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축사 / 정흥보[춘천MBC 사장] = 5
머리말 / 정동일[한림대 교수] = 9
제1장 연구의 목적과 개관 / 정동일 = 21
1. 연구의 목적 = 21
2. 조사의 개요 = 24
제2장 춘천의 연구 / 정동일 = 29
1. 서론 = 29
2. 인구추세 및 인구변동 = 31
3. 춘천의 인구구조와 구성의 변화 = 42
4. 춘천의 도시생태학적 구조와 과정 = 50
제3장 춘천의 경제와 산업 / 정동일 = 59
1. 춘천 경제의 현황 = 59
2. 춘천의 고용구조 = 64
3. 춘천의 노동시장 = 71
4. 춘천 경제에 대한 평가 = 75
제4장 춘천사회의 계층과 불평등 / 윤상우 = 79
1. 서론 = 79
2. 강원ㆍ춘천지역의 경제상황 = 82
3. 춘천사회의 계층구조 = 87
4. 춘천의 계층별 정보불평등 = 99
5. 춘천시민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 103
6. 결론 = 115
제5장 지방자치와 지역정치 / 성경륭 = 119
1. 서론 = 119
2. 일반적 정치성향과 정치적 선택 = 120
3. 지방자치 평가 = 127
4. 지방자치와 지방정치의 가치 갈등 = 132
5. 춘천시 지방자치의 미래 = 136
6. 결론 = 141
제6장 지역사회 소수자로서 다문화가족: 현실과 문제 / 신경아 ; 박기남 = 145
1. 다문화사회와 결혼이민자가족 = 145
2. 연구방법 = 149
3.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주요 특징: 설문조사 결과 = 152
4. 다문화가족의 빈곤과 불안정성: 심층면접 결과 = 169
5. 결론 = 182
제7장 사회운동의 지역화 현상과 개방적 지역주의의 가능성 / 엄한진 = 185
1. 서론: 지역주의의 양면성 = 185
2. 중립적 개념으로서의 지역주의 = 187
3. 춘천 시민사회단체의 지역화 현상 = 191
4. 요약 및 결론 = 210
제8장 중소도시의 대학: '토착사회'의 '창조 노마드' / 박준식 = 213
1. 서론 = 213
2. 인구, 생산, 소비 = 218
3. 사람의 육성, 고용의 창출 = 225
4. 창조집단의 역동성 = 233
5. 브랜드, 시민사회, 사회적 자본 = 241
6. 깊은 상호의존의 길 = 245
제9장 지역사회 춘천의 발전과 이슈, 그리고 과제 / 유팔무 = 253
1. 서론: 춘천의 입지와 지역발전의 개황 = 253
2. 지역발전에 대한 춘천시민들의 인식과 평가: 과거 = 256
3. 개방시대 춘천의 지역발전과 삶에 대한 만족, 그리고 희망 = 266
4. 지역발전의 전략과 이슈, 그리고 불협화음 = 276
5. 개방시대 춘천의 미래발전을 위한 몇 가지 과제 = 286
부록 춘천시민의 의식과 생활에 관한 조사 = 289
참고문헌 = 306
필자소개 = 311
축사 / 정흥보[춘천MBC 사장] = 5
머리말 / 정동일[한림대 교수] = 9
제1장 연구의 목적과 개관 / 정동일 = 21
1. 연구의 목적 = 21
2. 조사의 개요 = 24
제2장 춘천의 연구 / 정동일 = 29
1. 서론 = 29
2. 인구추세 및 인구변동 = 31
3. 춘천의 인구구조와 구성의 변화 = 42
4. 춘천의 도시생태학적 구조와 과정 = 50
제3장 춘천의 경제와 산업 / 정동일 = 59
1. 춘천 경제의 현황 = 59
2. 춘천의 고용구조 = 64
3. 춘천의 노동시장 = 71
4. 춘천 경제에 대한 평가 = 75
제4장 춘천사회의 계층과 불평등 / 윤상우 = 79
1. 서론 = 79
2. 강원ㆍ춘천지역의 경제상황 = 82
3. 춘천사회의 계층구조 = 87
4. 춘천의 계층별 정보불평등 = 99
5. 춘천시민의 불평등에 대한 인식 = 103
6. 결론 = 115
제5장 지방자치와 지역정치 / 성경륭 = 119
1. 서론 = 119
2. 일반적 정치성향과 정치적 선택 = 120
3. 지방자치 평가 = 127
4. 지방자치와 지방정치의 가치 갈등 = 132
5. 춘천시 지방자치의 미래 = 136
6. 결론 = 141
제6장 지역사회 소수자로서 다문화가족: 현실과 문제 / 신경아 ; 박기남 = 145
1. 다문화사회와 결혼이민자가족 = 145
2. 연구방법 = 149
3.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주요 특징: 설문조사 결과 = 152
4. 다문화가족의 빈곤과 불안정성: 심층면접 결과 = 169
5. 결론 = 182
제7장 사회운동의 지역화 현상과 개방적 지역주의의 가능성 / 엄한진 = 185
1. 서론: 지역주의의 양면성 = 185
2. 중립적 개념으로서의 지역주의 = 187
3. 춘천 시민사회단체의 지역화 현상 = 191
4. 요약 및 결론 = 210
제8장 중소도시의 대학: '토착사회'의 '창조 노마드' / 박준식 = 213
1. 서론 = 213
2. 인구, 생산, 소비 = 218
3. 사람의 육성, 고용의 창출 = 225
4. 창조집단의 역동성 = 233
5. 브랜드, 시민사회, 사회적 자본 = 241
6. 깊은 상호의존의 길 = 245
제9장 지역사회 춘천의 발전과 이슈, 그리고 과제 / 유팔무 = 253
1. 서론: 춘천의 입지와 지역발전의 개황 = 253
2. 지역발전에 대한 춘천시민들의 인식과 평가: 과거 = 256
3. 개방시대 춘천의 지역발전과 삶에 대한 만족, 그리고 희망 = 266
4. 지역발전의 전략과 이슈, 그리고 불협화음 = 276
5. 개방시대 춘천의 미래발전을 위한 몇 가지 과제 = 286
부록 춘천시민의 의식과 생활에 관한 조사 = 289
참고문헌 = 306
필자소개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