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4
서문 = 7
제1장 현대 국제정치이론 = 17
1. 파워(Power, 권력) = 18
2. 세력균형(Balance of Power) = 20
3. 국가 = 22
4. 주권 = 25
5. 안전보장 = 28
6. 집단안전보장 = 30
7.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 33
8. 위기관리 = 35
9. 평화연구 = 36
10. 세계체제 = 39
11. 상호의존 = 40
12. 자유무역체제 = 43
13. 통합이론 = 46
14. 레짐(국제레짐) = 47
15. 패권안정론 = 48
16. 개발주의 = 49
17. 대외정책 결정과정 = 51
18. 합리주의(Rationalism, 합리적 선택의 접근방법) = 53
20. 구성주의 = 56
21. 민주평화론 = 57
22. 내셔널리즘 = 59
23. 지역연구 = 61
24. 문화와 국제관계 = 63
25. 민족문제 = 66
26. 내전 = 67
제2장 냉전기 국제정치 = 69
1. 얄타ㆍ포츠담 회담 = 70
2. 국제연합(United Nations, 유엔) = 72
3. 봉쇄정책 = 74
4. 소련권 = 75
5. 냉전 = 77
6. 중국혁명 = 80
7. 한국전쟁 = 83
8. 베를린 봉쇄 = 84
9. 미일안전보장조약 = 85
10. 일ㆍ소공동선언 = 88
11. 핵전략의 전개 = 89
12. 티토주의 = 92
13. 스탈린 비판 = 93
14. 비동맹 중립주의 = 94
15. 베를린 장벽 = 97
16. 쿠바 위기 = 99
17. 부분적 핵실험 금지조약(PTBT) = 100
18. 한일국교정상화 = 101
19. 전략무기제한협정(SALT)과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 104
20. 데탕트 = 106
21. 중소대립 = 108
22.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 110
23. 동유럽의 탈공산주의 = 113
24. 아프가니스탄전쟁 = 116
25. 소연방 붕괴 = 117
26. 전략방위구상(SDI) = 120
27. 독일의 재통일 = 121
제3장 다극화 경향 = 123
1. 다극화 = 124
2. 반둥회의(아시아ㆍ아프리카회의) = 127
3. 수에즈위기 = 128
4. 알제리 독립전쟁 = 130
5. 인도-파키스탄전쟁 = 131
6. 중국-인도전쟁 = 132
7.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133
8. 아프리카연합(AU) = 135
9. 페론주의 = 136
10. 팔레스타인문제 = 138
11. 중동전쟁 = 141
12. 리비아혁명 = 143
13. 이란혁명 = 144
14.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146
15. 이란-이라크전쟁 = 147
16. 베트남전쟁 = 148
17. 오키나와(沖繩)반환 = 150
18. 유럽공동체(EC) = 153
19. 학생혁명 = 157
20. 문화대혁명 = 158
21. 개혁개방정책 = 160
22. 미중화해 = 162
23. 중일국교정상화 = 164
24. 중월전쟁 = 167
25. 포클랜드전쟁 = 168
26. 타이완의 경제발전과 정치 = 169
27. 필리핀혁명 = 172
제4장 전후 국제정치경제체제 = 175
1. 브레튼우즈 체제 = 176
2. 마셜플랜 = 179
3.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과 자유무역 = 180
4. 유로달러(Eurodollar) = 182
5. 다국적기업 = 184
6. 달러위기 = 185
7. 변동환율제 = 187
8. 석유위기 = 189
9. 서미트(Summit) = 192
10. 미일경제분쟁 = 194
11. 남북문제 = 198
12. 대외원조 = 200
13. 아시아개발은행(ADB) = 201
14. 종속이론 = 202
15. 신국제경제질서(NIEO) = 203
16. 신흥공업경제지역(NIEs) = 204
17. 유엔해양법협약 = 206
18. 레이건 혁명 = 208
19. 플라자합의 = 209
20. 누적채무위기 = 211
21.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 213
22. ASEAN+3 = 215
23. EC 역내 시장통합 = 216
24. 유로 = 218
25. 세계무역기구(WTO) = 219
26. 자유무역협정(FTA) = 222
