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서문
제1장 문예사조란 무엇인가 = 15
1. 문예사조의 개념 = 25
2. 문예사조, 양식, 창작 방법 = 29
3. 문예사조와 문학사 = 33
4. 문예사조의 한국적 양상 = 35
제2장 그리스의 고전문학과 문학 이론 = 39
1. 고대 그리스의 사회 환경과 새로운 정신 = 57
2. 고대 그리스의 문학 이론 = 60
1) 플라톤의 사상과 문학 이론
2)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문학 이론
3) 호레이스의 문학 이론
4) 롱기누스의 문학 이론 - 숭고론
3. 고대 그리스의 문학과 그에 대한 비평 = 76
일리아스
오디세이
아가멤논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트로이의 여인들
제3장 르네상스 = 103
1. 중세 사회와 문학 = 138
2.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문화 = 148
3. 르네상스 시대의 문학 = 156
햄릿
돈키호테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제4장 고전주의와 계몽주의 = 167
1. 고전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178
2. 고전주의 시대의 철학과 문학 이론 = 180
3. 고전주의 문학의 전개 = 189
르시드
타르튀프
페드르
4. 계몽주의 문학 = 198
제5장 낭만주의 = 207
1. 낭만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219
2. 낭만주의 시대의 철학과 문학 이론 = 225
3. 낭만주의의 전개 = 236
1) 전기 낭만주의
2) 낭만주의의 본격적 전개
아이반호
르네
4. 한국의 낭만주의 = 273
제6장 리얼리즘, 자연주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 279
1. 리얼리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292
2. 리얼리즘의 철학적 배경과 문학 이론 = 296
3. 리얼리즘 문학의 전개 = 308
적과 흑
고리오 영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4. 자연주의의 발생과 문학 이론 = 328
5. 자연주의 문학의 전개 = 333
보바리 부인
목로주점
6.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전사(前史) = 342
7.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개념 = 349
8.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전개 = 357
고요한 돈 강
9. 한국 문학의 리얼리즘 = 364
제7장 상징주의와 심미주의 = 367
1. 상징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382
2. 상징주의의 문학 이론과 철학적 배경 = 385
3. 상징주의 문학의 전개 = 396
4. 심미주의의 개념 = 428
5. 심미주의 이론의 전개와 철학적 배경 = 433
6. 심미주의 문학의 전개 = 442
7. 한국 문학의 상징주의와 심미주의 = 452
제8장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운동과 영미의 주지주의 = 455
1. 모더니즘 발생의 사회 역사적 조건 = 468
2.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이 된 문화적 상황 = 474
3. 모더니즘 문학의 전개 = 478
1) 아방가르드 운동
가. 미래주의
나. 다다이즘
다. 초현실주의
라. 표현주의
2) 영미의 모더니즘
가. 영미 모더니즘의 철학적 배경
나. 영미 모더니즘의 문학 이론
다. 영미 모더니즘 문학의 양상
4. 한국의 모더니즘 = 572
제9장 포스트모더니즘 = 575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 583
2. 포스트모더니즘 발생의 사회 역사적 조건 = 588
3.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배경 = 594
4.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과 이론 = 606
5.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전개 = 622
1) 시문학
2) 소설 문학
6. 한국 문학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 = 677
개정판을 내면서
서문
제1장 문예사조란 무엇인가 = 15
1. 문예사조의 개념 = 25
2. 문예사조, 양식, 창작 방법 = 29
3. 문예사조와 문학사 = 33
4. 문예사조의 한국적 양상 = 35
제2장 그리스의 고전문학과 문학 이론 = 39
1. 고대 그리스의 사회 환경과 새로운 정신 = 57
2. 고대 그리스의 문학 이론 = 60
1) 플라톤의 사상과 문학 이론
2)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문학 이론
3) 호레이스의 문학 이론
4) 롱기누스의 문학 이론 - 숭고론
3. 고대 그리스의 문학과 그에 대한 비평 = 76
일리아스
오디세이
아가멤논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트로이의 여인들
제3장 르네상스 = 103
1. 중세 사회와 문학 = 138
2.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문화 = 148
3. 르네상스 시대의 문학 = 156
햄릿
돈키호테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제4장 고전주의와 계몽주의 = 167
1. 고전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178
2. 고전주의 시대의 철학과 문학 이론 = 180
3. 고전주의 문학의 전개 = 189
르시드
타르튀프
페드르
4. 계몽주의 문학 = 198
제5장 낭만주의 = 207
1. 낭만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219
2. 낭만주의 시대의 철학과 문학 이론 = 225
3. 낭만주의의 전개 = 236
1) 전기 낭만주의
2) 낭만주의의 본격적 전개
아이반호
르네
4. 한국의 낭만주의 = 273
제6장 리얼리즘, 자연주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 279
1. 리얼리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292
2. 리얼리즘의 철학적 배경과 문학 이론 = 296
3. 리얼리즘 문학의 전개 = 308
적과 흑
고리오 영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4. 자연주의의 발생과 문학 이론 = 328
5. 자연주의 문학의 전개 = 333
보바리 부인
목로주점
6.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전사(前史) = 342
7.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개념 = 349
8.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전개 = 357
고요한 돈 강
9. 한국 문학의 리얼리즘 = 364
제7장 상징주의와 심미주의 = 367
1. 상징주의 발생의 사회적 조건 = 382
2. 상징주의의 문학 이론과 철학적 배경 = 385
3. 상징주의 문학의 전개 = 396
4. 심미주의의 개념 = 428
5. 심미주의 이론의 전개와 철학적 배경 = 433
6. 심미주의 문학의 전개 = 442
7. 한국 문학의 상징주의와 심미주의 = 452
제8장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운동과 영미의 주지주의 = 455
1. 모더니즘 발생의 사회 역사적 조건 = 468
2. 모더니즘의 발생 배경이 된 문화적 상황 = 474
3. 모더니즘 문학의 전개 = 478
1) 아방가르드 운동
가. 미래주의
나. 다다이즘
다. 초현실주의
라. 표현주의
2) 영미의 모더니즘
가. 영미 모더니즘의 철학적 배경
나. 영미 모더니즘의 문학 이론
다. 영미 모더니즘 문학의 양상
4. 한국의 모더니즘 = 572
제9장 포스트모더니즘 = 575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 583
2. 포스트모더니즘 발생의 사회 역사적 조건 = 588
3.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배경 = 594
4.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과 이론 = 606
5.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전개 = 622
1) 시문학
2) 소설 문학
6. 한국 문학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 = 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