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겨울산의 차가운 바람 소리 = 13
1부 장자와 철학
1. 철학과 철학자의 숙명 = 25
여행, 비행 그리고 철학 = 25
대붕의 유혹 = 31
알바트로스의 비애 = 37
2. 낯섦과 차이에 머물기 = 43
낯섦을 만드는 기술 = 43
현기증을 견디며 = 47
트랜스크리틱! = 52
3. 가장 심각한 철학적 문제, 타자 = 59
의사소통의 불가능성 = 59
관계 아닌 관계 = 65
로빈슨 크루소의 타자 = 72
인터메조 1. 장자에 대한 오해 그리고 진실 = 80
'노장'(老莊)이라는 상상적 범주 = 80
사마천의 장자 이해를 넘어서 = 86
되찾은 장자 그리고 삶의 철학 = 92
2부 해체와 망각의 논리
4. 성심(成心), 그 가능성과 한계 = 103
내면화된 삶의 규칙 = 103
아비투스와 아장스망의 진실 = 109
수영을 배우는 방법 = 115
5. 꿈의 세계에서 삶의 세계로 = 121
유아론적 사유에 관하여 = 121
비트겐슈타인적인 통찰 = 125
삶의 길을 찾아서 = 131
6. 새로움의 계기, 망각 = 139
원숭이들의 분노 = 139
스스로 도는 수레바퀴 = 144
여명을 맞는 단독자 = 151
인터메조 2. 장자를 만든 사유흐름 = 158
삶의 긍정과 아나키즘적 전망, 양주 = 158
반전과 비판의 논리, 송견 = 163
논리와 존재의 발견, 혜시 = 168
양주, 송견, 혜시 그리고 장자 = 172
3부 삶의 강령과 연대의 모색
7. 잊어라!그리고 연결하라! = 179
망각의 수양론 = 179
비움과 미세 지각 = 183
날개 없이 나는 방법 = 189
8. 소통의 흔적, 도(道) = 197
초월에서 포월로 = 197
우발적인 마주침 = 204
포정이 소에서 본 것 = 210
9. 자유로운 연대를 꿈꾸며 = 217
국가주의를 넘어서 = 217
공백을 만드는 힘, 코나투스 = 223
무위의 공동채를 위해서 = 230
에필로그 _ 겨울바람을 뒤로 하고 = 237
보론
1. 『장자』 읽기의 어려움 = 251
장자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법 = 251
『장자』의 구성 = 256
『장자』편찬자의 사상 경향 = 261
장자 사유의 원점 = 267
2. 노자와 장자가 다른 이유 = 274
노자와 장자, 불행한 동거의 서막 = 274
정치적 이념에서의 차이, 국가주의 vs. 아나키즘 = 278
사유 이미지에서의 차이, 나무 vs. 리좀 = 280
운동 형식에서의 차이, 초월 vs. 포월 = 283
주석 전통에서의 차이, 왕필 vs. 곽상 = 286
찾아보기 = 290
프롤로그 겨울산의 차가운 바람 소리 = 13
1부 장자와 철학
1. 철학과 철학자의 숙명 = 25
여행, 비행 그리고 철학 = 25
대붕의 유혹 = 31
알바트로스의 비애 = 37
2. 낯섦과 차이에 머물기 = 43
낯섦을 만드는 기술 = 43
현기증을 견디며 = 47
트랜스크리틱! = 52
3. 가장 심각한 철학적 문제, 타자 = 59
의사소통의 불가능성 = 59
관계 아닌 관계 = 65
로빈슨 크루소의 타자 = 72
인터메조 1. 장자에 대한 오해 그리고 진실 = 80
'노장'(老莊)이라는 상상적 범주 = 80
사마천의 장자 이해를 넘어서 = 86
되찾은 장자 그리고 삶의 철학 = 92
2부 해체와 망각의 논리
4. 성심(成心), 그 가능성과 한계 = 103
내면화된 삶의 규칙 = 103
아비투스와 아장스망의 진실 = 109
수영을 배우는 방법 = 115
5. 꿈의 세계에서 삶의 세계로 = 121
유아론적 사유에 관하여 = 121
비트겐슈타인적인 통찰 = 125
삶의 길을 찾아서 = 131
6. 새로움의 계기, 망각 = 139
원숭이들의 분노 = 139
스스로 도는 수레바퀴 = 144
여명을 맞는 단독자 = 151
인터메조 2. 장자를 만든 사유흐름 = 158
삶의 긍정과 아나키즘적 전망, 양주 = 158
반전과 비판의 논리, 송견 = 163
논리와 존재의 발견, 혜시 = 168
양주, 송견, 혜시 그리고 장자 = 172
3부 삶의 강령과 연대의 모색
7. 잊어라!그리고 연결하라! = 179
망각의 수양론 = 179
비움과 미세 지각 = 183
날개 없이 나는 방법 = 189
8. 소통의 흔적, 도(道) = 197
초월에서 포월로 = 197
우발적인 마주침 = 204
포정이 소에서 본 것 = 210
9. 자유로운 연대를 꿈꾸며 = 217
국가주의를 넘어서 = 217
공백을 만드는 힘, 코나투스 = 223
무위의 공동채를 위해서 = 230
에필로그 _ 겨울바람을 뒤로 하고 = 237
보론
1. 『장자』 읽기의 어려움 = 251
장자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법 = 251
『장자』의 구성 = 256
『장자』편찬자의 사상 경향 = 261
장자 사유의 원점 = 267
2. 노자와 장자가 다른 이유 = 274
노자와 장자, 불행한 동거의 서막 = 274
정치적 이념에서의 차이, 국가주의 vs. 아나키즘 = 278
사유 이미지에서의 차이, 나무 vs. 리좀 = 280
운동 형식에서의 차이, 초월 vs. 포월 = 283
주석 전통에서의 차이, 왕필 vs. 곽상 = 286
찾아보기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