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01장 대안적 평가
연구로부터의 결론 = 2
연구에 제기되는 주된 질문들 = 4
연구의 한계 = 5
연구의 실제적 시사점 = 6
대안적 평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 = 6
연구가 필요한 부분 = 7
참고자료 = 7
참고문헌 = 8
부록A : 대안적 평가와 관련된 유용한 용어사전 = 9
제02장 동기
개인적 요인 = 13
사회문화적 요인 = 14
자아신념과 이론 = 15
전략 = 20
교실 맥락 = 21
연구 요약 = 28
미래 연구를 위한 우선순위 = 29
참고문헌 = 30
제03장 멘토링
서론 = 39
정의 = 39
독립적 연구 또는 견습생과는 다른 멘토십 = 40
멘토십 특성 = 41
영재학생을 위한 멘토십에 내재된 이론과 이유 = 41
중요한 연구 질문 = 44
연구 = 44
종합 및 미래 전망 = 48
참고문헌 = 49
제04장 미성취 아동
미성취 영재아는 누구인가? = 52
문제의 정도와 지속성 = 54
미성취 영재아의 특징 = 55
가족역동성 = 56
또래의 영향 = 57
미성취와 특별한 영재아들 = 57
개입 = 58
향후 연구 영역 = 60
결론 = 61
참고문헌 = 61
제05장 비판적 사고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 67
비판적 사고의 중심적인 연구 문제들 = 68
비판적 사고에 대한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 = 72
참고문헌 = 74
제06장 사회과
정규 사회과 수업에서의 영재학습자 = 79
영재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사회과 수업 = 81
사회과의 문제중심학습과 영재학습자 = 82
사회과 능력 계발 : 전문가 지향 활동 = 85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할 것 = 86
참고문헌 = 87
제07장 상담
이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 정의 = 92
주요 연구 문제 = 92
연구의 결론 = 93
연구의 한계점 = 101
이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02
연구와 관련된 주요하고 신뢰할 만한 자원과 참고문헌 = 104
참고문헌 = 104
제08장 서비스 수준
서론 = 112
통합교실 지지 = 113
군집집단 편성 = 114
풀 아웃 프로그램 = 115
영재를 위한 특별 수업 = 117
특수학교 = 118
미래 연구 = 120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120
참고문헌 = 121
제09장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용어의 정의 : 예술이란? = 126
예술 분야 영재 연구로부터의 결론 = 127
예술 영역의 영재성/재능 판별 = 128
예술 재능 계발을 도와주는 요인 = 130
연구의 제한점 = 132
연구의 적용 = 132
우리가 알고 있는 것 = 133
후속 연구 영역 = 133
참고문헌 = 134
제10장 신동
어린 신동들에 대한 연구가 얼마나 많이 이루어졌는가? = 140
어떤 분야에서 가장 많은 신동이 나타났을까? = 141
어린 신동의 재능은 얼마나 타고나는가? = 142
어린 신동의 발달에 있어 교사와 가족은 얼마나 중요한가? = 143
신동과 창의적인 것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 144
어린 신동에 관한 향후 연구의 주요 영역은 무엇인가? = 145
우리가 알게 된 것 = 146
참고문헌 = 147
제11장 양육방식
부모에 관한 연구 = 152
양육방식에 관하여 = 153
일반적인 관심사 = 161
미래의 영향 = 161
참고문헌 = 162
제12장 영재성의 개념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 166
주요 이론가 = 167
연구에서 다루는 주요 문제들 = 168
영재성 개념에 대한 연구의 경험적 지지 = 168
연구의 한계 = 172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72
자료 = 173
참고문헌 = 173
제13장 영재 소녀들
연구에 사용된 용어를 정의하기 = 176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문제들 = 176
연구 결과 = 177
연구의 한계 = 185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86
