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3
제1부 교육이론과 심리학적 배경
제1장 인간의 성장발달과 피아노 교육 = 21
1. 발달의 원리 = 22
2. 연령별 발달단계 = 24
1) 미취학 아동(만 3~6세) = 24
2) 초등학교 저학년(만 7~9세) = 30
3) 초등학교 고학년(만 10~12세) = 34
4) 중ㆍ고등학교(만 13~18세) = 39
5) 성인 = 45
지혜의 힘, 삶을 빛내 주는 예술 = 49
제2장 교육이론과 실제 = 51
1. 학습이론에 따른 교수전략 = 51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53
2) 인지주의 학습이론 = 62
3) 인본주의 학습이론 = 80
2. 피아노 학습의 동기 = 84
1) 행동주의적 동기화 = 85
2) 인지주의적 동기화 = 87
3) 인본주의적 동기화 = 89
3. 개인차에 따른 교수전략 = 90
1) 느리게 배우는 학생 = 90
2) 빠르게 배우는 학생 = 92
3) 미성취 재능아 = 95
4)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학생의 피아노 지도 = 98
선입견과 피아노 지도 = 101
제3장 20세기 음악교육이론 = 103
1. 자크-달크로즈 = 104
1) 교육방법의 배경 = 104
2) 교육기술 = 105
3) 음악치료의 적용 = 108
4) 국내 교육현황 = 108
2. 코다이 = 109
1) 교육방법의 배경 = 109
2) 교육철학 = 111
3) 교육기술 = 112
4) 음악치료의 적용 = 114
5) 국내 교육현황 = 115
3. 오르프 = 116
1) 교육방법의 배경 = 116
2) 오르프-슐베르크 = 117
3) 교육기술 = 118
4) 음악치료의 적용 = 120
5) 국내 교육현황 = 121
4. 스즈키 = 122
1) 교육방법의 배경 = 122
2) 스즈키 방법론 = 122
3) 교육기술 = 124
4) 국내 교육현황 = 125
5. 고든 = 126
1) 음악학습이론의 배경 = 126
2) 오디에이션 = 126
3) 교육철학 = 127
4) 음악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 127
5) 음악치료의 적용 = 129
6) 국내 교육현황 = 130
6. 포괄적 음악교육 = 131
1) 교육방법의 배경 = 131
2) MMCP = 131
3) 나선형 교육과정 = 132
7. 야마하 음악교육 = 133
1) 교육방법의 배경 = 133
2) 교육철학 = 134
3) 목적 및 교육 원리 = 134
4) 국내 교육현황 = 135
제2부 피아노와 신체
제4장 피아노 = 139
1. 악기의 이해 = 139
1) 피아노의 특성 = 140
2)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 = 140
3) 피아노의 터치 = 143
4) 페달 = 145
2. 건반악기의 역사 = 147
1) 선행악기 = 147
2) 피아노의 발달 = 152
3) 전자악기 = 154
3. 악기 선택 = 157
1)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 157
2) 디지털 피아노 = 157
4. 피아노의 관리 = 159
제5장 신체 = 161
1. 피아니스트를 위한 보디 맵핑 = 162
1) 머리와 목 = 162
2) 몸통 = 163
3) 팔 = 164
4) 다리 = 169
5) 호흡 = 169
2. 피아니스트를 위한 알렉산더 테크닉 = 171
3. 몸의 관리 = 175
1) 체조 = 175
2) 스트레칭 = 178
3) 운동 = 179
4) 휴식 = 180
5) 영양섭취 = 181
제3부 수준별 지도전략
제6장 초급과정 Ⅰ : 미취학 아동 = 185
1. 피아노 조기 교육 = 185
1) 피아노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 = 186
2) 피아노는 적절한 악기인가 = 186
2. 학습 내용 및 지도방법 = 188
1) 건반 탐색 = 189
2) 청음 = 190
3) 리듬 = 194
4) 독보 = 197
5) 테크닉과 음악성 = 199
6) 연주 = 202
3. 수업의 실제 = 203
1) 첫 레슨 = 203
2) 수업 계획안 짜기 = 204
3) 기본적인 계획안 = 206
4) 그룹 수업의 모형 = 208
