 부여 = 296
확률표집 복습 = 298
요점 = 299
핵심 용어 = 301
연습문제 = 301
제3부 관찰의 유형 = 303
제8장 실험 = 304
머리말 = 305
실험에 적절한 주제 = 305
고전적 실험 = 306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 306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 30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308
이중눈가림 실험 = 310
피험자 선정 = 311
확률표집 = 311
무작위화 = 312
짝 맞추기 = 312
짝 맞추기 또는 무작위화? = 314
다양한 실험설계 = 315
원시실험 연구설계 = 315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 문제 = 317
실험의 예 = 324
대안적 실험상황 = 328
인터넷상에서의 실험 = 328
'자연상태'에서의 실험 = 329
실험방범의 장점과 단점 = 331
요점 = 332
핵심 용어 = 334
연습문제 = 334
제9장 서베이 조사 = 335
머리말 = 336
서베이 조사에 적절한 주제 = 337
질문을 위한 지침 = 338
적합한 질문 형태를 선택하라 = 339
문항을 명료화하라 = 341
쌍렬식 질문을 피하라 = 341
응답자는 대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343
응답자는 기꺼이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 343
질문은 응답자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 344
짧은 문항이 좋다 = 345
부정어가 있는 문항은 피하라 = 345
편견적인 문항과 용어를 피하라 = 346
설문지 구성 = 348
일반적인 설문지 형태 = 348
응답자를 위한 형태 = 349
조건부 질문 = 349
행렬식 질문 = 352
설문지 문항의 순서 = 353
설문지 지시문 = 354
설문지 사전조사 = 355
혼합적 예 = 356
자기기입식 설문지 = 356
우편배포와 회수 = 359
회수 모니터 = 360
추적우편 = 361
수용 가능한 응답률 = 362
사례연구 = 363
면접 서베이 = 365
서베이 면접원의 역할 = 366
서베이 면접을 위한 일반 지침 = 367
조정과 통제 = 370
전화 서베이 = 372
컴퓨터보조 전화면접 = 374
면접 서베이의 응답률 = 375
새로운 기술과 서베이 조사 = 376
서베이 방법들 간의 비교 = 381
서베이 조사의 장단점 = 382
이차분석 = 384
요점 = 388
핵심 용어 = 391
연습문제 = 391
제10장 질적 현장연구 = 393
머리말 = 394
현장연구에 적절한 주제 = 395
질적 현장연구 시 특별한 고려 사항 = 399
관찰자의 다양한 역할 = 399
관찰대상과의 관계 = 402
질적 현장연구의 패러다임 = 406
자연주의 = 406
민간방법론 = 408
현장기반이론 = 411
사례연구 및 사례확장법 = 414
제도민속지학 = 418
참여행동연구 = 419
질적 현장연구 실행 = 424
현장을 위한 준비 = 424
질적면접 = 426
초점집단 = 432
관찰기록 = 434
질적 현장연구의 윤리적 문제 = 438
질적 현장연구의 강점과 약점 = 438
타당도 = 439
신뢰도 = 441
요점 = 442
핵심 용어 = 443
연습문제 = 443
제11장 비개입적 연구 = 445
머리말 = 446
내용분석 = 447
내용분석에 적절한 주제 = 448
내용분석의 표집 = 449
내용분석의 코팅 = 454
내용분석의 실제 사례 = 460
내용분석의 장단점 = 463
기존 통계자료 분석 = 464
뒤르켐의 자살 연구 = 464
세계화의 결과 = 467
분석단위 = 468
타당도의 문제 = 469
신뢰도의 문제 = 469
기존 통계자료의 출처 = 471
비교역사분석 = 473
비교역사분석의 예 = 473
역사적 비교자료의 출처 = 479
분석방법 = 481
요점 = 484
핵심 용어 = 485
연습문제 = 485
제12장 평가연구 = 487
머리말 = 488
평가연구에 적절한 주제 = 490
문제의 구성: 측정의 쟁점 이슈 = 492
결과의 구체화 = 494
실험 맥락의 측정 = 495