27.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 223
28. 남미남부공동시장(MERCOSUR) = 225
제5장 분쟁과 평화의 여러 모습 = 227
1. 걸프전쟁 = 228
2. 중동평화회의 = 229
3. 유럽재래식무기감축조약(CFE) = 231
4.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 233
5. 유고슬라비아 내전 = 235
6. 체첸분쟁 = 238
7. 군사혁신(RMA) = 239
8. 탄도미사일방위(BMD) = 240
9. 핵확산 문제 = 241
10. 바세나르협약 = 244
11. NATO의 동방 확대 = 245
12. 인도적 개입 = 247
13. 천안문 사건 = 248
14. 한반도 문제 = 250
15.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 253
16. 양안(중국-타이완) 관계 = 255
17. 남중국해 영토 문제 = 257
18. 캄보디아 합의 = 258
19.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 259
20. 미ㆍ일안보 재정의 = 260
21. 방위계획의 대강(大綱) = 263
22. 가이드라인 = 265
23. 오키나와 기지 문제 = 267
24. 인도, 파키스탄의 핵 실험 = 268
25. 아프리카의 분쟁(르완다, 소말리아, 시에라리온, 콩고) = 270
26. 새로운 전쟁 = 273
27. 신 아프가니스탄전쟁 = 275
28. 이라크전쟁 = 276
제6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모색 = 279
1. 세계화(Globalization) = 280
2. 거버넌스(Governance) = 282
3. 유엔개혁 = 284
4. 비정부조직(NGO) = 286
5. 인간의 안전보장 = 287
6. 난민문제 = 288
7. 파탄국가(Failed State) = 290
8. 국제범죄 = 291
9. 사이버 테러리즘 = 292
10. 테러리즘 = 293
11. 원리주의 = 297
12. EU조약 = 299
13. 소련 붕괴 후의 중앙아시아 = 301
14. 이슬람의 대두 = 304
15. '문명의 충돌'론 = 307
16. 아시아통화위기 = 308
17. 수하르토 체제의 붕괴 = 309
18. 중국위협론 = 310
19. 역사인식문제 = 313
20. 남아프리카의 변화 = 315
21. 중남미의 민주화 = 316
22. 자원ㆍ에너지 문제 = 319
23. 식량위기와 인구폭발 = 321
24. 지구환경문제 = 323
25. 교토의정서 = 326
26. IT혁명 = 327
27. 원자력문제(원전의 안전문제) = 328
주요학자 소개
데이비드 미트라니(David Mitrany) = 24
아놀드 월퍼스(Arnold Wolfers) = 32
에드워드 H. 카(Edward Hallet Carr) = 42
조지 F. 케넌(George Frost Kennan) = 50
한스 J. 모겐소(Hans Joachim Morgenthau) = 65
레이몽 아롱(Raymond Claude Ferdinaad Aron) = 82
존 허즈(John Hermann Herz) = 103
칼 도이치(Karl Wolfgang Deutsch) = 119
수잔 스트레인지(Suzan Strange) = 126
헨리 키신저(Henry Alfred Kissinger) = 137
언스트 하스(Ernst Bernard Haas) = 156
케네스 월츠(Kenneth Neal Waltz) = 171
로버트 콕스(Robert William Cox) = 178
새뮤얼 헌팅(Samuel Philips Huntington) = 197
스탠리 호프먼(Stanley Hoffman) = 210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Maurice Wallerstein) = 224
요한 갈퉁(Johan Galtung) = 237
로버트 길핀(Robert G. Gilpin, Jr.) = 256
헤들리 불(Hedley Norman Bull) = 262
마이클 월저(Michael Walzer) = 272
조지프 나이(Joseph Samuel Nye, Jr.) = 277
로버트 코헤인(Robert Owen Keohane) = 285
존 러기(John Gerald Ruggie) = 312
마이클 도일(Michael W. Doyle) = 318
알렉산더 웬트(Alexander Wendt) = 325
영문약어 = 330
