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 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8
[제1권]
임수간, 1665∼1721 ...21│ 육방옹의 시를 차운하여 윤직경에게 보이다 /하코네 고개
조태억, 1675∼1728 ... 24 │ 미백에게 운을 따라 답해주다
이하곤, 1677∼1724 ... 26 │서재에서 / 이 사또에게 차운하여 답하다
조현명, 1690∼1752 ... 28│정내교와 술을 조금 마시다가
송명흠, 1705∼1768 ... 30│ 병천에서 생각나는 대로 읊다
이민보, 1720∼1799 ... 31│ 부사 권도이에게 보이다
채제공, 1720∼1799 ... 32 │ 서 진사 댁을 방문하여 / 연명헌에서 일찍 일어나
정범조, 1723∼1801 ... 34 │ 임강선
홍양호, 1724∼1802 ... 36│ 호로 다주에 쓴 명문
이덕무, 1741∼1793 ... 39│ 관재에서 차를 마시며 윤증약, 유혜보와 함께 읊다 / 관헌에서 차를 마시며
영수합 서씨, 1753∼1823 ... 42 │ 고요한 밤에 차를 끓이며
장혼, 1759∼1828 ... 44 │옥경산방 다회에서 유장경의 운을 따서 짓다
정약용, 1762∼1836 ... 46│ 미천가 / 봄날 체천에서 / 상원군수로 부임하는 윤지눌을 보내다 / 혜장이여 차를 보내주오 / 혜장이 나를 위해 차를 만들었다 / 색성이 차를 보내 사의를 표하다 / 절간에 사는 여러 가지 흥겨움 / 송풍루 / 다산사경 / 범성대의 시를 차운하여 윤영희에게 보내다 / 다암시첩
조수삼, 1762∼1849 ... 68 │ 같은 시사의 벗들을 맞아 산사에 유람하며
서유구, 1764∼1845 ... 70│ 거연정에서 차를 시음하다 / 육교가 보내준 시에 차운하고, 이어 빨리 오라고 재촉하다
김려, 1766∼1821 ... 72 │도사 금청휘가 철비녹하차를 보내왔기에 / 보이차 / 탁옹이 시를 주며 좋은 차를 구하다
심상규, 1766∼1845 ... 77 │ 밤에 앉아 차를 달이다 / 동각의 교생들이 모여 차를 마시며 / 차를 마시다 / 몸소 차를 달이며 몹시 흡족하여 즐기다
신위, 1769∼1845 ... 83 │ 청수부용각에서 저녁밥을 들고 / 자오천 시를 섭지선에게 부친다 / 그림을 대신하다 / 한림학사 김정희 시를 차운하여 바치다 / 시를 수놓은 연꽃 보따리 / 전림의 시를 논한 절구 / 꿈을 풀이한다 / 초의 선사가 차 네 덩어리를 보내다 / 귀양살이의 한 기쁨 / 5일 새벽에 일어나 보니 눈이 왔다 / 황산 김유근의 봄을 읊은 시에 차운하다 / 초의 선사가 차와 편지를 보내주다 / 황간현감의 아우가 차와 술을 보내다 / 초의 선사에게 편지 대신 답한다 / 신순이 이강주와 죽로차를 보내다 / 5월 21일 새벽에 일어나다 / 가을날 하루 종일 / 차를 달여 마시며 / 감잎에 쓰다
이학규, 1770∼1835 ... 120 │ 겨울밤 차를 끓이다 / 신씨의 정원에서 차 모임을 가지며 / 차 덖는 곳 / 차 덖는 곳
서기수, 1771∼1834 ... 126 │ 차 노래 / 다음날 다시 모여
박윤묵, 1771∼1849 ... 129 │ 엄산 현재덕 옹이 때때로 나에게 차를 보내오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 / 차를 마시며 친구를 그리워하다 / 앓고 난 뒤에 차로 입을 적시며 짓다 / 칠송정 차 모임을 부러워하며 / 칠월 구일 크게 더워, 차를 마신 후 짓다
혜장, 1772∼1811 ... 138 │ 산속에 사는 즐거움 / 장춘동에서 / 동천에 계신 선생의 곤괘 육효 운에 화운하다 / 중봉의 「낙은사」에 화답한다
정학연, 1783∼1859 ... 145 │차를 달이다 / 찻물 끓이는 주전자 / 정학연이 초의 선사에게 보낸 다시 / 호옥에서 차를 달이다
초의, 1786∼1866 ... 153 │ 동쪽 별장에서 이별하며 / 산수화 8첩에 쓴다 / 도촌 김인항이 보낸 시에 차운하여 보내다 / 수종사에서 석옥 화상 시에 차운하다 / 정학연에게 화답하여 바치다 / 석천으로 차를 끓이다 / 열수에 배를 띄우다 / 여름날 서원에서 여러 분과 모여서 / 금호에서 산천도인과 작별하며 / 신헌의 시에 화답하여 보내다 / 운엄도인 시에 차운하다 / 현재에서 한계원과 함께 읊다 / 산천도인이 차를 받고 보내온 시에 화운하다 / 동다송 / *기타 초의 관련 소기