제7장 초급과정 Ⅱ : 일반 연령 및 성인 = 211
1.독보 지도 = 211
1) 음이름 읽기와 음정 읽기 = 212
2) 독보의 기초 = 212
3) 여러 가지 독보 접근법 = 214
2. 리듬 지도 = 218
1) 리듬의 정의 = 218
2) 기본적 리듬의 개념 = 219
3) 리듬학습 방법 = 221
4) 초보자에게 흔한 리듬의 문제 = 226
3. 테크닉 지도 = 227
1) 자세와 손 모양 = 228
2) 아동기의 테크닉 = 230
4. 음악성 지도 = 240
1) 음악이론 = 241
2) 시창 및 청음 = 242
3) 화성의 인식 = 243
4) 즉흥연주 = 243
5) 음악 감상 = 245
6) 음악사 = 246
7) 연주 = 249
5. 피아노 연습 = 250
1) 연습시간 = 250
2) 과제의 내용과 분량 = 251
3) 구체적인 연습 목표와 방법 = 251
4) 실용적인 연습 제안 = 252
5) 부모가 도와주는 피아노 연습 = 253
6. 세계 각국의 피아노 교육과 교본 = 255
1) 독일 = 255
2) 미국 = 257
3) 러시아(구소련) = 261
4) 헝가리 = 262
5) 한국 = 262
7.국내에서 출판되고 있는 교재의 개관 = 264
1) 바이엘 = 264
2) 하이비스 = 265
3) 옥스퍼드 피아노타임 = 266
4) 베스틴 피아노 교본 = 267
5) 알프레드 = 268
6) 클라비어 = 269
7) 피아노 어드벤처 = 270
8) 피아노 베이직 = 271
9) 미코로코스모스 = 272
8. 성인 초보자 = 275
1) 성인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지도 = 276
2) 대학의 클래스 피아노 = 279
3) 성인용 피아노 교재 = 284
제8장 중급과정 = 287
1. 중급 학습자 = 287
1) 중급 수준의 정의 = 287
2) 중급과정의 학습 = 288
3) 배워야 할 내용 = 289
4) 초견 = 290
2. 중급 레퍼토리 = 293
1) 바흐의 건반음악 = 294
2) 소나티나와 소나타 = 300
3) 작곡가별 피아노 중ㆍ고급 레퍼토리의 개관 = 309
3. 테크닉과 연습 = 324
1) 메트로놈 기호 = 325
2) 연습곡 = 327
3) 작곡가별 피아노 연습곡집의 개관 = 329
4. 재즈 피아노 음악 = 336
1) 재즈 피아노에서 자주 사용되는 리듬 = 337
2) 재즈 피아노 지도의 방향 = 339
3) 재즈 레퍼토리 = 340
제9장 고급과정 = 343
1. 꾸밈음 = 344
1) 바로크 시대 = 344
2) 고전과 낭만 시대 = 355
2. 프레이징과 아티큘레이션 = 359
1) 프레이징 = 360
2) 아티큘레이션 = 362
3. 페달링 = 369
1) 댐퍼 페달 = 370
2) 소스테누토 페달 = 376
3) 소프트 페달 = 376
4. 창의적인 연습방법 = 377
1) 명상 = 378
2) 머릿속으로 하는 정신적인 연습 = 379
3) 어려운 구절 연습방법 = 381
4) 유명 피아니스트의 연습방법 = 382
5) 야외로 나가기 = 384
5. 효율적 암보 학습 = 386
1) 감각적 암보 = 387
2) 인지적 암보 = 389
3) 강화 = 391
6. 연주에 대한 자세 = 392
1) 연주불안에 대처하는 법 = 392
2) 콩쿠르와 음악적 재능 = 394
제4부 피아노 교사
제10장 직업 선택을 위한 준비 = 399
1. 피아노 페다고지 = 401
2. 대학과정에서의 준비 = 404
1) 피아노 페다고지에서 배워야 할 내용 = 405
2) 초보 레스너를 위한 질문 = 406
3) 피아노 전공자의 진로 = 407
제11장 전문적인 레슨 경영 = 413
1. 개인 스튜디오 = 413
1) 스튜디오의 위치 = 413
2) 행정사항 = 414
3) 스튜디오 시설 = 414
4) 레슨 스케줄 = 415
5) 레슨비 = 416
6) 보강 레슨 = 416
7) 스튜디오 정책 = 416
8) 서류 정리 = 417
9) 학생을 인터뷰하는 방법 = 418
2. 학원이나 교습소 = 420
1) 학원생을 위한 규칙 = 421
2) 원내 안전 및 사고 예방 = 422
3)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 = 424
4) 창의적인 음악 활동을 위한 레슨실 환경 = 425
5) 방학 중의 피아노 지도 = 427
3. 레슨 경영인 = 429
1) 정보화 사회와 피아노 교육 = 429
2) 교사의 인품 = 431
3) 시간 관리 = 434
