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1부 17∼18세기
〈서왕가(西往歌)〉전승의 계보학과 구술성의 층위
1. 머리말 = 15
2.〈서왕가〉전승의 계보학 = 17
3.〈서왕가〉에 나타난 구술성의 층위 = 24
1) 내용의 관습성 = 25
2) 구비공식구와 민요적 율격 = 28
3) 기억 단위로서의 대구와 동어반복 = 30
4) 단락의 누적적 첨가 = 34
4.〈서왕가〉의 형성과 전승 과정 재구 = 39
1) 가능태로서의〈서왕가〉 = 41
2) 가사〈서왕가〉의 형성과 전승 = 42
5. 맺음말 = 47
〈태평곡(太平曲)〉의 현실주의적 독법
1. 머리말 = 49
2. 행장과 교유록을 통해 본 침굉의 지향성 = 52
3. 작품에 반영된 침굉의 현실인식 = 58
1) 사원 내의 경제 행위 = 58
2) 승단의 질적 저하 = 63
3) 모순 극복을 위한 제언의 현실적 의미 = 66
4. 문체적 특징과 현실성 = 69
5. 맺음말 = 73
〈회심가(回心歌)〉의 컨텍스트와 작가론적 전망
1. 왜〈회심가〉인가 = 75
2. 작가를 찾아서 = 78
1)『보권염불문(普勸念佛文)』다시 읽기 = 78
2) 청허휴정 작가설의 비판 = 86
3. 쾌선(快善) 작가설의 내적 논리 = 90
1) 쾌선의 삶과 사상 = 90
2) 쾌선의 현실인식과〈회심가〉 = 93
4. 쾌선의 글쓰기 층위와〈회심가〉 = 99
1) 현실 묘사의 역사성 - 종교적 해석과 현재적 의미 = 99
2) 선ㆍ교ㆍ염불의 회통 = 105
3) 형식적 실험가〈회심가〉 = 107
5. 맺음말 = 110
2부 19세기
1850년대 불서간행운동(佛書刊行運動)과 불교가사 - 남호영기(南湖永奇)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115
2. 1850년대 남호영기의 판각활동과 한북(漢北)의 종장(宗匠)들 = 117
1) 남호영기의 판각활동 = 117
2) 판각운동을 함께 한 교학승과의 교유록 = 118
3.『화엄경』판각의 논리와 불교가사 창작의 배경 = 131
4. 판각운동과 관련된 불교가사의 양상 = 136
5. 맺음말 = 140
〈광대모연가(廣大募緣歌)〉의 표현미학과 문학사적 의의
1. 머리말 = 143
2. 창작 배경 = 145
3. 구조와 표현미학 = 147
1) 구조적 특징 - 경전구조의 변용 = 147
2) 표현적 특징 - 화엄미학의 구현 = 151
4. 문학사적 의의 = 157
1) 19세기 종교가사로서의 위상 = 157
2) 모연가사와 화엄시가로서의 위상 = 159
5. 맺음말 = 161
〈권왕가(勸往歌)〉의 작가 복원과 만일염불회
1. 머리말 = 164
2. 작가를 찾아서 = 167
3. 판각불사운동(板刻佛事運動)과 교유의 양상 = 171
1) 벽오유총(碧悟侑聰)ㆍ영암취학(靈岩就學) = 172
2) 남호영기(南湖永奇)ㆍ금계당 장환(金鷄堂 壯渙)ㆍ추사 김정희 = 174
3) 쌍월성활(雙月性闊)ㆍ보월당 혜소(寶月堂 慧昭)ㆍ화은호경(華隱護敬) = 179
4.〈권왕가〉와 만일염불회 = 184
5. 맺음말 = 187
〈권왕가(勸往歌)〉의 구조와 선행담론
1. 머리말 = 189
2.〈권왕가〉의 내용단락 = 191
3.〈권왕가〉의 선행 담론 = 194
1) 정토삼부경 = 194
2) 염불법문 = 198
3) 정토변증론 = 202
4) 임종정념문 = 204
5) 왕생전 = 206
4. 맺음말 = 210
〈토굴가(土窟歌)〉의 작가 복원과 문화사적 의의
1. 머리말 = 213
2.〈토굴가〉의 작가 복원 = 216
1) 기존의 작가설에 대한 검증 = 216
2) 영암취학(靈岩就學)의 삶과 시대 = 218
3. 대중적 전파의 작품내적 요인 = 223
1) 토굴의 공간성에 대한 형상화 = 224
2) 다양한 양식의 차용과 복합 구성 = 229
4.〈토굴가〉의 문화사적 의의 = 234
5. 맺음말 = 236
〈토굴가(土窟歌)〉의 전승경로와 19세기 참선곡류 가사의 향방
1. 머리말 = 238
2. 이본의 성격과 지향성 = 239
3. 전승의 양상과 경로 = 243