김정희, 1786∼1856 ... 186 │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시로 답하다 / 황산 김유근의 시에 차운하다 / 우연히 짓다 / 옛 샘을 길어 차를 시험하다 / 강위의 유동정 시에 장난삼아 견주다 / 요선의 「동정」 시에 화답하다 / 차에 대한 일을 이미 쌍계사에 부탁하고 / 만허에게 장난삼아 바치다
김명희, 1788∼1857 ... 199│ 초의에게 차를 받고 사례한 시
황상, 1788∼1863 ... 202 │ 차를 구걸하며
조병현, 1791∼1849 ... 204 │ 차를 달이며
유한당 홍씨, 1791∼? ... 206 │ 삼가 차운하다
이만용, 1792∼1863 ... 207 │ 동랑 한치원이 황매다고를 보내오다 / 금강산 폭포물로 달인 병차 한 덩이를 숯불에 달이니 산향이 짙어라
숙선 옹주, 1793∼1836 ... 211 │ 우연히 읊다
홍현주, 1793∼1865 ... 212 │ 북사 시축에 차운하다 / 참판 김양순의 회갑 축시 / 남산 산장의 관등절날 저녁 / 이경재의 금계산장을 빌려 / 손자 홍승억의 시에 차운하다 / 방옹 육유의 시에 차운하다 / 두보의 「봄날 강마을에서」를 차운하다 / 두보의 시에는 적당한 운자가 없어 육유의 시에서 운자를 바꾸어 뽑았다 / 섣달 눈 녹인 물로 차를 끓이다 / 동림장에서 이천민에게 / 이복현에게 바치다 / 두보 시에 화답하다 / 세밑 / 초당으로 나아가 이명오·홍희인과 읊다 / 초당에서 이만용을 맞아 이상적과 같이 짓다 / 앞의 시 운자를 거듭 써서 이상적에게 차를 빌다 / 정학연·이만용이 밤에 들렀기에 읊다
홍한주, 1798∼1864 ... 245 │빗소리 들으며 차를 달이다
신좌모, 1799∼1877 ... 246 │거림점에 묵으며
이상적, 1803∼1865 ... 251 │ 찻물을 뜨다 / 차 끓이는 연기 / 백산다가 / 섣달 초파일 이튿날 새벽 눈이 막 개다 / 김소당이 후지산 차 및 차 주전자를 선물로 보내왔기에 / 접암 비부가 송차를 보내왔기에
효명 세자, 1809∼1830 ... 263 │ 다관·찻종지·차 주전자·차
윤정기, 1814∼1879 ... 266 │ 차를 달이다
이유원, 1814∼1888 ... 268 │ 죽로차 / 정향수 아래에서 향기를 맡고 명차를 추억하다 / 오팽년차 / 가오 노인의 환향 / 차를 마시고 읊조리다 / 새로운 차를 시음하며 / 7월 18일에 진전의 다례에 참석하려다가 느낀 바가 있어 / 밀양의 황차를 보내준 정은 상공에게 사례하다 / 신 판추에게 차를 구하다
금원당 김씨, 1817~? ... 287 │ 청간정에서 월출을 구경하며
강위, 1820∼1884 ... 288 │ 고베에 금강씨가 있는데 선조가 조선 사람이다
허훈, 1836∼1907 ... 290 │금강령차
이종기, 1837∼1902 ... 292 │금강령차
곽종석, 1846∼1919 ... 293 │차를 다리는 부뚜막
신기선, 1851∼1909 ... 294 │소룡이 만응오시차를 나누어주기에 네 수의 절구를 사례하며 드리다
인명 사전 ... 299
서명 사전 ... 319
찾아보기 ... 323
[제2권]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 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6
이익, 1681∼1763 ... 19│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 23│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 24│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 26│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 28│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 30│ 수다설
이덕리, 1728∼? ... 32│ 기다
황윤석, 1729∼1791 ... 47│ 부풍향다보
홍대용, 1731∼1783 ... 51│ 중국의 음식 문화 / 조선의 음식 문화
유득공, 1748∼1807 ... 58│ 차의 대용품
유만주, 1755∼1788 ... 59│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순채국과 차
빙허각 이씨, 1759∼1824 ... 63│ 다품
