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이와쿠라 사절단 경로도 = 8
Ⅰ. 메이지 유신과 『미구회람실기』
1.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서양 - 문명과의 접점 = 14
2. 『미구회람실기』의 서양 이해 = 19
3. 『미구회람실기』 연구의 현 단계 = 24
Ⅱ. 서양 문명과의 만남
1. 숙녀와 창부 - 서양 사회와 유교 사회 = 30
2. 호텔ㆍ건물ㆍ수도 - 도시의 기반 정비 = 37
3. 도로ㆍ철도ㆍ운하 - 교통기관과 공간의 확대 = 46
Ⅲ. 정치와 교육
1. 의회와 정치 - 국가와 인민 = 56
2. 티에르와 비스마르크 = 68
3. 학교와 수업 - 교육의 실태 = 81
Ⅳ. 자본주의 시스템
1. 공장과 노동자 - 산업의 구조 = 92
2. 상업과 무역 - 자본주의의 구조 = 101
3. 통신과 신문 - 저널리즘의 역할 = 107
Ⅴ. 사회에 대한 관점
1. 백인ㆍ흑인ㆍ인디언ㆍ황색인종 - 인종관의 모습 = 116
2. 물과 삼림보호 - 자연과 규제 = 122
3. 병원과 시설 - 환경 인식과 약자 보호 = 132
Ⅵ. 과학과 문화
1. 동물원ㆍ박물관ㆍ박람회 - 앎의 체계화 = 140
2. 공원과 아카이브즈 - 공공의 공간 = 147
3. 성서와 국가 - 종교의 역할 = 157
Ⅶ. 『미구회람실기』와 『문명론지개략』 - 푸안신 사절단 및 나카에 조민과 관련하여
1. 푸안신 사절단과 이와쿠라 사절단 = 166
2. 『미구회람실기』와 『문명론지개략』 - 구메 구니타케와 후쿠자와 유키치 = 170
3. 진보와 지의 창조 = 185
후기 = 193
부록
1.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구미회람 연표 = 197
2. 출발시의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 201
책머리에 = 5
이와쿠라 사절단 경로도 = 8
Ⅰ. 메이지 유신과 『미구회람실기』
1.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서양 - 문명과의 접점 = 14
2. 『미구회람실기』의 서양 이해 = 19
3. 『미구회람실기』 연구의 현 단계 = 24
Ⅱ. 서양 문명과의 만남
1. 숙녀와 창부 - 서양 사회와 유교 사회 = 30
2. 호텔ㆍ건물ㆍ수도 - 도시의 기반 정비 = 37
3. 도로ㆍ철도ㆍ운하 - 교통기관과 공간의 확대 = 46
Ⅲ. 정치와 교육
1. 의회와 정치 - 국가와 인민 = 56
2. 티에르와 비스마르크 = 68
3. 학교와 수업 - 교육의 실태 = 81
Ⅳ. 자본주의 시스템
1. 공장과 노동자 - 산업의 구조 = 92
2. 상업과 무역 - 자본주의의 구조 = 101
3. 통신과 신문 - 저널리즘의 역할 = 107
Ⅴ. 사회에 대한 관점
1. 백인ㆍ흑인ㆍ인디언ㆍ황색인종 - 인종관의 모습 = 116
2. 물과 삼림보호 - 자연과 규제 = 122
3. 병원과 시설 - 환경 인식과 약자 보호 = 132
Ⅵ. 과학과 문화
1. 동물원ㆍ박물관ㆍ박람회 - 앎의 체계화 = 140
2. 공원과 아카이브즈 - 공공의 공간 = 147
3. 성서와 국가 - 종교의 역할 = 157
Ⅶ. 『미구회람실기』와 『문명론지개략』 - 푸안신 사절단 및 나카에 조민과 관련하여
1. 푸안신 사절단과 이와쿠라 사절단 = 166
2. 『미구회람실기』와 『문명론지개략』 - 구메 구니타케와 후쿠자와 유키치 = 170
3. 진보와 지의 창조 = 185
후기 = 193
부록
1.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구미회람 연표 = 197
2. 출발시의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