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9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 과제 / 정호섭
Ⅰ. 들어가며 = 15
Ⅱ. 고구려 벽화고분의 조사와 분포현황 = 17
1 고구려 벽화고분의 조사 = 17
2 고구려 벽화고분의 분포현황 = 23
Ⅲ. 고구려 벽화고분의 기원과 변천 = 3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기원 = 31
2 고구려 벽화고분의 변천 = 36
Ⅳ.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과 피장자 문제 = 4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 = 41
2 고구려 벽화고분의 피장자 문제 = 62
Ⅴ. 마치며 = 69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술사적 연구 성과와 과제 / 박아림
Ⅰ. 들어가며 = 73
Ⅱ. 도판자료집 = 75
Ⅲ. 연구동향 = 83
Ⅳ. 벽화고분에 대한 개설 연구 = 93
Ⅴ.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술사적 세부 연구 과제 = 97
Ⅵ. 마치며 = 112
일본의 고구려 벽화 연구 현황과 전망 / 미나미 히데오
Ⅰ. 들어가며 = 117
Ⅱ. 분야별 연구 현황 = 119
1 조사 보고와 학사 연구 = 119
2 개설과 총론적 연구 = 123
3 도록 = 125
4 편년 = 125
5 벽화 내용과 관련한 연구 = 129
6 묘지 등과 관련한 연구 = 134
7 벽화를 통한 문물의 연구 = 136
8 일본과의 관계와 관련한 연구 = 137
Ⅲ. 전망 = 139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 한경순
Ⅰ. 들어가며 = 145
Ⅱ. 보존 관련 연구현황 = 146
Ⅲ. 보존 관련 연구 성과 = 15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채색안료와 제작기술 = 151
2 벽화고분 보존환경 = 169
Ⅳ. 연구 성과 고찰 = 175
1 고구려 벽화고분에 쓰인 채색안료 = 175
2 고구려 벽화고분의 채색기술 = 177
Ⅴ. 보존 연구 방향 = 178
고구려 벽화 디지털 콘텐츠 개발현황과 전망 / 박진호
Ⅰ. 개요 = 185
Ⅱ. 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 = 186
Ⅲ. 고구려 벽화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의미 = 189
1 고구려 고분벽화 디지털화의 의의 = 189
2 가상공간상의 '디지털 고분벽화' = 191
Ⅳ. 국내 고구려 벽화 콘텐츠 개발 사례 = 194
1 안악 3호분 디지털 복원 전시 = 194
2 강서대묘 현무도 디지털 복원 = 196
3 고구려 고분벽화를 기반으로 한 안학궁 디지털 복원 = 197
Ⅴ. 하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고구려 벽화 복원 = 201
1 3차원 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복원 = 201
2 3차원 스캔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디지털 복원 = 209
Ⅵ. 고구려 벽화 디지털 콘텐츠 제언 = 218
1 고구려 고분벽화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 218
2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제언 = 219
참고문헌 = 223
찾아보기 = 232
책머리에 = 9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 과제 / 정호섭
Ⅰ. 들어가며 = 15
Ⅱ. 고구려 벽화고분의 조사와 분포현황 = 17
1 고구려 벽화고분의 조사 = 17
2 고구려 벽화고분의 분포현황 = 23
Ⅲ. 고구려 벽화고분의 기원과 변천 = 3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기원 = 31
2 고구려 벽화고분의 변천 = 36
Ⅳ.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과 피장자 문제 = 4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 = 41
2 고구려 벽화고분의 피장자 문제 = 62
Ⅴ. 마치며 = 69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술사적 연구 성과와 과제 / 박아림
Ⅰ. 들어가며 = 73
Ⅱ. 도판자료집 = 75
Ⅲ. 연구동향 = 83
Ⅳ. 벽화고분에 대한 개설 연구 = 93
Ⅴ.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술사적 세부 연구 과제 = 97
Ⅵ. 마치며 = 112
일본의 고구려 벽화 연구 현황과 전망 / 미나미 히데오
Ⅰ. 들어가며 = 117
Ⅱ. 분야별 연구 현황 = 119
1 조사 보고와 학사 연구 = 119
2 개설과 총론적 연구 = 123
3 도록 = 125
4 편년 = 125
5 벽화 내용과 관련한 연구 = 129
6 묘지 등과 관련한 연구 = 134
7 벽화를 통한 문물의 연구 = 136
8 일본과의 관계와 관련한 연구 = 137
Ⅲ. 전망 = 139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 한경순
Ⅰ. 들어가며 = 145
Ⅱ. 보존 관련 연구현황 = 146
Ⅲ. 보존 관련 연구 성과 = 151
1 고구려 벽화고분의 채색안료와 제작기술 = 151
2 벽화고분 보존환경 = 169
Ⅳ. 연구 성과 고찰 = 175
1 고구려 벽화고분에 쓰인 채색안료 = 175
2 고구려 벽화고분의 채색기술 = 177
Ⅴ. 보존 연구 방향 = 178
고구려 벽화 디지털 콘텐츠 개발현황과 전망 / 박진호
Ⅰ. 개요 = 185
Ⅱ. 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 = 186
Ⅲ. 고구려 벽화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의미 = 189
1 고구려 고분벽화 디지털화의 의의 = 189
2 가상공간상의 '디지털 고분벽화' = 191
Ⅳ. 국내 고구려 벽화 콘텐츠 개발 사례 = 194
1 안악 3호분 디지털 복원 전시 = 194
2 강서대묘 현무도 디지털 복원 = 196
3 고구려 고분벽화를 기반으로 한 안학궁 디지털 복원 = 197
Ⅴ. 하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고구려 벽화 복원 = 201
1 3차원 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복원 = 201
2 3차원 스캔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디지털 복원 = 209
Ⅵ. 고구려 벽화 디지털 콘텐츠 제언 = 218
1 고구려 고분벽화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 218
2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제언 = 219
참고문헌 = 223
찾아보기 =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