정약용, 1762∼1836 ... 64│ 차의 생산과 판매 /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혜장의 병풍에 쓴다 / 차의 명칭 / 차의 전매 제도 / 차의 전매와 민고 / 다신계 절목 / 윤종삼·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윤형규, 1763∼1840 ... 92│ 다설
서유구, 1764∼1845 ... 97│ 차 / 다공 / 다구
이학규, 1770∼1835 ... 156│ 감찰다시
혜장, 1772∼1811 ... 157│ 금호에게 보낸 답장
정학연, 1783∼1859 ... 158│ 차의 재배와 저장
초의, 1786∼1866 ... 160│홍현주에게 바친다 / 완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다신전
김정희, 1786∼1856 ... 174│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오경석에게(제4신) / 초의에게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김명희, 1788∼1857 ... 189│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김경선, 1788∼1853 ... 193│음식
이규경, 1788∼1856 ... 195│ 도다변증설 /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개다와 죽로차
이상적, 1803∼1865 ... 214│ 용단승설을 적다
최한기, 1803∼1879 ... 217│ 음식의 훈증
조재삼, 1808∼1866 ... 218│ 황차 / *황차 관련 기록
이유원, 1814∼1888 ... 220│ 다시청
신헌구, 1823∼1902 ... 222│ 해다설
김윤식, 1835∼1922 ... 224│ 차 주발 / 이홍장과의 담화 / 정약용과 강진 차 / 내아문 포시
승정원일기 ... 233│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우전차의 효능 / 작설차의 효능 / 삼남의 작설차 / 작설차의 복용법
조선왕조실록 ... 247│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다례에 쓰던 인삼차 /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
원문 ... 257
인명 사전 ... 353
서명 사전 ... 376
찾아보기 ... 39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8
[제1권]
임수간, 1665∼1721 ...21│ 육방옹의 시를 차운하여 윤직경에게 보이다 /하코네 고개
조태억, 1675∼1728 ... 24 │ 미백에게 운을 따라 답해주다
이하곤, 1677∼1724 ... 26 │서재에서 / 이 사또에게 차운하여 답하다
조현명, 1690∼1752 ... 28│정내교와 술을 조금 마시다가
송명흠, 1705∼1768 ... 30│ 병천에서 생각나는 대로 읊다
이민보, 1720∼1799 ... 31│ 부사 권도이에게 보이다
채제공, 1720∼1799 ... 32 │ 서 진사 댁을 방문하여 / 연명헌에서 일찍 일어나
정범조, 1723∼1801 ... 34 │ 임강선
홍양호, 1724∼1802 ... 36│ 호로 다주에 쓴 명문
이덕무, 1741∼1793 ... 39│ 관재에서 차를 마시며 윤증약, 유혜보와 함께 읊다 / 관헌에서 차를 마시며
영수합 서씨, 1753∼1823 ... 42 │ 고요한 밤에 차를 끓이며
장혼, 1759∼1828 ... 44 │옥경산방 다회에서 유장경의 운을 따서 짓다
정약용, 1762∼1836 ... 46│ 미천가 / 봄날 체천에서 / 상원군수로 부임하는 윤지눌을 보내다 / 혜장이여 차를 보내주오 / 혜장이 나를 위해 차를 만들었다 / 색성이 차를 보내 사의를 표하다 / 절간에 사는 여러 가지 흥겨움 / 송풍루 / 다산사경 / 범성대의 시를 차운하여 윤영희에게 보내다 / 다암시첩
조수삼, 1762∼1849 ... 68 │ 같은 시사의 벗들을 맞아 산사에 유람하며
서유구, 1764∼1845 ... 70│ 거연정에서 차를 시음하다 / 육교가 보내준 시에 차운하고, 이어 빨리 오라고 재촉하다
김려, 1766∼1821 ... 72 │도사 금청휘가 철비녹하차를 보내왔기에 / 보이차 / 탁옹이 시를 주며 좋은 차를 구하다
심상규, 1766∼1845 ... 77 │ 밤에 앉아 차를 달이다 / 동각의 교생들이 모여 차를 마시며 / 차를 마시다 / 몸소 차를 달이며 몹시 흡족하여 즐기다
