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4
1부 기독교와 근대 한국
1장 기독교에 대한 개화기 지식인들의 태도와 근대성 문제 = 15
두 가지 중화주의 = 19
1 현실적 중화주의 = 19
2 현실적 중화주의와 전통적 중화주의 = 25
일본식 서구주의 = 29
1 일본식 서구주의: 일본과 조선 = 29
2 개화당과 기독교 = 35
미국적 서구주의 = 44
2장 한말 기독교 신문의 문명개화론 = 56
〈죠션크리스도인회보〉와〈그리스도신문〉 = 59
문명이란 무엇인가 = 64
물질적 개화 = 69
1 실용학문의 진작 = 69
2 산업의 개발 = 76
정치적 개화 = 80
1 공평무사하고 개명진보된 법률 = 80
2 바른 정치와 민권 = 83
정신의 개화 = 88
1 근면한 노동 = 88
2 자립심과 애국심 = 92
3 여권 신장 = 94
4 교육과 교화, 그리고 기독교 = 98
3장 20세기 초 한국교회 부흥현상에 관한 재검토 = 107
몇 가지 재검토 = 109
1 명칭과 지속 기간의 문제 = 109
2 현상에 대한 해석의 문제 = 114
3 원인에 대하여 = 124
4 부흥운동의 성격: 감리교 성결-오순절운동과의 연관성 = 137
4장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이해, 1890∼1930 = 146
성취론과 선교사들의 종교관 = 150
주요 종교에 대한 이해 = 157
1 민간신앙 = 157
2 불교 = 166
3 유교 = 173
4 동학 = 180
2부 기독교와 사회주의
5장 기독교와 사회주의 관련 연구: 현황과 과제 = 191
이론적 연구 = 193
역사적 연구 = 203
6장 김일성과 기독교, 기독교인 = 217
반제반봉건혁명기(1945∼53) = 219
1 건국 이전 = 219
2 건국 이후 = 226
사회주의 건설기(1953∼72)= 232
1 사회주의혁명 완성기 = 232
2 주체사상의 등장 = 236
김일성주의시대(1972∼94) = 241
1 반종교선전 = 241
2 김일성, 계급과 민족, 그리고 종교 = 244
3 주체사상과 기독교 = 252
3부 기독교와 남한 사회
7장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태도 = 263
한국 교회의 베트남 전쟁 이해 = 266
1 자유와 평화를 위해 = 268
2 6ㆍ25 전쟁의 기억 = 272
3 선악 이원론 = 274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부여 = 276
세계의 반전ㆍ평화 운동에 대한 반응 = 281
1 초기의 반전ㆍ평화 운동 = 282
2 교회와 사회에 관한 세계 회의 = 286
3 다른 논의들 = 290
8장 1980년대 이후 보수교회 사회참여의 이론과 사례 = 301
복음주의적 사회참여의 신학적 배경 = 303
1 "하나님나라"의 새로운 이해와 로잔언약 = 303
2 새로운 선교신학의 영향 = 313
복음주의적 참여신학의 형성과정: 두 가지 사례 = 324
1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의 재발견: 이만열 = 324
2 선지자적 비관주의: 손봉호 = 333
9장 2천년대 초 한국 개신교 보수주의자들의 친미ㆍ반공주의 이해 = 346
신학적 보수성과 사회정치적 보수성의 상관관계 = 348
친미ㆍ반공주의의 신학적 배경: 미국의 사례 = 356
한국 개신교 친미ㆍ반공주의의 배경 = 363
개신교 보수주의의 2천년대 정치적 행동에 대한 이해 = 371
10장 한국 기독교 뉴라이트의 이념과 세계관 = 380
프란시스 쉐퍼와 미국 기독교 우파 = 383
한국 기독교 뉴라이트의 세계관 = 389
1 위기의식 = 390
2 이원론 = 394
3 현실주의 = 398
뉴라이트, 대한민국, 그리고 자유주의 = 402
1 대한민국 = 402
2 자유주의 = 406
찾아보기 = 415