4) 연구적인 피아노 음악인의 자세 = 437
5) 자기 평가 = 438
제12장 피아노 페다고지에 대한 역사적 개관 = 441
1. 초기 건반악기 교수법 = 441
1) 지롤라모 디루타 = 441
2) 프랑수아 쿠프랭 = 443
3) 장 필리프 라모 = 444
4)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 = 445
5)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 446
2. 18~19세기 초반의 피아니스트와 초기 방법론 = 448
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448
2) 무치오 클레멘티 = 449
3) 다니엘 고틀로프 튀르크 = 450
4) 요한 뱁티스트 크래머 = 451
5) 요한 네포무크 훔멜 = 452
6) 루트비히 판 베토벤 = 454
7) 카를 체르니 = 455
8) 요한 베르나르트 로지에르 = 457
9)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 = 457
3. 19세기의 피아니스트와 그 교수법 = 459
1)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 459
2) 프란츠 폰 리스트 = 461
3) 지기스문트 레베르트와 루트비히 슈타르크 = 463
4) 샤를 루이 아농 = 464
4. 현대적 테크닉 방법론의 시작 = 465
1) 윌리엄 메이슨 = 465
2) 아돌프 쿨라크 = 467
3) 루트비히 데페 = 468
4) 루돌프 마리아 브라이트하우프트 = 469
5) 토비아스 마테이 = 473
5. 19세기 말~20세기 페다고지를 빛낸 사람들 = 476
1) 테오도어 레셰티츠키 = 476
2) 카를 라이머 = 479
3) 요제프 레빈 = 480
4) 하인리히 노이하우스 = 481
6. 20세기 피아노 테크닉의 새로운 방향 = 482
1) 오토 루돌프 오트만 = 482
2) 아널드 슐츠 = 485
3) 조지 코체비츠키 = 487
4) 애비 화이트사이드 = 489
7. 그 밖의 현대 교육자들 = 490
1) 윌리엄 뉴먼 = 490
2) 요제프 가트 = 491
3) 죄르지 샨도르 = 492
4) 시모어 번스타인 = 493
5) 시모어 핀크 = 495
나가는 글 = 497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1
들어가는 글 = 3
제1부 교육이론과 심리학적 배경
제1장 인간의 성장발달과 피아노 교육 = 21
1. 발달의 원리 = 22
2. 연령별 발달단계 = 24
1) 미취학 아동(만 3~6세) = 24
2) 초등학교 저학년(만 7~9세) = 30
3) 초등학교 고학년(만 10~12세) = 34
4) 중ㆍ고등학교(만 13~18세) = 39
5) 성인 = 45
지혜의 힘, 삶을 빛내 주는 예술 = 49
제2장 교육이론과 실제 = 51
1. 학습이론에 따른 교수전략 = 51
1) 행동주의 학습이론 = 53
2) 인지주의 학습이론 = 62
3) 인본주의 학습이론 = 80
2. 피아노 학습의 동기 = 84
1) 행동주의적 동기화 = 85
2) 인지주의적 동기화 = 87
3) 인본주의적 동기화 = 89
3. 개인차에 따른 교수전략 = 90
1) 느리게 배우는 학생 = 90
2) 빠르게 배우는 학생 = 92
3) 미성취 재능아 = 95
4) 정서/행동장애가 있는 학생의 피아노 지도 = 98
선입견과 피아노 지도 = 101
제3장 20세기 음악교육이론 = 103
1. 자크-달크로즈 = 104
1) 교육방법의 배경 = 104
2) 교육기술 = 105
3) 음악치료의 적용 = 108
4) 국내 교육현황 = 108
2. 코다이 = 109
1) 교육방법의 배경 = 109
2) 교육철학 = 111
3) 교육기술 = 112
4) 음악치료의 적용 = 114
5) 국내 교육현황 = 115
3. 오르프 = 116
1) 교육방법의 배경 = 116
2) 오르프-슐베르크 = 117
3) 교육기술 = 118
4) 음악치료의 적용 = 120
5) 국내 교육현황 = 121
4. 스즈키 = 122
1) 교육방법의 배경 = 122
2) 스즈키 방법론 = 122
3) 교육기술 = 124
4) 국내 교육현황 = 125
5. 고든 = 126
1) 음악학습이론의 배경 = 126
2) 오디에이션 = 126
3) 교육철학 = 127