신위, 1769∼1845 ... 83 │ 청수부용각에서 저녁밥을 들고 / 자오천 시를 섭지선에게 부친다 / 그림을 대신하다 / 한림학사 김정희 시를 차운하여 바치다 / 시를 수놓은 연꽃 보따리 / 전림의 시를 논한 절구 / 꿈을 풀이한다 / 초의 선사가 차 네 덩어리를 보내다 / 귀양살이의 한 기쁨 / 5일 새벽에 일어나 보니 눈이 왔다 / 황산 김유근의 봄을 읊은 시에 차운하다 / 초의 선사가 차와 편지를 보내주다 / 황간현감의 아우가 차와 술을 보내다 / 초의 선사에게 편지 대신 답한다 / 신순이 이강주와 죽로차를 보내다 / 5월 21일 새벽에 일어나다 / 가을날 하루 종일 / 차를 달여 마시며 / 감잎에 쓰다
이학규, 1770∼1835 ... 120 │ 겨울밤 차를 끓이다 / 신씨의 정원에서 차 모임을 가지며 / 차 덖는 곳 / 차 덖는 곳
서기수, 1771∼1834 ... 126 │ 차 노래 / 다음날 다시 모여
박윤묵, 1771∼1849 ... 129 │ 엄산 현재덕 옹이 때때로 나에게 차를 보내오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 / 차를 마시며 친구를 그리워하다 / 앓고 난 뒤에 차로 입을 적시며 짓다 / 칠송정 차 모임을 부러워하며 / 칠월 구일 크게 더워, 차를 마신 후 짓다
혜장, 1772∼1811 ... 138 │ 산속에 사는 즐거움 / 장춘동에서 / 동천에 계신 선생의 곤괘 육효 운에 화운하다 / 중봉의 「낙은사」에 화답한다
정학연, 1783∼1859 ... 145 │차를 달이다 / 찻물 끓이는 주전자 / 정학연이 초의 선사에게 보낸 다시 / 호옥에서 차를 달이다
초의, 1786∼1866 ... 153 │ 동쪽 별장에서 이별하며 / 산수화 8첩에 쓴다 / 도촌 김인항이 보낸 시에 차운하여 보내다 / 수종사에서 석옥 화상 시에 차운하다 / 정학연에게 화답하여 바치다 / 석천으로 차를 끓이다 / 열수에 배를 띄우다 / 여름날 서원에서 여러 분과 모여서 / 금호에서 산천도인과 작별하며 / 신헌의 시에 화답하여 보내다 / 운엄도인 시에 차운하다 / 현재에서 한계원과 함께 읊다 / 산천도인이 차를 받고 보내온 시에 화운하다 / 동다송 / *기타 초의 관련 소기
김정희, 1786∼1856 ... 186 │ 이유여가 차를 찾기에 시로 답하다 / 황산 김유근의 시에 차운하다 / 우연히 짓다 / 옛 샘을 길어 차를 시험하다 / 강위의 유동정 시에 장난삼아 견주다 / 요선의 「동정」 시에 화답하다 / 차에 대한 일을 이미 쌍계사에 부탁하고 / 만허에게 장난삼아 바치다
김명희, 1788∼1857 ... 199│ 초의에게 차를 받고 사례한 시
황상, 1788∼1863 ... 202 │ 차를 구걸하며
조병현, 1791∼1849 ... 204 │ 차를 달이며
유한당 홍씨, 1791∼? ... 206 │ 삼가 차운하다
이만용, 1792∼1863 ... 207 │ 동랑 한치원이 황매다고를 보내오다 / 금강산 폭포물로 달인 병차 한 덩이를 숯불에 달이니 산향이 짙어라
숙선 옹주, 1793∼1836 ... 211 │ 우연히 읊다
홍현주, 1793∼1865 ... 212 │ 북사 시축에 차운하다 / 참판 김양순의 회갑 축시 / 남산 산장의 관등절날 저녁 / 이경재의 금계산장을 빌려 / 손자 홍승억의 시에 차운하다 / 방옹 육유의 시에 차운하다 / 두보의 「봄날 강마을에서」를 차운하다 / 두보의 시에는 적당한 운자가 없어 육유의 시에서 운자를 바꾸어 뽑았다 / 섣달 눈 녹인 물로 차를 끓이다 / 동림장에서 이천민에게 / 이복현에게 바치다 / 두보 시에 화답하다 / 세밑 / 초당으로 나아가 이명오·홍희인과 읊다 / 초당에서 이만용을 맞아 이상적과 같이 짓다 / 앞의 시 운자를 거듭 써서 이상적에게 차를 빌다 / 정학연·이만용이 밤에 들렀기에 읊다
홍한주, 1798∼1864 ... 245 │빗소리 들으며 차를 달이다
신좌모, 1799∼1877 ... 246 │거림점에 묵으며
이상적, 1803∼1865 ... 251 │ 찻물을 뜨다 / 차 끓이는 연기 / 백산다가 / 섣달 초파일 이튿날 새벽 눈이 막 개다 / 김소당이 후지산 차 및 차 주전자를 선물로 보내왔기에 / 접암 비부가 송차를 보내왔기에
효명 세자, 1809∼1830 ... 263 │ 다관·찻종지·차 주전자·차
윤정기, 1814∼1879 ... 266 │ 차를 달이다
이유원, 1814∼1888 ... 268 │ 죽로차 / 정향수 아래에서 향기를 맡고 명차를 추억하다 / 오팽년차 / 가오 노인의 환향 / 차를 마시고 읊조리다 / 새로운 차를 시음하며 / 7월 18일에 진전의 다례에 참석하려다가 느낀 바가 있어 / 밀양의 황차를 보내준 정은 상공에게 사례하다 / 신 판추에게 차를 구하다