책을 내면서 = 4
1부 기독교와 근대 한국
1장 기독교에 대한 개화기 지식인들의 태도와 근대성 문제 = 15
두 가지 중화주의 = 19
1 현실적 중화주의 = 19
2 현실적 중화주의와 전통적 중화주의 = 25
일본식 서구주의 = 29
1 일본식 서구주의: 일본과 조선 = 29
2 개화당과 기독교 = 35
미국적 서구주의 = 44
2장 한말 기독교 신문의 문명개화론 = 56
〈죠션크리스도인회보〉와〈그리스도신문〉 = 59
문명이란 무엇인가 = 64
물질적 개화 = 69
1 실용학문의 진작 = 69
2 산업의 개발 = 76
정치적 개화 = 80
1 공평무사하고 개명진보된 법률 = 80
2 바른 정치와 민권 = 83
정신의 개화 = 88
1 근면한 노동 = 88
2 자립심과 애국심 = 92
3 여권 신장 = 94
4 교육과 교화, 그리고 기독교 = 98
3장 20세기 초 한국교회 부흥현상에 관한 재검토 = 107
몇 가지 재검토 = 109
1 명칭과 지속 기간의 문제 = 109
2 현상에 대한 해석의 문제 = 114
3 원인에 대하여 = 124
4 부흥운동의 성격: 감리교 성결-오순절운동과의 연관성 = 137
4장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이해, 1890∼1930 = 146
성취론과 선교사들의 종교관 = 150
주요 종교에 대한 이해 = 157
1 민간신앙 = 157
2 불교 = 166
3 유교 = 173
4 동학 = 180
2부 기독교와 사회주의
5장 기독교와 사회주의 관련 연구: 현황과 과제 = 191
이론적 연구 = 193
역사적 연구 = 203
6장 김일성과 기독교, 기독교인 = 217
반제반봉건혁명기(1945∼53) = 219
1 건국 이전 = 219
2 건국 이후 = 226
사회주의 건설기(1953∼72)= 232
1 사회주의혁명 완성기 = 232
2 주체사상의 등장 = 236
김일성주의시대(1972∼94) = 241
1 반종교선전 = 241
2 김일성, 계급과 민족, 그리고 종교 = 244
3 주체사상과 기독교 = 252
3부 기독교와 남한 사회
7장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태도 = 263
한국 교회의 베트남 전쟁 이해 = 266
1 자유와 평화를 위해 = 268
2 6ㆍ25 전쟁의 기억 = 272
3 선악 이원론 = 274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부여 = 276
세계의 반전ㆍ평화 운동에 대한 반응 = 281
1 초기의 반전ㆍ평화 운동 = 282
2 교회와 사회에 관한 세계 회의 = 286
3 다른 논의들 = 290
8장 1980년대 이후 보수교회 사회참여의 이론과 사례 = 301
복음주의적 사회참여의 신학적 배경 = 303
1 "하나님나라"의 새로운 이해와 로잔언약 = 303
2 새로운 선교신학의 영향 = 313
복음주의적 참여신학의 형성과정: 두 가지 사례 = 324
1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의 재발견: 이만열 = 324
2 선지자적 비관주의: 손봉호 = 333
9장 2천년대 초 한국 개신교 보수주의자들의 친미ㆍ반공주의 이해 = 346
신학적 보수성과 사회정치적 보수성의 상관관계 = 348
친미ㆍ반공주의의 신학적 배경: 미국의 사례 = 356
한국 개신교 친미ㆍ반공주의의 배경 = 363
개신교 보수주의의 2천년대 정치적 행동에 대한 이해 = 371
10장 한국 기독교 뉴라이트의 이념과 세계관 = 380
프란시스 쉐퍼와 미국 기독교 우파 = 383
한국 기독교 뉴라이트의 세계관 = 389
1 위기의식 = 390
2 이원론 = 394
3 현실주의 = 398
뉴라이트, 대한민국, 그리고 자유주의 = 402
1 대한민국 = 402
2 자유주의 = 406
찾아보기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