1) 전승의 양상 = 243
2) 전승의 경로 = 254
4. 19세기 참선곡류 가사의 향방 = 256
5. 맺음말 = 259
〈회심곡(回心曲)〉과 탱화의 상호텍스트성
1. 머리말 = 261
2.〈회심곡〉생성 공간으로서 명부전의 위상 = 263
3.〈시왕도(十王圖)〉와〈회심곡〉의 상호텍스트성과 의의 = 268
1) 서사적 전개양상 = 268
2) 표현 미학 = 277
3) 상호텍스트성의 의의 = 283
4. 맺음말 = 285
3부 20세기
근대불교혁신운동과 불교가사의 관련양상 - 鶴鳴의 가사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289
2. 근대불교혁신운동과 불교가요의 전개양상 = 293
3. 학명(鶴鳴)의 선농병행운동(禪農N&行運動)과 가사의 창작 = 297
4. 학명 가사의 문학적 특성 = 300
1) 이원적 주제의 조화 - '나'의 중층적 의미 = 300
2) 노동과 가창 리듬의 조화 = 304
3) 선시적(禪詩的)표현 기법의 활용 = 307
5. 학명(鶴鳴) 가사의 문화사적 위상 = 309
6. 맺음말 = 312
한암〈참선곡(參禪曲)〉의 텍스트 비평과 문화사적 의의
1. 머리말 = 314
2. 서지적 고찰 = 316
1)『한암선사법어(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 317
2)『한암선사법어』의 편찬의식과 사회역사적 맥락 = 321
3)〈참선곡〉의 작자ㆍ발기인ㆍ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 325
3.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 = 329
1)〈회심곡〉〈자책가〉〈백발가〉와의 상호텍스트성 = 331
2)『수심결』및 경허 가사와의 상호텍스트성 = 334
3) 불교가사의 구성원리와 상호텍스트성 = 336
4. 맺음말 - 문화사적 의의 = 339
참고문헌 = 342
찾아보기 = 346
책머리에 = 3
1부 17∼18세기
〈서왕가(西往歌)〉전승의 계보학과 구술성의 층위
1. 머리말 = 15
2.〈서왕가〉전승의 계보학 = 17
3.〈서왕가〉에 나타난 구술성의 층위 = 24
1) 내용의 관습성 = 25
2) 구비공식구와 민요적 율격 = 28
3) 기억 단위로서의 대구와 동어반복 = 30
4) 단락의 누적적 첨가 = 34
4.〈서왕가〉의 형성과 전승 과정 재구 = 39
1) 가능태로서의〈서왕가〉 = 41
2) 가사〈서왕가〉의 형성과 전승 = 42
5. 맺음말 = 47
〈태평곡(太平曲)〉의 현실주의적 독법
1. 머리말 = 49
2. 행장과 교유록을 통해 본 침굉의 지향성 = 52
3. 작품에 반영된 침굉의 현실인식 = 58
1) 사원 내의 경제 행위 = 58
2) 승단의 질적 저하 = 63
3) 모순 극복을 위한 제언의 현실적 의미 = 66
4. 문체적 특징과 현실성 = 69
5. 맺음말 = 73
〈회심가(回心歌)〉의 컨텍스트와 작가론적 전망
1. 왜〈회심가〉인가 = 75
2. 작가를 찾아서 = 78
1)『보권염불문(普勸念佛文)』다시 읽기 = 78
2) 청허휴정 작가설의 비판 = 86
3. 쾌선(快善) 작가설의 내적 논리 = 90
1) 쾌선의 삶과 사상 = 90
2) 쾌선의 현실인식과〈회심가〉 = 93
4. 쾌선의 글쓰기 층위와〈회심가〉 = 99
1) 현실 묘사의 역사성 - 종교적 해석과 현재적 의미 = 99
2) 선ㆍ교ㆍ염불의 회통 = 105
3) 형식적 실험가〈회심가〉 = 107
5. 맺음말 = 110
2부 19세기
1850년대 불서간행운동(佛書刊行運動)과 불교가사 - 남호영기(南湖永奇)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115
2. 1850년대 남호영기의 판각활동과 한북(漢北)의 종장(宗匠)들 = 117
1) 남호영기의 판각활동 = 117
2) 판각운동을 함께 한 교학승과의 교유록 = 118
3.『화엄경』판각의 논리와 불교가사 창작의 배경 = 131
