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면서: 너 어디 있느냐? = 9
존재와 시간
내가 걸어온 길
마지막으로 쓰고 싶은 책
1부 나에게 주어진 은총
1장 괴로움과 슬픔 = 33
집사람의 첫인상
연이어 앓은 중병
중학교 시험에 여덟 번 낙방하다
가난
그 후의 카인
내 인생 노정의 최소, 비폭력
2장 처음 들은 가르침 = 71
왜 가르침인가
첫 가르침을 주신 아버지
아름다운 우리말을 들은 배재중학교
젊은이들의 기를 살려준 보성전문학교
배선표 목사님과 무교동 교회
이(利)와 인(仁)과 명(命)
3장 교수직 = 111
법학을 선택하다
6·25와 군대 생활
경영학과 행정학을 공부한 미국 유학 시절
고려대에서 처음으로 행정학을 가르치다
4장 가정과 재산 = 163
비석 없는 무덤
집사람의 마지막
나의 재산 만들기
내가 가장 귀중하게 생각하는 것
2부 내가 행한 것
5장 첫 번째 해직과 복직 = 227
모반의 등장
지명(知命)을 향한 몸부림
해직의 원인이 된 글 두 편
노동문제연구소 일과 노동문제와의 만남
인문학과의 접목
기독교와의 접목
《민우지》 사건으로 해직되다
6장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262
내가 지켜본 유신정부의 악
해직 교수들이 주동이 되어 세운 갈릴리교회
반박정희 연대를 구축하다
재판에서 내가 한 말
감옥에서 내가 한 일
7장 YH 사건 = 309
반체제운동의 중심에 서다
일기를 쓰기 시작하다
1979년 2월과 3월 일기
YH 사건과 두 번째 옥살이
8장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 349
벼락같이 찾아온 5·17
빛이 없는 어두운 곳으로 가다
우리는 무엇인지 알게 한 세 번째 옥살이
3부 버림인가, 버려짐인가?
9장 세 번째 복직 이전 = 385
새로이 싹튼 소망
김영삼 씨 동조 단식투쟁의 전말
국민이라는 님
버림으로써 되살아난 나
10장 고려대에서의 마무리 = 445
제자 기르기와 다른 문명 맛보기
고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현민 빈소 사건
정년퇴임 직전에 쓴 《자전적 행정학》
11장 공자와 맹자를 만나다 = 493
시대와 지성
육체를 담는 그릇, 집
꿀벌의 이상을 존중한 경기대 대학원장 시절
추악한 향원의 세계를 꼬집은 《논어·맹자와 행정학》
12장 마르틴 루터라는 뿌리 = 527
‘국민의 정부’와 측근 정치
소피스트의 대학
교회는 공회여야 한다
루터라는 뿌리를 파헤친 《인간·종교·국가》
13장 당신 나라에도 함석헌이 있는가 = 565
큰 스승, 함석헌
행정의 최소 조건을 탐구한 《협력형 통치》
역사의 시작과 마지막
끝내면서: 《새 문명에서의 공직자》서문을 미리 쓰며 = 629
내 평생
내가 바라는 나의 마지막
《새 문명에서의 공직자》의 구성과 내용
잠재의식의 부화
부록: 문서 자료 = 685
연보 = 767
시작하면서: 너 어디 있느냐? = 9
존재와 시간
내가 걸어온 길
마지막으로 쓰고 싶은 책
1부 나에게 주어진 은총
1장 괴로움과 슬픔 = 33
집사람의 첫인상
연이어 앓은 중병
중학교 시험에 여덟 번 낙방하다
가난
그 후의 카인
내 인생 노정의 최소, 비폭력
2장 처음 들은 가르침 = 71
왜 가르침인가
첫 가르침을 주신 아버지
아름다운 우리말을 들은 배재중학교
젊은이들의 기를 살려준 보성전문학교
배선표 목사님과 무교동 교회
이(利)와 인(仁)과 명(命)
3장 교수직 = 111
법학을 선택하다
6·25와 군대 생활
경영학과 행정학을 공부한 미국 유학 시절
고려대에서 처음으로 행정학을 가르치다
4장 가정과 재산 = 163
비석 없는 무덤
집사람의 마지막
나의 재산 만들기
내가 가장 귀중하게 생각하는 것
2부 내가 행한 것
5장 첫 번째 해직과 복직 = 227
모반의 등장
지명(知命)을 향한 몸부림
해직의 원인이 된 글 두 편
노동문제연구소 일과 노동문제와의 만남
인문학과의 접목
기독교와의 접목
《민우지》 사건으로 해직되다
6장 3·1 민주구국선언 사건 = 262
내가 지켜본 유신정부의 악
해직 교수들이 주동이 되어 세운 갈릴리교회
반박정희 연대를 구축하다
재판에서 내가 한 말
감옥에서 내가 한 일
7장 YH 사건 = 309
반체제운동의 중심에 서다
일기를 쓰기 시작하다
1979년 2월과 3월 일기
YH 사건과 두 번째 옥살이
8장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 349
벼락같이 찾아온 5·17
빛이 없는 어두운 곳으로 가다
우리는 무엇인지 알게 한 세 번째 옥살이
3부 버림인가, 버려짐인가?
9장 세 번째 복직 이전 = 385
새로이 싹튼 소망
김영삼 씨 동조 단식투쟁의 전말
국민이라는 님
버림으로써 되살아난 나
10장 고려대에서의 마무리 = 445
제자 기르기와 다른 문명 맛보기
고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현민 빈소 사건
정년퇴임 직전에 쓴 《자전적 행정학》
11장 공자와 맹자를 만나다 = 493
시대와 지성
육체를 담는 그릇, 집
꿀벌의 이상을 존중한 경기대 대학원장 시절
추악한 향원의 세계를 꼬집은 《논어·맹자와 행정학》
12장 마르틴 루터라는 뿌리 = 527
‘국민의 정부’와 측근 정치
소피스트의 대학
교회는 공회여야 한다
루터라는 뿌리를 파헤친 《인간·종교·국가》
13장 당신 나라에도 함석헌이 있는가 = 565
큰 스승, 함석헌
행정의 최소 조건을 탐구한 《협력형 통치》
역사의 시작과 마지막
끝내면서: 《새 문명에서의 공직자》서문을 미리 쓰며 = 629
내 평생
내가 바라는 나의 마지막
《새 문명에서의 공직자》의 구성과 내용
잠재의식의 부화
부록: 문서 자료 = 685
연보 =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