개입의 구체화 = 495
모집단의 구체화 = 496
새로운 측정과 기존 측정의 대비 = 497
성공ㆍ실패의 조작화 = 497
평가연구 설계의 유형 = 498
실험설계 = 499
유사실험설계 = 500
질적평가 = 506
사회적 맥락 = 508
로지스틱 문제 = 508
윤리적 쟁점 = 511
조사결과의 이용 = 512
사회지표 조사 = 518
사형선고와 억제 = 519
컴퓨터 시뮬레이션 = 520
요점 = 521
핵심 용어 = 522
연습문제 = 522
제4부 자료분석 = 525
제13장 질적자료 분석 = 526
머리말 = 527
이론과 분석의 연계 = 527
유형발견 = 528
현장기반이론 방법 = 530
기호학 = 532
대화분석 = 535
질적자료 처리 = 536
코딩 = 537
메모작성 = 544
개념지도화 = 545
질적자료용 컴퓨터 프로그램 = 547
NUD*IST를 통해 본 레위기 = 548
샌드린 저비브의 여성 영화감독 이해하기: NVivo의 사용 = 552
양적자료의 질적분석 = 557
요점 = 559
핵심 용어 = 560
연습문제 = 561
제14장 양적자료 분석 = 563
머리말 = 564
자료의 양화 = 564
코드범주 만들기 = 565
코드북 만들기 = 568
자료입력 = 570
일원분석 = 571
분포 = 571
중심집중치 = 572
분산 = 577
연속변수와 불연속변수 = 579
상세함과 다루기 용이함 = 579
하위집단 비교 = 580
응답범주의 통합 = 581
'모름' 응답의 처리 = 582
질적연구에서의 수치적 기술 = 583
이원분석 = 584
백분율표 만들기 = 587
이원분석표 만들기와 읽기 = 589
다원분석 소개 = 590
사회학적 진단 = 592
요점 = 595
핵심 용어 = 597
연습문제 = 597
제15장 정교화 모형 = 599
머리말 = 600
정교화 모형의 기원 = 601
정교화 패러다임 = 607
반복 = 608
설명 = 609
해석 = 611
특정화 = 613
패러다임의 재련 = 615
정교화와 사후가설화 = 618
요점 = 620
핵심 용어 = 621
연습문제 = 621
제16장 통계분석 = 623
머리말 = 624
기술통계 = 624
자료 요약 = 624
관련성 측정 = 625
회귀분석 = 631
추리통계 = 637
일원추리 = 637
통계적 유의도 검증 = 640
통계적 유의도의 논리 = 641
카이제곱 = 646
기타 다원분석 기법 = 652
경로분석 = 652
시계열 분석 = 654
요인분석 = 656
변량분석 = 659
판별분석 = 662
로그리니어 모형 = 666
GIS = 667
요점 = 669
핵심 용어 = 671
연습문제 = 672
제17장 사회조사 보고서 읽기와 쓰기 = 673
머리말 = 674
문헌 검토조직 = 674
학술지와 단행본의 차이 = 675
연구조사 보고서 평가 = 677
현명한 인터넷 활용 = 684
유용한 웹사이트 = 684
웹사이트 검색 = 685
인터넷 자료의 질 평가 = 687
인터넷 자료 인용 = 691
사회조사 보고서 쓰기 = 692
기본적 고려사항 = 693
보고서의 구성 = 695
분석 보고 작성 지침 = 700
발표하기 = 701
요점 = 702
핵심 용어 = 703
연습문제 = 704
부록 = 705
부록 A 무작위 수 = 707
부록 B 카이제곱 분포 = 709
부록 C 정상곡선 영역 = 711
부록 D 추정 표집오차 = 712
부록 E 저널리스트가 여론조사에 관해 물어야 하는 질문 20개 = 713
참고문헌 = 723
용어 = 733
영문-국문 용어 대조표 = 746
찾아보기 = 749
제1부 탐구로의 초대 = 3
제1장 인간의 탐구와 과학 = 4
머리말 = 5
실제에 대한 탐색 = 7
일상적인 인간의 탐구 = 7
전통 = 8
권위 = 9
탐구에서의 오류 및 해결방안 = 9
무엇이 정말로 실제인가? = 12
사회과학의 기반 = 16
철학이나 신념이 아닌 이론 = 17
사회적 규칙성 = 18
개체가 아닌 집합체 = 21
변수언어 = 22
사회연구의 변증법 = 29
사례기술적 설명과 법칙정립적 설명 = 29
귀납적 이론과 연역적 이론 = 31
질적자료와 양적자료 = 33
순수연구와 응용연구 = 36
사회조사의 윤리 = 38
자발적 참여 = 39
연구대상자에 대한 무해 = 39
요점 = 40
핵심 용어 = 41
연습문제 = 42
제2장 패러다임, 이론, 사회조사 = 43
머리말 = 44
사회과학적 패러다임 = 45
거시이론과 미시이론 = 47
