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 = 11
1. 硏究目的과 硏究史 정리 = 11
2. 硏究方法 = 17
Ⅱ 生涯와 學問 = 21
1. 家系와 生涯 = 21
1) 家系 = 21
2) 生涯 = 26
2. 修學 過程 = 29
1) 師承關係 = 29
2) 獨學과 士類들과의 討論 = 39
Ⅲ 經學思想과 斯文亂賊 論爭 = 45
1. 原始儒學 中心의 經學思想 = 45
1) 朝鮮時代 經學 硏究 = 45
2) 尹?의 六經 中心의 經學硏究 = 48
2. 斯文亂賊 論爭 = 61
1) 宋時烈의 斯文亂賊 指目 = 61
2) 士類들의 반응 = 63
3) 朱子絶對主義와 朱子相對主義의 대립 = 69
Ⅳ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75
1. 反正名分의 强化와 孝宗의 北伐政策 = 75
1) 仁祖反正의 名分과 孝宗의 王位繼承 = 75
2) 山林의 政界進出과 崇明義理論的 北伐論 = 83
2. 尹?의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88
1) 出仕名分-北伐大義 = 88
2) 肅宗 初 北伐論의 擡頭와 尹?의 政界 進出 = 92
3)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98
3. 北伐政策 推進改革案 = 105
1) 摠府郞의 설치와 萬人科의 실시 = 105
2) 수레와 火砲의 제작 = 110
3) 五家作統法과 號牌法의 재정비 = 114
Ⅴ 三代復古的 帝王政治論 = 121
1. 己亥服制論爭과 帝王至尊的 禮論 = 121
1) 己亥服制論爭과 尹?의 介入 = 121
2) 尹?의 帝王至尊的 禮論 = 129
2. 慈聖照管論爭과 王權의 至尊性 = 134
1) 尹?의 '慈聖照管' 발언 = 134
2) 王權의 至尊性과 母后의 政治參與問題 = 137
3. 帝王 중심의 三代政治의 구현 = 142
1) 幼主의 왕위계승과 帝王學의 강조 = 142
2) '三代政治' 具現을 위한 制度改革 = 149
Ⅵ 結論 = 161
參考文獻 = 170
Ⅰ 序論 = 11
1. 硏究目的과 硏究史 정리 = 11
2. 硏究方法 = 17
Ⅱ 生涯와 學問 = 21
1. 家系와 生涯 = 21
1) 家系 = 21
2) 生涯 = 26
2. 修學 過程 = 29
1) 師承關係 = 29
2) 獨學과 士類들과의 討論 = 39
Ⅲ 經學思想과 斯文亂賊 論爭 = 45
1. 原始儒學 中心의 經學思想 = 45
1) 朝鮮時代 經學 硏究 = 45
2) 尹?의 六經 中心의 經學硏究 = 48
2. 斯文亂賊 論爭 = 61
1) 宋時烈의 斯文亂賊 指目 = 61
2) 士類들의 반응 = 63
3) 朱子絶對主義와 朱子相對主義의 대립 = 69
Ⅳ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75
1. 反正名分의 强化와 孝宗의 北伐政策 = 75
1) 仁祖反正의 名分과 孝宗의 王位繼承 = 75
2) 山林의 政界進出과 崇明義理論的 北伐論 = 83
2. 尹?의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88
1) 出仕名分-北伐大義 = 88
2) 肅宗 初 北伐論의 擡頭와 尹?의 政界 進出 = 92
3) 國家自尊的 北伐大義論 = 98
3. 北伐政策 推進改革案 = 105
1) 摠府郞의 설치와 萬人科의 실시 = 105
2) 수레와 火砲의 제작 = 110
3) 五家作統法과 號牌法의 재정비 = 114
Ⅴ 三代復古的 帝王政治論 = 121
1. 己亥服制論爭과 帝王至尊的 禮論 = 121
1) 己亥服制論爭과 尹?의 介入 = 121
2) 尹?의 帝王至尊的 禮論 = 129
2. 慈聖照管論爭과 王權의 至尊性 = 134
1) 尹?의 '慈聖照管' 발언 = 134
2) 王權의 至尊性과 母后의 政治參與問題 = 137
3. 帝王 중심의 三代政治의 구현 = 142
1) 幼主의 왕위계승과 帝王學의 강조 = 142
2) '三代政治' 具現을 위한 制度改革 = 149
Ⅵ 結論 = 161
參考文獻 =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