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4
1 행복했던 어린 시절
1. 김교리 집안의 경사 = 13
2. 가숙(家塾)에서 글 공부 = 21
3. 주지스님도 탄복한 효심 = 28
4. 청빈속의 학문성취 = 54
2 두드려서 연 문
1. 실의(失意)의 약관(弱冠) 전야 = 67
2. 청운의 꿈 - 실력만으론 어러워 = 78
3. 학문에 정진, 또 정진 = 83
4. 두드려서 연 문 = 103
3 지치지 않는 열정
1. 아버지의 별세 = 109
2. 관계(官界)의 첫 걸음 = 114
3. 제물포 개항 사무 = 116
4. 대과급제(大科及第) = 126
4 자주외교를 위한 탈청반민(脫淸反閔)
1. 외교관 생활의 시작 = 129
2. 주차일본국 판사대신(辦事大臣) - 반청활동 = 142
5 지방관(地方官)으로
1. 여주목사(驪州牧使)에서 안동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 149
2. 목민관의 역할을 다하다 = 164
3. 정성을 다한 기우제(祈雨祭) = 168
4. 지방관직을 마무리하고 = 173
6 갑오경장(甲午更張)
1. 개혁의 동지들과 시회(詩會) = 179
2. 동학과정부의 쇠락 = 1810
3. 갑오경장에 주역으로 = 187
7 광무개혁(光武改革)
1. 박영효 사건에 연루 = 199
2. 청ㆍ일의 세력 다툼, 민비 시해사건 = 201
3. 아관파천(俄館播遷)과 대한제국 = 204
4. 자주독립운동에의 참여 = 206
5. 황해도관찰사 = 208
6. 광무개혁의 주역으로 = 220
8 대한제국(大韓帝國)의 마지막 대신
1. 겸직으로 능력 발휘 = 245
2. 백운장(白雲莊) 건축 = 248
4. 비원장(秘苑長) 시절 = 257
5. 수연(壽筵) = 259
6. 벽력대신(霹靂大臣) = 260
7. 충청남도 관찰사 = 263
8. 사립기호학교(私立畿湖學校) 설립 = 270
9. 마지막 관직 - 규장각 제학 = 274
9 학회(學會) 활동
1. 대한협회(大韓協會) = 279
2.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 = 285
10 나라는 망하고
1. 방향타(方向舵) 잃은 망국 유민 = 289
2. 경술국치(庚戌國恥) = 290
3. 두문불출(杜門不出) - 곤고한 세월 = 295
4. 삼일독립운동 = 297
11 마지막 열정을 불사른 노대신(老大臣)
1.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 총재 = 305
2. 천라지망(天羅地網)을 뚫고 상해로 망명 = 324
3. 77세로 영면(永眠) = 355
맺는 말 동농은 아직도 진행형인가 = 367
동농 김가진 연보 = 373
참고문헌 = 391
찾아보기 = 395
책 머리에 = 4
1 행복했던 어린 시절
1. 김교리 집안의 경사 = 13
2. 가숙(家塾)에서 글 공부 = 21
3. 주지스님도 탄복한 효심 = 28
4. 청빈속의 학문성취 = 54
2 두드려서 연 문
1. 실의(失意)의 약관(弱冠) 전야 = 67
2. 청운의 꿈 - 실력만으론 어러워 = 78
3. 학문에 정진, 또 정진 = 83
4. 두드려서 연 문 = 103
3 지치지 않는 열정
1. 아버지의 별세 = 109
2. 관계(官界)의 첫 걸음 = 114
3. 제물포 개항 사무 = 116
4. 대과급제(大科及第) = 126
4 자주외교를 위한 탈청반민(脫淸反閔)
1. 외교관 생활의 시작 = 129
2. 주차일본국 판사대신(辦事大臣) - 반청활동 = 142
5 지방관(地方官)으로
1. 여주목사(驪州牧使)에서 안동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 149
2. 목민관의 역할을 다하다 = 164
3. 정성을 다한 기우제(祈雨祭) = 168
4. 지방관직을 마무리하고 = 173
6 갑오경장(甲午更張)
1. 개혁의 동지들과 시회(詩會) = 179
2. 동학과정부의 쇠락 = 1810
3. 갑오경장에 주역으로 = 187
7 광무개혁(光武改革)
1. 박영효 사건에 연루 = 199
2. 청ㆍ일의 세력 다툼, 민비 시해사건 = 201
3. 아관파천(俄館播遷)과 대한제국 = 204
4. 자주독립운동에의 참여 = 206
5. 황해도관찰사 = 208
6. 광무개혁의 주역으로 = 220
8 대한제국(大韓帝國)의 마지막 대신
1. 겸직으로 능력 발휘 = 245
2. 백운장(白雲莊) 건축 = 248
4. 비원장(秘苑長) 시절 = 257
5. 수연(壽筵) = 259
6. 벽력대신(霹靂大臣) = 260
7. 충청남도 관찰사 = 263
8. 사립기호학교(私立畿湖學校) 설립 = 270
9. 마지막 관직 - 규장각 제학 = 274
9 학회(學會) 활동
1. 대한협회(大韓協會) = 279
2.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 = 285
10 나라는 망하고
1. 방향타(方向舵) 잃은 망국 유민 = 289
2. 경술국치(庚戌國恥) = 290
3. 두문불출(杜門不出) - 곤고한 세월 = 295
4. 삼일독립운동 = 297
11 마지막 열정을 불사른 노대신(老大臣)
1. 조선민족대동단(朝鮮民族大同團) 총재 = 305
2. 천라지망(天羅地網)을 뚫고 상해로 망명 = 324
3. 77세로 영면(永眠) = 355
맺는 말 동농은 아직도 진행형인가 = 367
동농 김가진 연보 = 373
참고문헌 = 391
찾아보기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