초기 실증주의 = 48
사회진화론 = 49
갈등 패러다임 = 50
상징적 상호작용론 = 51
민간방법론 = 52
구조기능주의 = 53
페미니스트 패러다임 = 55
비판적 인종이론 = 57
합리적 객관성 재고 = 58
사회이론의 기본요소 = 63
두 가지 논리체계 = 65
과학의 전통적 모델 = 65
연역적ㆍ귀납적 추론: 사례 설명 = 69
도표 대조 = 73
연역적 이론의 구성 = 75
출발 = 75
여러분의 이론구성 = 76
연역적 이론의 예: 분배적 정의 = 77
귀납적 이론의 구성 = 80
귀남적 이론의 예: 왜 사람들은 대마초를 피우나? = 80
이론과 조사연구의 연결 = 82
요점 = 84
핵심 용어 = 85
연습문제 = 86
제3장 사회조사의 윤리와 정치 = 87
머리말 = 88
사회조사의 윤리적 쟁점 = 89
자발적 참여 = 90
참여자에 대한 무해 = 91
익명성과 비밀성 = 93
기만 = 97
분석과 보고 = 98
제도적 검토위원회 = 100
전문가 윤리강령 = 102
2가지 윤리적 논쟁 = 102
찻집 사건 = 104
인간의 복종 관찰 = 105
사회조사의 정치 = 107
객관성과 이념 = 107
소문자 'p'의 정치 = 113
정치성 조망 = 114
요점 = 115
핵심 용어 = 116
연습문제 = 116
제2부 탐구의 구조 = 121
제4장 연구설계 = 122
머리말 = 123
연구의 3가지 목적 = 124
탐색 = 124
기술 = 126
설명 = 127
법칙정립적 설명의 논리 = 128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판단기준 = 128
법칙정립적 인과관계의 잘못된 판단기준 = 130
필요원인과 충분원인 = 131
분석단위 = 133
개인 = 135
집단 = 136
조직 = 137
사회적 상호작용 = 137
사회적 가공물 = 139
분석단위 복습 = 140
분석단위에 대한 잘못된 추론: 생태학적 오류와 환원주의 = 141
시간차원 = 143
횡단연구 = 144
종단연구 = 145
종단연구 근접화 = 149
연구전략 예시 = 151
연구 프로젝트 설계방법 = 152
출발 = 154
개념화 = 155
조사방법 선택 = 155
조작화 = 156
모집단과 표집 = 156
관찰 = 157
자료처리 = 157
분석 = 157
적용 = 158
연구설계 복습 = 158
연구계획서 = 160
연구계획서의 요소 = 160
요점 = 163
핵심 용어 = 164
연습문제 = 165
제5장 개념화, 조작화, 측정 = 167
머리말 = 168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측정하기 = 168
구상개념, 개념, 실제 = 169
구상물로서의 개념 = 172
개념화 = 173
지표와 차원 = 174
지표의 호환성 = 177
실제적, 명목적, 조작적 정의 = 178
개념적 질서의 창조 = 179
개념화의 예: 아노미 개념 = 181
기술적 연구와 설명적 연구에서의 정의 = 185
조작화에서의 선택 = 187
변이의 범위 = 188
극단치 간의 변이 = 189
차원에 대한 주의 = 190
변수와 속성의 정의 = 190
측정수준 = 191
단일 또는 다중 지표 = 197
조작화 선택의 예 = 198
계속되는 조작화 = 199
측정 질의 기준 = 200
정밀성과 정확성 = 200
신뢰도 = 201
타당도 = 205
무엇이 타당한지를 누가 정하는가? = 208
신뢰도와 타당도 간의 긴장 = 208
요점 = 209
핵심 용어 = 211
연습문제 = 211
제6장 지수, 척도, 유형 = 213
머리말 = 214
지수 대 척도 = 215
지수 구성 = 218
문항 선정 = 218
경험적 관계 검사 = 219
지수 점수화 = 226
결측자료의 처리 = 228
지수의 타당도 검사 = 230
여성의 지위: 지수 구성의 예 = 234
척도 구성 = 235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236
서스톤 척도 = 237
리커트 척도 = 238
어의차이 = 240
거트만 척도 = 241
유형 = 244
요점 = 246
핵심 용어 = 247
연습문제 = 248
제7장 표집의 논리 = 249
머리말 = 250
표집의 약사 = 251
알프 랜던 대통령 = 252
토머스 E. 듀이 대통령 = 254
두 가지 표집방법 = 254
비확률표집 = 255
이용 가능한 연구대상자들에 의존 = 255