4) 음악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 127
5) 음악치료의 적용 = 129
6) 국내 교육현황 = 130
6. 포괄적 음악교육 = 131
1) 교육방법의 배경 = 131
2) MMCP = 131
3) 나선형 교육과정 = 132
7. 야마하 음악교육 = 133
1) 교육방법의 배경 = 133
2) 교육철학 = 134
3) 목적 및 교육 원리 = 134
4) 국내 교육현황 = 135
제2부 피아노와 신체
제4장 피아노 = 139
1. 악기의 이해 = 139
1) 피아노의 특성 = 140
2)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 = 140
3) 피아노의 터치 = 143
4) 페달 = 145
2. 건반악기의 역사 = 147
1) 선행악기 = 147
2) 피아노의 발달 = 152
3) 전자악기 = 154
3. 악기 선택 = 157
1)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 157
2) 디지털 피아노 = 157
4. 피아노의 관리 = 159
제5장 신체 = 161
1. 피아니스트를 위한 보디 맵핑 = 162
1) 머리와 목 = 162
2) 몸통 = 163
3) 팔 = 164
4) 다리 = 169
5) 호흡 = 169
2. 피아니스트를 위한 알렉산더 테크닉 = 171
3. 몸의 관리 = 175
1) 체조 = 175
2) 스트레칭 = 178
3) 운동 = 179
4) 휴식 = 180
5) 영양섭취 = 181
제3부 수준별 지도전략
제6장 초급과정 Ⅰ : 미취학 아동 = 185
1. 피아노 조기 교육 = 185
1) 피아노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 = 186
2) 피아노는 적절한 악기인가 = 186
2. 학습 내용 및 지도방법 = 188
1) 건반 탐색 = 189
2) 청음 = 190
3) 리듬 = 194
4) 독보 = 197
5) 테크닉과 음악성 = 199
6) 연주 = 202
3. 수업의 실제 = 203
1) 첫 레슨 = 203
2) 수업 계획안 짜기 = 204
3) 기본적인 계획안 = 206
4) 그룹 수업의 모형 = 208
제7장 초급과정 Ⅱ : 일반 연령 및 성인 = 211
1.독보 지도 = 211
1) 음이름 읽기와 음정 읽기 = 212
2) 독보의 기초 = 212
3) 여러 가지 독보 접근법 = 214
2. 리듬 지도 = 218
1) 리듬의 정의 = 218
2) 기본적 리듬의 개념 = 219
3) 리듬학습 방법 = 221
4) 초보자에게 흔한 리듬의 문제 = 226
3. 테크닉 지도 = 227
1) 자세와 손 모양 = 228
2) 아동기의 테크닉 = 230
4. 음악성 지도 = 240
1) 음악이론 = 241
2) 시창 및 청음 = 242
3) 화성의 인식 = 243
4) 즉흥연주 = 243
5) 음악 감상 = 245
6) 음악사 = 246
7) 연주 = 249
5. 피아노 연습 = 250
1) 연습시간 = 250
2) 과제의 내용과 분량 = 251
3) 구체적인 연습 목표와 방법 = 251
4) 실용적인 연습 제안 = 252
5) 부모가 도와주는 피아노 연습 = 253
6. 세계 각국의 피아노 교육과 교본 = 255
1) 독일 = 255
2) 미국 = 257
3) 러시아(구소련) = 261
4) 헝가리 = 262
5) 한국 = 262
7.국내에서 출판되고 있는 교재의 개관 = 264
1) 바이엘 = 264
2) 하이비스 = 265
3) 옥스퍼드 피아노타임 = 266
4) 베스틴 피아노 교본 = 267
5) 알프레드 = 268
6) 클라비어 = 269
7) 피아노 어드벤처 = 270
8) 피아노 베이직 = 271
9) 미코로코스모스 = 272
8. 성인 초보자 = 275
1) 성인 초보자를 위한 피아노 지도 = 276
2) 대학의 클래스 피아노 = 279
3) 성인용 피아노 교재 = 284
제8장 중급과정 = 287
1. 중급 학습자 = 287
1) 중급 수준의 정의 = 287
2) 중급과정의 학습 = 288
3) 배워야 할 내용 = 289
4) 초견 = 290
2. 중급 레퍼토리 = 293
1) 바흐의 건반음악 = 294
2) 소나티나와 소나타 = 300
3) 작곡가별 피아노 중ㆍ고급 레퍼토리의 개관 = 309
3. 테크닉과 연습 = 324
1) 메트로놈 기호 = 325
2) 연습곡 = 327
3) 작곡가별 피아노 연습곡집의 개관 = 329
4. 재즈 피아노 음악 = 336
