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 오늘날의 축제 현상 ... 15
2. 축제와 놀이 그리고 엑스터시 ... 21
3. 축제와 엑스터시 ... 35
I. 신과의 교감을 통한 엑스터시
1. 전통축제의 원형과 문화적 상징성 ... 47
2. 종교적 의례와 축제의 엑스터시 ... 57
3. 신과 교감을 위한 축제의 원형과 개발 ... 79
4. 종교적 의례의 변용과 엑스터시 ... 97
5. 신과 인간세계 통로의 창출 ... 106
6. 축제의 공간구성 ... 128
7. 맺으며: 엑스터시가 내재된 축제 생산의 가능성 ... 145
II. 전투 형태의 놀이와 엑스터시
1. 전투 형태 놀이의 제의적 성격과 특성 ... 154
2. 전투 놀이의 축제적 형태 ... 157
3. 전투축제의 의례적 요소와 엑스터시 ... 177
4. 힘과 기교의 축제와 신화적 배경 ... 181
5. 축제적 엑스터시와의 공모 관계적 요소 ... 189
6. 맺으며: 호연지기의 전투적 축제의 창출 ... 193
III. 디오니소스적 오르지와 엑스터시
1. 디오니소스와 무한 풍요의 오르지 ... 199
2. 카니발의 전복된 세계와 기원 ... 205
3. 세계의 카니발과 그 문화적 특성 ... 213
4. 카니발의 신화적 원형과 상징성 ... 235
5. 맺으며: 디오니소스적 오르지와 엑스터시의 변용 ... 254
IV. 아폴론적 예술세계와 엑스터시
1. 거리축제와 특성 ... 259
2. 유럽의 거리예술제와 그 역사적 뿌리 ... 272
3. 디오니소스와 아폴론의 예술적 통합과 엑스터시 ... 275
4. 거리예술과 남사당놀이 ... 282
5. 맺으며: 카니발과 거리축제의 유사성과 차별성 ... 289
제안으로서의 에필로그 ... 292
1. 오늘날의 축제 현상 ... 15
2. 축제와 놀이 그리고 엑스터시 ... 21
3. 축제와 엑스터시 ... 35
I. 신과의 교감을 통한 엑스터시
1. 전통축제의 원형과 문화적 상징성 ... 47
2. 종교적 의례와 축제의 엑스터시 ... 57
3. 신과 교감을 위한 축제의 원형과 개발 ... 79
4. 종교적 의례의 변용과 엑스터시 ... 97
5. 신과 인간세계 통로의 창출 ... 106
6. 축제의 공간구성 ... 128
7. 맺으며: 엑스터시가 내재된 축제 생산의 가능성 ... 145
II. 전투 형태의 놀이와 엑스터시
1. 전투 형태 놀이의 제의적 성격과 특성 ... 154
2. 전투 놀이의 축제적 형태 ... 157
3. 전투축제의 의례적 요소와 엑스터시 ... 177
4. 힘과 기교의 축제와 신화적 배경 ... 181
5. 축제적 엑스터시와의 공모 관계적 요소 ... 189
6. 맺으며: 호연지기의 전투적 축제의 창출 ... 193
III. 디오니소스적 오르지와 엑스터시
1. 디오니소스와 무한 풍요의 오르지 ... 199
2. 카니발의 전복된 세계와 기원 ... 205
3. 세계의 카니발과 그 문화적 특성 ... 213
4. 카니발의 신화적 원형과 상징성 ... 235
5. 맺으며: 디오니소스적 오르지와 엑스터시의 변용 ... 254
IV. 아폴론적 예술세계와 엑스터시
1. 거리축제와 특성 ... 259
2. 유럽의 거리예술제와 그 역사적 뿌리 ... 272
3. 디오니소스와 아폴론의 예술적 통합과 엑스터시 ... 275
4. 거리예술과 남사당놀이 ... 282
5. 맺으며: 카니발과 거리축제의 유사성과 차별성 ... 289
제안으로서의 에필로그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