4. 판각운동과 관련된 불교가사의 양상 = 136
5. 맺음말 = 140
〈광대모연가(廣大募緣歌)〉의 표현미학과 문학사적 의의
1. 머리말 = 143
2. 창작 배경 = 145
3. 구조와 표현미학 = 147
1) 구조적 특징 - 경전구조의 변용 = 147
2) 표현적 특징 - 화엄미학의 구현 = 151
4. 문학사적 의의 = 157
1) 19세기 종교가사로서의 위상 = 157
2) 모연가사와 화엄시가로서의 위상 = 159
5. 맺음말 = 161
〈권왕가(勸往歌)〉의 작가 복원과 만일염불회
1. 머리말 = 164
2. 작가를 찾아서 = 167
3. 판각불사운동(板刻佛事運動)과 교유의 양상 = 171
1) 벽오유총(碧悟侑聰)ㆍ영암취학(靈岩就學) = 172
2) 남호영기(南湖永奇)ㆍ금계당 장환(金鷄堂 壯渙)ㆍ추사 김정희 = 174
3) 쌍월성활(雙月性闊)ㆍ보월당 혜소(寶月堂 慧昭)ㆍ화은호경(華隱護敬) = 179
4.〈권왕가〉와 만일염불회 = 184
5. 맺음말 = 187
〈권왕가(勸往歌)〉의 구조와 선행담론
1. 머리말 = 189
2.〈권왕가〉의 내용단락 = 191
3.〈권왕가〉의 선행 담론 = 194
1) 정토삼부경 = 194
2) 염불법문 = 198
3) 정토변증론 = 202
4) 임종정념문 = 204
5) 왕생전 = 206
4. 맺음말 = 210
〈토굴가(土窟歌)〉의 작가 복원과 문화사적 의의
1. 머리말 = 213
2.〈토굴가〉의 작가 복원 = 216
1) 기존의 작가설에 대한 검증 = 216
2) 영암취학(靈岩就學)의 삶과 시대 = 218
3. 대중적 전파의 작품내적 요인 = 223
1) 토굴의 공간성에 대한 형상화 = 224
2) 다양한 양식의 차용과 복합 구성 = 229
4.〈토굴가〉의 문화사적 의의 = 234
5. 맺음말 = 236
〈토굴가(土窟歌)〉의 전승경로와 19세기 참선곡류 가사의 향방
1. 머리말 = 238
2. 이본의 성격과 지향성 = 239
3. 전승의 양상과 경로 = 243
1) 전승의 양상 = 243
2) 전승의 경로 = 254
4. 19세기 참선곡류 가사의 향방 = 256
5. 맺음말 = 259
〈회심곡(回心曲)〉과 탱화의 상호텍스트성
1. 머리말 = 261
2.〈회심곡〉생성 공간으로서 명부전의 위상 = 263
3.〈시왕도(十王圖)〉와〈회심곡〉의 상호텍스트성과 의의 = 268
1) 서사적 전개양상 = 268
2) 표현 미학 = 277
3) 상호텍스트성의 의의 = 283
4. 맺음말 = 285
3부 20세기
근대불교혁신운동과 불교가사의 관련양상 - 鶴鳴의 가사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289
2. 근대불교혁신운동과 불교가요의 전개양상 = 293
3. 학명(鶴鳴)의 선농병행운동(禪農N&行運動)과 가사의 창작 = 297
4. 학명 가사의 문학적 특성 = 300
1) 이원적 주제의 조화 - '나'의 중층적 의미 = 300
2) 노동과 가창 리듬의 조화 = 304
3) 선시적(禪詩的)표현 기법의 활용 = 307
5. 학명(鶴鳴) 가사의 문화사적 위상 = 309
6. 맺음말 = 312
한암〈참선곡(參禪曲)〉의 텍스트 비평과 문화사적 의의
1. 머리말 = 314
2. 서지적 고찰 = 316
1)『한암선사법어(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 317
2)『한암선사법어』의 편찬의식과 사회역사적 맥락 = 321
3)〈참선곡〉의 작자ㆍ발기인ㆍ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 325
3.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 = 329
1)〈회심곡〉〈자책가〉〈백발가〉와의 상호텍스트성 = 331
2)『수심결』및 경허 가사와의 상호텍스트성 = 334
3) 불교가사의 구성원리와 상호텍스트성 = 336
4. 맺음말 - 문화사적 의의 = 339
참고문헌 = 342
찾아보기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