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내면서 = 6
제1부 총론 / 박유희
제1절 한국대중서사장르 연구의 출발점, 멜로드라마 = 10
제2절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 13
제3절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17
제4절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 23
제5절 현재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27
〈멜로드라마 관련 매체별 연구 현황〉 = 33
제2부 멜로드라마 서사의 형성
제1절 신소설계 최대 베스트셀러, 『추월색』에 나타난 '사랑 이야기' / 고은지 = 46
제2절 『무정』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김지영 = 81
제3절 한문소설의 사랑, 남성적 환상의 다양한 변주 / 김정숙 = 118
제4절 멜로드라마적 인물과 자본주의 가치의 내면화―『찔레꽃』을 중심으로 / 김종수 = 146
제5절 관객의 입장에서 본 신파극 혹은 멜로드라마의 생명력―〈장한몽〉과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 김유미 = 164
제6절 《신여성》에 소개된 영화 관련 글과 멜로드라마 / 김윤선 = 190
제3부 멜로드라마의 변용과 다원화
제1절 멜로드라마의 신기원으로서의 〈자유부인〉 / 박유희 = 224
제2절 1960년대의 축도(縮圖), 〈미워도 다시 한 번〉 / 이현경 = 246
제3절 산업화 시대 도시 남녀의 새로운 사랑―소설 및 영화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 황정산 = 274
제4절 1980년대 대중 멜로의 사회사 / 송효정 = 292
제5절 한국 멜로영화의 다양한 분화 양상―1990년대 후반기 이후 한국 남성 멜로영화 / 이현경 = 315
제6절 임권택본 〈춘향뎐〉의 등장―더늠의 창출 얼굴 없는 춘향 / 우응순 = 341
제7절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에 그려진 사랑의 모습―〈네 멋대로 해라〉, 〈발리에서 생긴 일〉, 〈미안하다, 사랑한다〉 / 이주라 = 368
제8절 순정만화의 멜로드라마적 서사 형식과 감성의 정치학-황미나, 김혜린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지영 = 399
찾아보기 = 440
</vol>
<vol>2
<count>
목차
이 책을 내면서 = 6
제1부 총론 / 박유희
제1절 역사허구물 열풍과 연구의 필요성 = 12
제2절 역사허구물의 외연과 연구방법 = 16
제3절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 그 전후의 맥락 = 22
제4절 대중서사장르로서의 역사허구물, 그 재편과 번성 = 28
제5절 역사허구물의 분화, 그 이분법과 이면 = 33
제6절 팩션시대, 장르와 매체의 합종연횡 = 38
<역사허구물 관련 연구 현황> = 43
제2부 근대 역사허구물 서사의 형성
제1절 고전문학에서 역사를 허구화한 장르들 / 우응순 = 64
제2절 구활자본 소설에서 역사를 허구화하는 방식 / 오윤선 = 89
제3절 1930년대 오락물로서의 역사의 소비 / 고은지 = 120
제4절 1930년대 신문 연재 역사소설의 서사관습 / 김종수 = 149
제3부 역사허구물의 번성과 분화
제1절 사극영화의 번성과 장르로서의 성립 / 박유희 = 174
제2절 1950년대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 역사극의 변화 / 김유미 = 204
제3절 1950∼1960년대 신문 역사소설의 변화 / 이주라 = 230
제4절 대하소설 읽기의 사회적 에토스 / 송효정 = 258
제5절 1970∼1980년대 한국 사극영화의 정치학 / 이현경 = 281
제4부 팩션시대, 역사허구물의 다변화
제1절 역사소설이라는 이름의 혼종지대 / 박진 = 306
제2절 2000년 이후 사극영화의 자유로운 상상력 / 이현경 = 326
제3절 라디오ㆍTV 왕조사극의 경향과 그 의미 / 이영미 = 356