연구의 시사점 = 187
미래의 연구 영역 = 187
참고 자료 = 188
참고문헌 = 188
제14장 영재아동과 청소년
말하기와 읽기의 조기 발달 = 194
고도의 영재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발달 = 195
효과적인 중재 = 197
교육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점 = 200
고도의 영재아 연구의 한계 = 201
참고문헌 = 201
제15장 영재의 인지적 특성
누가 영재인가? = 205
인지적 특성 = 206
산출물 = 222
관련된 성격특성 = 222
이론적 이슈들 = 223
방법론적 한계점 = 225
요약 = 226
참고문헌 = 226
제16장 유아기
유아 영재성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 233
지금까지의 연구 주제 : 어떤 근거로 유아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가? = 233
유아영재 연구를 위한 제언 = 241
결론 = 242
추천도서 = 242
참고문헌 = 242
제17장 음악적 재능
연구에서 정의된 음악적 재능의 조망 = 248
음악적 재능 연구에서 제기된 주된 문제들 = 251
음악적 재능 연구로부터의 결론 = 256
음악적 재능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 적용과 한계 = 257
결론 = 258
음악적 재능 발달을 위한 주요 자료와 참고문헌 = 259
참고문헌 = 261
제18장 읽기 재능아
읽기 재능아에 대한 연구 문제 = 268
읽기 재능아의 정의와 특성 = 268
읽기 재능아의 교실에서의 읽기 경험 = 270
효과적인 수업과 교육과정 = 271
결론 = 275
연구의 함의 = 276
참고문헌 = 276
제19장 작문
서론 = 280
모든 학습자들에게 작문 가르치기 = 281
읽기와 언어 과목의 학제 간 연결 = 283
작문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들 = 284
작문 교수와 기술의 통합 = 285
영재학습자들에게 작문을 가르치는 것 = 286
학습장애를 가진 작문 영재들 = 287
우리가 아는 것과 남겨진 질문 = 288
참고문헌 = 289
제20장 장애영재학습자
장애를 동반한 영재성 = 293
주요 논쟁거리 = 299
시사점 = 301
장애영재성에 대해 우리가 알게 된 것 = 301
장애영재에 대한 미래의 연구방향 = 301
읽을거리 = 302
참고문헌 = 302
제21장 영재 판별 프로그램
용어의 정의 = 306
영재 판별 연구의 주요 주제와 결과 = 307
연구의 제한점 = 312
영재 판별 연구의 실질적 의미 = 313
주요 자료 = 314
우리가 알고 있는 것 = 314
우리가 알아야 할 것 = 315
참고문헌 = 315
제22장 적절한 교수와 평가
영재성의 정의 = 321
성공지능을 위한 교수(TSI) = 324
통합학습에 TSI 원리를 적용하기 = 325
교수와 평가 결합 = 334
참고문헌 = 337
제23장 전문성 개발
용어의 정의 = 340
전문성 개발 연구에서 중요한 문제 = 341
연구 결과들에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 342
이 주제에 있어 제한점은 무엇인가? = 354
이러한 주제 연구의 실질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 356
전문성 개발에 관한 주요 참고자료와 문헌 = 359
참고문헌 = 361
제24장 전문성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 367
연구에 기반한 결론 = 371
전문성 연구의 한계점 = 372
전문성 연구의 실제적 함의 = 372
결론 = 373
주요자료와 참고문헌 = 373
참고문헌 = 374
제25장 정상분포곡선 밖의 지능 : 영재성에 기여하는 공동인지적 특성
배경 = 376
영재교육과 사회 자본 = 378
공동인지 요소들에 대한 연구 = 386
중재 = 386
결론 = 388
참고문헌 = 388
제26장 ADHD
ADHD란 무엇인가? = 394
ADHD의 진단 = 396
영재성과 ADHD = 397
배합조건 아동들의 잠재적 이익 = 398
처치/중재 = 399
결론 = 402
참고자료 = 403
참고문헌 = 403
제27장 중등과학
서론 = 409
모든 학생들에게 과학을 가르치기 = 410
과학 교육의 성에 관한 논쟁 = 410
영재들 사이에 성에 관한 논쟁 = 411
영재 과학 교수 = 412
영재 교수법 연구 = 414
교수 접근법 연구 = 415
과학 영재를 다루는 관련 연구 = 417