금원당 김씨, 1817~? ... 287 │ 청간정에서 월출을 구경하며
강위, 1820∼1884 ... 288 │ 고베에 금강씨가 있는데 선조가 조선 사람이다
허훈, 1836∼1907 ... 290 │금강령차
이종기, 1837∼1902 ... 292 │금강령차
곽종석, 1846∼1919 ... 293 │차를 다리는 부뚜막
신기선, 1851∼1909 ... 294 │소룡이 만응오시차를 나누어주기에 네 수의 절구를 사례하며 드리다
인명 사전 ... 299
서명 사전 ... 319
찾아보기 ... 323
[제2권]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 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6
이익, 1681∼1763 ... 19│ 다식 / 다시
신유한, 1675∼1728 ... 23│ 일본의 다례
이광사, 1705∼1777 ... 24│ 내도재기
이상정, 1710∼1781 ... 26│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신광수, 1712∼1775 ... 28│ 성천 생원 원형에게
안정복, 1712∼1791 ... 30│ 수다설
이덕리, 1728∼? ... 32│ 기다
황윤석, 1729∼1791 ... 47│ 부풍향다보
홍대용, 1731∼1783 ... 51│ 중국의 음식 문화 / 조선의 음식 문화
유득공, 1748∼1807 ... 58│ 차의 대용품
유만주, 1755∼1788 ... 59│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순채국과 차
빙허각 이씨, 1759∼1824 ... 63│ 다품
정약용, 1762∼1836 ... 64│ 차의 생산과 판매 /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혜장의 병풍에 쓴다 / 차의 명칭 / 차의 전매 제도 / 차의 전매와 민고 / 다신계 절목 / 윤종삼·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윤형규, 1763∼1840 ... 92│ 다설
서유구, 1764∼1845 ... 97│ 차 / 다공 / 다구
이학규, 1770∼1835 ... 156│ 감찰다시
혜장, 1772∼1811 ... 157│ 금호에게 보낸 답장
정학연, 1783∼1859 ... 158│ 차의 재배와 저장
초의, 1786∼1866 ... 160│홍현주에게 바친다 / 완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다신전
김정희, 1786∼1856 ... 174│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오경석에게(제4신) / 초의에게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김명희, 1788∼1857 ... 189│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김경선, 1788∼1853 ... 193│음식
이규경, 1788∼1856 ... 195│ 도다변증설 /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개다와 죽로차
이상적, 1803∼1865 ... 214│ 용단승설을 적다
최한기, 1803∼1879 ... 217│ 음식의 훈증
조재삼, 1808∼1866 ... 218│ 황차 / *황차 관련 기록
이유원, 1814∼1888 ... 220│ 다시청
신헌구, 1823∼1902 ... 222│ 해다설
김윤식, 1835∼1922 ... 224│ 차 주발 / 이홍장과의 담화 / 정약용과 강진 차 / 내아문 포시
승정원일기 ... 233│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우전차의 효능 / 작설차의 효능 / 삼남의 작설차 / 작설차의 복용법
조선왕조실록 ... 247│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다례에 쓰던 인삼차 /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
원문 ... 257
인명 사전 ... 353
서명 사전 ... 376
찾아보기 ...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