유의적 또는 판단적 표집 = 256
눈덩이 표집 = 257
할당표집 = 257
정보제공자 선정 = 258
확률표집의 이론과 논리 = 260
의식적 표집 어긋남과 무의식적 표집 어긋남 = 261
대표성과 추출확률 = 263
무작위 추출 = 265
확률이론, 표집분포, 그리고 표본오차의 추정 = 266
모집단과 표집틀 = 277
모집단과 표집틀 복습 = 280
표집설계의 형태 = 281
단순무작위 표집 = 281
체계적 표집 = 281
층화표집 = 285
체계적 표집 내의 암묵적 층화 = 288
예시: 대학생 표집 = 288
다단계 집락표집 = 289
다단계 설계와 표집오차 = 291
다단계 집락표집에서의 층화 = 294
크기비례 확률표집 = 294
불비례표집과 가중치 부여 = 296
확률표집 복습 = 298
요점 = 299
핵심 용어 = 301
연습문제 = 301
제3부 관찰의 유형 = 303
제8장 실험 = 304
머리말 = 305
실험에 적절한 주제 = 305
고전적 실험 = 306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 306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 30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308
이중눈가림 실험 = 310
피험자 선정 = 311
확률표집 = 311
무작위화 = 312
짝 맞추기 = 312
짝 맞추기 또는 무작위화? = 314
다양한 실험설계 = 315
원시실험 연구설계 = 315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 문제 = 317
실험의 예 = 324
대안적 실험상황 = 328
인터넷상에서의 실험 = 328
'자연상태'에서의 실험 = 329
실험방범의 장점과 단점 = 331
요점 = 332
핵심 용어 = 334
연습문제 = 334
제9장 서베이 조사 = 335
머리말 = 336
서베이 조사에 적절한 주제 = 337
질문을 위한 지침 = 338
적합한 질문 형태를 선택하라 = 339
문항을 명료화하라 = 341
쌍렬식 질문을 피하라 = 341
응답자는 대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343
응답자는 기꺼이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 343
질문은 응답자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 344
짧은 문항이 좋다 = 345
부정어가 있는 문항은 피하라 = 345
편견적인 문항과 용어를 피하라 = 346
설문지 구성 = 348
일반적인 설문지 형태 = 348
응답자를 위한 형태 = 349
조건부 질문 = 349
행렬식 질문 = 352
설문지 문항의 순서 = 353
설문지 지시문 = 354
설문지 사전조사 = 355
혼합적 예 = 356
자기기입식 설문지 = 356
우편배포와 회수 = 359
회수 모니터 = 360
추적우편 = 361
수용 가능한 응답률 = 362
사례연구 = 363
면접 서베이 = 365
서베이 면접원의 역할 = 366
서베이 면접을 위한 일반 지침 = 367
조정과 통제 = 370
전화 서베이 = 372
컴퓨터보조 전화면접 = 374
면접 서베이의 응답률 = 375
새로운 기술과 서베이 조사 = 376
서베이 방법들 간의 비교 = 381
서베이 조사의 장단점 = 382
이차분석 = 384
요점 = 388
핵심 용어 = 391
연습문제 = 391
제10장 질적 현장연구 = 393
머리말 = 394
현장연구에 적절한 주제 = 395
질적 현장연구 시 특별한 고려 사항 = 399
관찰자의 다양한 역할 = 399
관찰대상과의 관계 = 402
질적 현장연구의 패러다임 = 406
자연주의 = 406
민간방법론 = 408
현장기반이론 = 411
사례연구 및 사례확장법 = 414
제도민속지학 = 418
참여행동연구 = 419
질적 현장연구 실행 = 424
현장을 위한 준비 = 424
질적면접 = 426
초점집단 = 432
관찰기록 = 434
질적 현장연구의 윤리적 문제 = 438
질적 현장연구의 강점과 약점 = 438
타당도 = 439
신뢰도 = 441
요점 = 442
핵심 용어 = 443
연습문제 = 443
제11장 비개입적 연구 = 445
머리말 = 446
내용분석 = 447