추후 연구를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필요한 것 = 418
참고문헌 = 419
제28장 중등수학
서론 = 423
수학 영재의 정의 = 423
주요 연구 문제와 발견 = 425
결론 = 431
참고문헌 = 431
제29장 차별화 교육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 정의 = 435
이 주제에 대한 연구에서 제기되는 주요 질문들 = 436
연구로부터의 결론들 = 436
연구의 한계 = 440
차별화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 시사점 = 441
추천도서 = 441
참고문헌 = 441
제30장 창의성 신장
창의성 신장 연구에서 사용되는 중요 용어들 = 446
연구되는 주요 질문들 = 447
창의성 신장 연구의 결론 = 450
창의성 신장 연구의 제한점 = 453
창의성 신장 연구의 실천적 함의 = 455
창의성 신장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의 요약 = 456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를 위한 참고문헌 = 457
참고문헌 = 458
제31장 초등과학
연구에 부과된 주요 문제 = 462
연구 결과 = 466
연구의 제한점 = 470
연구의 실제적인 영향 = 470
알게 된 것 = 472
주요 자료와 참고문헌 = 472
참고문헌 = 473
제32장 초등수학
수학 영재의 정의 = 478
우리는 어떻게 수학 영재학생을 판별할 수 있을까? = 481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구 지지기반이 있는가? = 485
가장 좋은 교수법과 집단편성 모형은 무엇인가? = 488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에게 적합한 연구기반 교육과정은 무엇인가? = 494
요약 = 496
연구기반 자료 = 497
수학적으로 재능이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연구 기반 교육과정 = 497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재능 발달을 지원하는 웹사이트 = 498
참고문헌 = 498
제33장 판별
용어와 문제 = 505
주요 질문 = 506
연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가? = 507
우리는 판별에 대한 생산적인 연구로부터 어떻게 결론지을 수 있는가? = 513
판별에 관한 최근 연구 - 형평성에 관한 문제 = 514
이 주제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인 함의는 무엇인가? = 518
참고문헌 = 519
제34장 판별 : 오로라 검사도구
역사적 동향 : 더 나은 이해, 변화하는 가치들 = 522
정의에서 판별까지 : 체계적 어려움 = 524
영재 프로그램에서 실제보다 과소표시되는 집단들 = 526
평가 도구들 파악하기 : 현재 평가방법들의 고찰 = 528
성공 지능 : 이론적 근거 = 531
오로라 검사도구 : 이론을 실행으로 옮기기 = 533
성공적 실행 : 희망, 한계, 새로운 방향 = 537
참고문헌 = 538
찾아보기 = 544
제01장 대안적 평가
연구로부터의 결론 = 2
연구에 제기되는 주된 질문들 = 4
연구의 한계 = 5
연구의 실제적 시사점 = 6
대안적 평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 = 6
연구가 필요한 부분 = 7
참고자료 = 7
참고문헌 = 8
부록A : 대안적 평가와 관련된 유용한 용어사전 = 9
제02장 동기
개인적 요인 = 13
사회문화적 요인 = 14
자아신념과 이론 = 15
전략 = 20
교실 맥락 = 21
연구 요약 = 28
미래 연구를 위한 우선순위 = 29
참고문헌 = 30
제03장 멘토링
서론 = 39
정의 = 39
독립적 연구 또는 견습생과는 다른 멘토십 = 40
멘토십 특성 = 41
영재학생을 위한 멘토십에 내재된 이론과 이유 = 41
중요한 연구 질문 = 44
연구 = 44
종합 및 미래 전망 = 48
참고문헌 = 49
제04장 미성취 아동
미성취 영재아는 누구인가? = 52
문제의 정도와 지속성 = 54
미성취 영재아의 특징 = 55
가족역동성 = 56
또래의 영향 = 57
미성취와 특별한 영재아들 = 57
개입 = 58
향후 연구 영역 = 60
결론 = 61
참고문헌 = 61
제05장 비판적 사고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 67
비판적 사고의 중심적인 연구 문제들 = 68