역자 서문 = 4
서문 = 7
제1장 현대 국제정치이론 = 17
1. 파워(Power, 권력) = 18
2. 세력균형(Balance of Power) = 20
3. 국가 = 22
4. 주권 = 25
5. 안전보장 = 28
6. 집단안전보장 = 30
7.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 33
8. 위기관리 = 35
9. 평화연구 = 36
10. 세계체제 = 39
11. 상호의존 = 40
12. 자유무역체제 = 43
13. 통합이론 = 46
14. 레짐(국제레짐) = 47
15. 패권안정론 = 48
16. 개발주의 = 49
17. 대외정책 결정과정 = 51
18. 합리주의(Rationalism, 합리적 선택의 접근방법) = 53
20. 구성주의 = 56
21. 민주평화론 = 57
22. 내셔널리즘 = 59
23. 지역연구 = 61
24. 문화와 국제관계 = 63
25. 민족문제 = 66
26. 내전 = 67
제2장 냉전기 국제정치 = 69
1. 얄타ㆍ포츠담 회담 = 70
2. 국제연합(United Nations, 유엔) = 72
3. 봉쇄정책 = 74
4. 소련권 = 75
5. 냉전 = 77
6. 중국혁명 = 80
7. 한국전쟁 = 83
8. 베를린 봉쇄 = 84
9. 미일안전보장조약 = 85
10. 일ㆍ소공동선언 = 88
11. 핵전략의 전개 = 89
12. 티토주의 = 92
13. 스탈린 비판 = 93
14. 비동맹 중립주의 = 94
15. 베를린 장벽 = 97
16. 쿠바 위기 = 99
17. 부분적 핵실험 금지조약(PTBT) = 100
18. 한일국교정상화 = 101
19. 전략무기제한협정(SALT)과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 104
20. 데탕트 = 106
21. 중소대립 = 108
22.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 110
23. 동유럽의 탈공산주의 = 113
24. 아프가니스탄전쟁 = 116
25. 소연방 붕괴 = 117
26. 전략방위구상(SDI) = 120
27. 독일의 재통일 = 121
제3장 다극화 경향 = 123
1. 다극화 = 124
2. 반둥회의(아시아ㆍ아프리카회의) = 127
3. 수에즈위기 = 128
4. 알제리 독립전쟁 = 130
5. 인도-파키스탄전쟁 = 131
6. 중국-인도전쟁 = 132
7.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133
8. 아프리카연합(AU) = 135
9. 페론주의 = 136
10. 팔레스타인문제 = 138
11. 중동전쟁 = 141
12. 리비아혁명 = 143
13. 이란혁명 = 144
14.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 146
15. 이란-이라크전쟁 = 147
16. 베트남전쟁 = 148
17. 오키나와(沖繩)반환 = 150
18. 유럽공동체(EC) = 153
19. 학생혁명 = 157
20. 문화대혁명 = 158
21. 개혁개방정책 = 160
22. 미중화해 = 162
23. 중일국교정상화 = 164
24. 중월전쟁 = 167
25. 포클랜드전쟁 = 168
26. 타이완의 경제발전과 정치 = 169
27. 필리핀혁명 = 172
제4장 전후 국제정치경제체제 = 175
1. 브레튼우즈 체제 = 176
2. 마셜플랜 = 179
3.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과 자유무역 = 180
4. 유로달러(Eurodollar) = 182
5. 다국적기업 = 184
6. 달러위기 = 185
7. 변동환율제 = 187
8. 석유위기 = 189
9. 서미트(Summit) = 192
10. 미일경제분쟁 = 194
11. 남북문제 = 198
12. 대외원조 = 200
13. 아시아개발은행(ADB) = 201
14. 종속이론 = 202
15. 신국제경제질서(NIEO) = 203
16. 신흥공업경제지역(NIEs) = 204
17. 유엔해양법협약 = 206
18. 레이건 혁명 = 208
19. 플라자합의 = 209
20. 누적채무위기 = 211
21.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 213
22. ASEAN+3 = 215
23. EC 역내 시장통합 = 216
24. 유로 = 218
25. 세계무역기구(WTO) = 219
26. 자유무역협정(FTA) = 222
27.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 223