내용분석에 적절한 주제 = 448
내용분석의 표집 = 449
내용분석의 코팅 = 454
내용분석의 실제 사례 = 460
내용분석의 장단점 = 463
기존 통계자료 분석 = 464
뒤르켐의 자살 연구 = 464
세계화의 결과 = 467
분석단위 = 468
타당도의 문제 = 469
신뢰도의 문제 = 469
기존 통계자료의 출처 = 471
비교역사분석 = 473
비교역사분석의 예 = 473
역사적 비교자료의 출처 = 479
분석방법 = 481
요점 = 484
핵심 용어 = 485
연습문제 = 485
제12장 평가연구 = 487
머리말 = 488
평가연구에 적절한 주제 = 490
문제의 구성: 측정의 쟁점 이슈 = 492
결과의 구체화 = 494
실험 맥락의 측정 = 495
개입의 구체화 = 495
모집단의 구체화 = 496
새로운 측정과 기존 측정의 대비 = 497
성공ㆍ실패의 조작화 = 497
평가연구 설계의 유형 = 498
실험설계 = 499
유사실험설계 = 500
질적평가 = 506
사회적 맥락 = 508
로지스틱 문제 = 508
윤리적 쟁점 = 511
조사결과의 이용 = 512
사회지표 조사 = 518
사형선고와 억제 = 519
컴퓨터 시뮬레이션 = 520
요점 = 521
핵심 용어 = 522
연습문제 = 522
제4부 자료분석 = 525
제13장 질적자료 분석 = 526
머리말 = 527
이론과 분석의 연계 = 527
유형발견 = 528
현장기반이론 방법 = 530
기호학 = 532
대화분석 = 535
질적자료 처리 = 536
코딩 = 537
메모작성 = 544
개념지도화 = 545
질적자료용 컴퓨터 프로그램 = 547
NUD*IST를 통해 본 레위기 = 548
샌드린 저비브의 여성 영화감독 이해하기: NVivo의 사용 = 552
양적자료의 질적분석 = 557
요점 = 559
핵심 용어 = 560
연습문제 = 561
제14장 양적자료 분석 = 563
머리말 = 564
자료의 양화 = 564
코드범주 만들기 = 565
코드북 만들기 = 568
자료입력 = 570
일원분석 = 571
분포 = 571
중심집중치 = 572
분산 = 577
연속변수와 불연속변수 = 579
상세함과 다루기 용이함 = 579
하위집단 비교 = 580
응답범주의 통합 = 581
'모름' 응답의 처리 = 582
질적연구에서의 수치적 기술 = 583
이원분석 = 584
백분율표 만들기 = 587
이원분석표 만들기와 읽기 = 589
다원분석 소개 = 590
사회학적 진단 = 592
요점 = 595
핵심 용어 = 597
연습문제 = 597
제15장 정교화 모형 = 599
머리말 = 600
정교화 모형의 기원 = 601
정교화 패러다임 = 607
반복 = 608
설명 = 609
해석 = 611
특정화 = 613
패러다임의 재련 = 615
정교화와 사후가설화 = 618
요점 = 620
핵심 용어 = 621
연습문제 = 621
제16장 통계분석 = 623
머리말 = 624
기술통계 = 624
자료 요약 = 624
관련성 측정 = 625
회귀분석 = 631
추리통계 = 637
일원추리 = 637
통계적 유의도 검증 = 640
통계적 유의도의 논리 = 641
카이제곱 = 646
기타 다원분석 기법 = 652
경로분석 = 652
시계열 분석 = 654
요인분석 = 656
변량분석 = 659
판별분석 = 662
로그리니어 모형 = 666
GIS = 667
요점 = 669
핵심 용어 = 671
연습문제 = 672
제17장 사회조사 보고서 읽기와 쓰기 = 673
머리말 = 674
문헌 검토조직 = 674
학술지와 단행본의 차이 = 675
연구조사 보고서 평가 = 677
현명한 인터넷 활용 = 684
유용한 웹사이트 = 684
웹사이트 검색 = 685
인터넷 자료의 질 평가 = 687
인터넷 자료 인용 = 691
사회조사 보고서 쓰기 = 692
기본적 고려사항 = 693
보고서의 구성 = 695
분석 보고 작성 지침 = 700
발표하기 = 701
요점 = 702
핵심 용어 = 703
연습문제 = 704
부록 = 705
부록 A 무작위 수 = 707
부록 B 카이제곱 분포 = 709
부록 C 정상곡선 영역 = 711
부록 D 추정 표집오차 = 712
부록 E 저널리스트가 여론조사에 관해 물어야 하는 질문 20개 = 713
참고문헌 = 723
용어 = 733
영문-국문 용어 대조표 = 746
찾아보기 =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