제4절 팩션시대의 역사만화 / 김지영 = 396
찾아보기 = 431
이 책을 내면서 = 6
제1부 총론 / 박유희
제1절 한국대중서사장르 연구의 출발점, 멜로드라마 = 10
제2절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 13
제3절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17
제4절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 23
제5절 현재 멜로드라마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 27
〈멜로드라마 관련 매체별 연구 현황〉 = 33
제2부 멜로드라마 서사의 형성
제1절 신소설계 최대 베스트셀러, 『추월색』에 나타난 '사랑 이야기' / 고은지 = 46
제2절 『무정』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김지영 = 81
제3절 한문소설의 사랑, 남성적 환상의 다양한 변주 / 김정숙 = 118
제4절 멜로드라마적 인물과 자본주의 가치의 내면화―『찔레꽃』을 중심으로 / 김종수 = 146
제5절 관객의 입장에서 본 신파극 혹은 멜로드라마의 생명력―〈장한몽〉과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 김유미 = 164
제6절 《신여성》에 소개된 영화 관련 글과 멜로드라마 / 김윤선 = 190
제3부 멜로드라마의 변용과 다원화
제1절 멜로드라마의 신기원으로서의 〈자유부인〉 / 박유희 = 224
제2절 1960년대의 축도(縮圖), 〈미워도 다시 한 번〉 / 이현경 = 246
제3절 산업화 시대 도시 남녀의 새로운 사랑―소설 및 영화 '별들의 고향'을 중심으로 / 황정산 = 274
제4절 1980년대 대중 멜로의 사회사 / 송효정 = 292
제5절 한국 멜로영화의 다양한 분화 양상―1990년대 후반기 이후 한국 남성 멜로영화 / 이현경 = 315
제6절 임권택본 〈춘향뎐〉의 등장―더늠의 창출 얼굴 없는 춘향 / 우응순 = 341
제7절 200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에 그려진 사랑의 모습―〈네 멋대로 해라〉, 〈발리에서 생긴 일〉, 〈미안하다, 사랑한다〉 / 이주라 = 368
제8절 순정만화의 멜로드라마적 서사 형식과 감성의 정치학-황미나, 김혜린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지영 = 399
찾아보기 = 440
</vol>
<vol>2
<count>
목차
이 책을 내면서 = 6
제1부 총론 / 박유희
제1절 역사허구물 열풍과 연구의 필요성 = 12
제2절 역사허구물의 외연과 연구방법 = 16
제3절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 그 전후의 맥락 = 22
제4절 대중서사장르로서의 역사허구물, 그 재편과 번성 = 28
제5절 역사허구물의 분화, 그 이분법과 이면 = 33
제6절 팩션시대, 장르와 매체의 합종연횡 = 38
<역사허구물 관련 연구 현황> = 43
제2부 근대 역사허구물 서사의 형성
제1절 고전문학에서 역사를 허구화한 장르들 / 우응순 = 64
제2절 구활자본 소설에서 역사를 허구화하는 방식 / 오윤선 = 89
제3절 1930년대 오락물로서의 역사의 소비 / 고은지 = 120
제4절 1930년대 신문 연재 역사소설의 서사관습 / 김종수 = 149
제3부 역사허구물의 번성과 분화
제1절 사극영화의 번성과 장르로서의 성립 / 박유희 = 174
제2절 1950년대 여성국극에 나타난 대중 역사극의 변화 / 김유미 = 204
제3절 1950∼1960년대 신문 역사소설의 변화 / 이주라 = 230
제4절 대하소설 읽기의 사회적 에토스 / 송효정 = 258
제5절 1970∼1980년대 한국 사극영화의 정치학 / 이현경 = 281
제4부 팩션시대, 역사허구물의 다변화
제1절 역사소설이라는 이름의 혼종지대 / 박진 = 306
제2절 2000년 이후 사극영화의 자유로운 상상력 / 이현경 = 326
제3절 라디오ㆍTV 왕조사극의 경향과 그 의미 / 이영미 = 356
제4절 팩션시대의 역사만화 / 김지영 = 396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