1) 재즈 피아노에서 자주 사용되는 리듬 = 337
2) 재즈 피아노 지도의 방향 = 339
3) 재즈 레퍼토리 = 340
제9장 고급과정 = 343
1. 꾸밈음 = 344
1) 바로크 시대 = 344
2) 고전과 낭만 시대 = 355
2. 프레이징과 아티큘레이션 = 359
1) 프레이징 = 360
2) 아티큘레이션 = 362
3. 페달링 = 369
1) 댐퍼 페달 = 370
2) 소스테누토 페달 = 376
3) 소프트 페달 = 376
4. 창의적인 연습방법 = 377
1) 명상 = 378
2) 머릿속으로 하는 정신적인 연습 = 379
3) 어려운 구절 연습방법 = 381
4) 유명 피아니스트의 연습방법 = 382
5) 야외로 나가기 = 384
5. 효율적 암보 학습 = 386
1) 감각적 암보 = 387
2) 인지적 암보 = 389
3) 강화 = 391
6. 연주에 대한 자세 = 392
1) 연주불안에 대처하는 법 = 392
2) 콩쿠르와 음악적 재능 = 394
제4부 피아노 교사
제10장 직업 선택을 위한 준비 = 399
1. 피아노 페다고지 = 401
2. 대학과정에서의 준비 = 404
1) 피아노 페다고지에서 배워야 할 내용 = 405
2) 초보 레스너를 위한 질문 = 406
3) 피아노 전공자의 진로 = 407
제11장 전문적인 레슨 경영 = 413
1. 개인 스튜디오 = 413
1) 스튜디오의 위치 = 413
2) 행정사항 = 414
3) 스튜디오 시설 = 414
4) 레슨 스케줄 = 415
5) 레슨비 = 416
6) 보강 레슨 = 416
7) 스튜디오 정책 = 416
8) 서류 정리 = 417
9) 학생을 인터뷰하는 방법 = 418
2. 학원이나 교습소 = 420
1) 학원생을 위한 규칙 = 421
2) 원내 안전 및 사고 예방 = 422
3)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 = 424
4) 창의적인 음악 활동을 위한 레슨실 환경 = 425
5) 방학 중의 피아노 지도 = 427
3. 레슨 경영인 = 429
1) 정보화 사회와 피아노 교육 = 429
2) 교사의 인품 = 431
3) 시간 관리 = 434
4) 연구적인 피아노 음악인의 자세 = 437
5) 자기 평가 = 438
제12장 피아노 페다고지에 대한 역사적 개관 = 441
1. 초기 건반악기 교수법 = 441
1) 지롤라모 디루타 = 441
2) 프랑수아 쿠프랭 = 443
3) 장 필리프 라모 = 444
4) 요한 니콜라우스 포르켈 = 445
5)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 446
2. 18~19세기 초반의 피아니스트와 초기 방법론 = 448
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448
2) 무치오 클레멘티 = 449
3) 다니엘 고틀로프 튀르크 = 450
4) 요한 뱁티스트 크래머 = 451
5) 요한 네포무크 훔멜 = 452
6) 루트비히 판 베토벤 = 454
7) 카를 체르니 = 455
8) 요한 베르나르트 로지에르 = 457
9) 프리드리히 칼크브레너 = 457
3. 19세기의 피아니스트와 그 교수법 = 459
1)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 459
2) 프란츠 폰 리스트 = 461
3) 지기스문트 레베르트와 루트비히 슈타르크 = 463
4) 샤를 루이 아농 = 464
4. 현대적 테크닉 방법론의 시작 = 465
1) 윌리엄 메이슨 = 465
2) 아돌프 쿨라크 = 467
3) 루트비히 데페 = 468
4) 루돌프 마리아 브라이트하우프트 = 469
5) 토비아스 마테이 = 473
5. 19세기 말~20세기 페다고지를 빛낸 사람들 = 476
1) 테오도어 레셰티츠키 = 476
2) 카를 라이머 = 479
3) 요제프 레빈 = 480
4) 하인리히 노이하우스 = 481
6. 20세기 피아노 테크닉의 새로운 방향 = 482
1) 오토 루돌프 오트만 = 482
2) 아널드 슐츠 = 485
3) 조지 코체비츠키 = 487
4) 애비 화이트사이드 = 489
7. 그 밖의 현대 교육자들 = 490
1) 윌리엄 뉴먼 = 490
2) 요제프 가트 = 491
3) 죄르지 샨도르 = 492
4) 시모어 번스타인 = 493
5) 시모어 핀크 = 495
나가는 글 = 497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