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5
1. 퇴계의 시혼, 남도에서 피다
퇴계가 남쪽으로 간 까닭 = 15
퇴계의 남행 기록 = 24
2. 남도에 젖어든 퇴계의 숨결
합천 지역
고운 선생이 떠난 지 이미 천년 /가야산 = 33
공명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찾은 남정 /함벽루 = 38
남도에서 보는 아름다운 경치 /쌍명헌 = 43
의령지역
탁영 선생을 그리며 /백암동현 = 49
강심에 떠 있는 나뭇잎 같은 배 한 척 /정암진 = 54
가슴에 묻은 둘째 아들 /채의 묘 = 59
시를 재촉하는 빗줄기 /신번현 = 64
함안 지역
달과 나, 그리고 내 그림자 /죽재와 삼우대 = 69
망년지교를 보내며 /오언의 묘갈 = 74
마산 지역
달이 전하는 고운 선생의 마음 /월영대 = 78
유쾌한 등산,알수 없는 슬픔 /코바위 = 84
진주 지역
비 소리로 듣는 그대의 시 /법륜사 = 87
모였다 흩어지고, 살고 죽고 /청곡사 = 91
미소로 굽어보는 남강의 모래톱 /촉석루 = 96
사천 지역
지 짓는 신선이 사는 곳 /곤양 = 101
밀물과 썰물, 글알 수 없는 원리 /까치섬 = 106
떠나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 /완사계 = 110
거북이 전해준 위대한 뜻 /구암정사 = 115
거창 지역
전가에서 느끼는 인새으이 참 즐거움 /사락정 = 121
구름 낀 벼랑에 쓴 시 /수승대 = 126
기타 지역
넘치는 시흥 / 밀양 영남루 = 131
당당한 함양은 일두 선생의 고을/ 함양 남계서원 = 136
효도하다 죽었으니 무엇을 원망하랴 /창원 조효연 묘갈 = 141
효심과 애민, 그리고 절ㄹ의 /신청 문익점 효자비 = 146
3. 남도의 퇴계와 남영 이야기
색은 참기가 참으로 어렵소 = 155
솥장수 퇴계와 숫돌장수 남명 = 160
퇴계와 남명이 먹다가 뱉어 낸 물고기 = 165
퇴계와 남명의 시시계 = 171
부록 /나의 위대한 스승 퇴계 : 「도산사숙록」/정약용 = 177
인명 및 용어 풀이 = 215
1. 퇴계의 시혼, 남도에서 피다
퇴계가 남쪽으로 간 까닭 = 15
퇴계의 남행 기록 = 24
2. 남도에 젖어든 퇴계의 숨결
합천 지역
고운 선생이 떠난 지 이미 천년 /가야산 = 33
공명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찾은 남정 /함벽루 = 38
남도에서 보는 아름다운 경치 /쌍명헌 = 43
의령지역
탁영 선생을 그리며 /백암동현 = 49
강심에 떠 있는 나뭇잎 같은 배 한 척 /정암진 = 54
가슴에 묻은 둘째 아들 /채의 묘 = 59
시를 재촉하는 빗줄기 /신번현 = 64
함안 지역
달과 나, 그리고 내 그림자 /죽재와 삼우대 = 69
망년지교를 보내며 /오언의 묘갈 = 74
마산 지역
달이 전하는 고운 선생의 마음 /월영대 = 78
유쾌한 등산,알수 없는 슬픔 /코바위 = 84
진주 지역
비 소리로 듣는 그대의 시 /법륜사 = 87
모였다 흩어지고, 살고 죽고 /청곡사 = 91
미소로 굽어보는 남강의 모래톱 /촉석루 = 96
사천 지역
지 짓는 신선이 사는 곳 /곤양 = 101
밀물과 썰물, 글알 수 없는 원리 /까치섬 = 106
떠나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 /완사계 = 110
거북이 전해준 위대한 뜻 /구암정사 = 115
거창 지역
전가에서 느끼는 인새으이 참 즐거움 /사락정 = 121
구름 낀 벼랑에 쓴 시 /수승대 = 126
기타 지역
넘치는 시흥 / 밀양 영남루 = 131
당당한 함양은 일두 선생의 고을/ 함양 남계서원 = 136
효도하다 죽었으니 무엇을 원망하랴 /창원 조효연 묘갈 = 141
효심과 애민, 그리고 절ㄹ의 /신청 문익점 효자비 = 146
3. 남도의 퇴계와 남영 이야기
색은 참기가 참으로 어렵소 = 155
솥장수 퇴계와 숫돌장수 남명 = 160
퇴계와 남명이 먹다가 뱉어 낸 물고기 = 165
퇴계와 남명의 시시계 = 171
부록 /나의 위대한 스승 퇴계 : 「도산사숙록」/정약용 = 177
인명 및 용어 풀이 =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