28. 남미남부공동시장(MERCOSUR) = 225
제5장 분쟁과 평화의 여러 모습 = 227
1. 걸프전쟁 = 228
2. 중동평화회의 = 229
3. 유럽재래식무기감축조약(CFE) = 231
4.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 233
5. 유고슬라비아 내전 = 235
6. 체첸분쟁 = 238
7. 군사혁신(RMA) = 239
8. 탄도미사일방위(BMD) = 240
9. 핵확산 문제 = 241
10. 바세나르협약 = 244
11. NATO의 동방 확대 = 245
12. 인도적 개입 = 247
13. 천안문 사건 = 248
14. 한반도 문제 = 250
15.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 253
16. 양안(중국-타이완) 관계 = 255
17. 남중국해 영토 문제 = 257
18. 캄보디아 합의 = 258
19.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 259
20. 미ㆍ일안보 재정의 = 260
21. 방위계획의 대강(大綱) = 263
22. 가이드라인 = 265
23. 오키나와 기지 문제 = 267
24. 인도, 파키스탄의 핵 실험 = 268
25. 아프리카의 분쟁(르완다, 소말리아, 시에라리온, 콩고) = 270
26. 새로운 전쟁 = 273
27. 신 아프가니스탄전쟁 = 275
28. 이라크전쟁 = 276
제6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모색 = 279
1. 세계화(Globalization) = 280
2. 거버넌스(Governance) = 282
3. 유엔개혁 = 284
4. 비정부조직(NGO) = 286
5. 인간의 안전보장 = 287
6. 난민문제 = 288
7. 파탄국가(Failed State) = 290
8. 국제범죄 = 291
9. 사이버 테러리즘 = 292
10. 테러리즘 = 293
11. 원리주의 = 297
12. EU조약 = 299
13. 소련 붕괴 후의 중앙아시아 = 301
14. 이슬람의 대두 = 304
15. '문명의 충돌'론 = 307
16. 아시아통화위기 = 308
17. 수하르토 체제의 붕괴 = 309
18. 중국위협론 = 310
19. 역사인식문제 = 313
20. 남아프리카의 변화 = 315
21. 중남미의 민주화 = 316
22. 자원ㆍ에너지 문제 = 319
23. 식량위기와 인구폭발 = 321
24. 지구환경문제 = 323
25. 교토의정서 = 326
26. IT혁명 = 327
27. 원자력문제(원전의 안전문제) = 328
주요학자 소개
데이비드 미트라니(David Mitrany) = 24
아놀드 월퍼스(Arnold Wolfers) = 32
에드워드 H. 카(Edward Hallet Carr) = 42
조지 F. 케넌(George Frost Kennan) = 50
한스 J. 모겐소(Hans Joachim Morgenthau) = 65
레이몽 아롱(Raymond Claude Ferdinaad Aron) = 82
존 허즈(John Hermann Herz) = 103
칼 도이치(Karl Wolfgang Deutsch) = 119
수잔 스트레인지(Suzan Strange) = 126
헨리 키신저(Henry Alfred Kissinger) = 137
언스트 하스(Ernst Bernard Haas) = 156
케네스 월츠(Kenneth Neal Waltz) = 171
로버트 콕스(Robert William Cox) = 178
새뮤얼 헌팅(Samuel Philips Huntington) = 197
스탠리 호프먼(Stanley Hoffman) = 210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Maurice Wallerstein) = 224
요한 갈퉁(Johan Galtung) = 237
로버트 길핀(Robert G. Gilpin, Jr.) = 256
헤들리 불(Hedley Norman Bull) = 262
마이클 월저(Michael Walzer) = 272
조지프 나이(Joseph Samuel Nye, Jr.) = 277
로버트 코헤인(Robert Owen Keohane) = 285
존 러기(John Gerald Ruggie) = 312
마이클 도일(Michael W. Doyle) = 318
알렉산더 웬트(Alexander Wendt) = 325
영문약어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