비판적 사고에 대한 연구의 종합적인 결론 = 72
참고문헌 = 74
제06장 사회과
정규 사회과 수업에서의 영재학습자 = 79
영재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사회과 수업 = 81
사회과의 문제중심학습과 영재학습자 = 82
사회과 능력 계발 : 전문가 지향 활동 = 85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할 것 = 86
참고문헌 = 87
제07장 상담
이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 정의 = 92
주요 연구 문제 = 92
연구의 결론 = 93
연구의 한계점 = 101
이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02
연구와 관련된 주요하고 신뢰할 만한 자원과 참고문헌 = 104
참고문헌 = 104
제08장 서비스 수준
서론 = 112
통합교실 지지 = 113
군집집단 편성 = 114
풀 아웃 프로그램 = 115
영재를 위한 특별 수업 = 117
특수학교 = 118
미래 연구 = 120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120
참고문헌 = 121
제09장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용어의 정의 : 예술이란? = 126
예술 분야 영재 연구로부터의 결론 = 127
예술 영역의 영재성/재능 판별 = 128
예술 재능 계발을 도와주는 요인 = 130
연구의 제한점 = 132
연구의 적용 = 132
우리가 알고 있는 것 = 133
후속 연구 영역 = 133
참고문헌 = 134
제10장 신동
어린 신동들에 대한 연구가 얼마나 많이 이루어졌는가? = 140
어떤 분야에서 가장 많은 신동이 나타났을까? = 141
어린 신동의 재능은 얼마나 타고나는가? = 142
어린 신동의 발달에 있어 교사와 가족은 얼마나 중요한가? = 143
신동과 창의적인 것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 144
어린 신동에 관한 향후 연구의 주요 영역은 무엇인가? = 145
우리가 알게 된 것 = 146
참고문헌 = 147
제11장 양육방식
부모에 관한 연구 = 152
양육방식에 관하여 = 153
일반적인 관심사 = 161
미래의 영향 = 161
참고문헌 = 162
제12장 영재성의 개념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 166
주요 이론가 = 167
연구에서 다루는 주요 문제들 = 168
영재성 개념에 대한 연구의 경험적 지지 = 168
연구의 한계 = 172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72
자료 = 173
참고문헌 = 173
제13장 영재 소녀들
연구에 사용된 용어를 정의하기 = 176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문제들 = 176
연구 결과 = 177
연구의 한계 = 185
연구의 실제적 함의 = 186
연구의 시사점 = 187
미래의 연구 영역 = 187
참고 자료 = 188
참고문헌 = 188
제14장 영재아동과 청소년
말하기와 읽기의 조기 발달 = 194
고도의 영재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발달 = 195
효과적인 중재 = 197
교육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점 = 200
고도의 영재아 연구의 한계 = 201
참고문헌 = 201
제15장 영재의 인지적 특성
누가 영재인가? = 205
인지적 특성 = 206
산출물 = 222
관련된 성격특성 = 222
이론적 이슈들 = 223
방법론적 한계점 = 225
요약 = 226
참고문헌 = 226
제16장 유아기
유아 영재성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 233
지금까지의 연구 주제 : 어떤 근거로 유아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가? = 233
유아영재 연구를 위한 제언 = 241
결론 = 242
추천도서 = 242
참고문헌 = 242
제17장 음악적 재능
연구에서 정의된 음악적 재능의 조망 = 248
음악적 재능 연구에서 제기된 주된 문제들 = 251
음악적 재능 연구로부터의 결론 = 256
음악적 재능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 적용과 한계 = 257
결론 = 258
음악적 재능 발달을 위한 주요 자료와 참고문헌 = 259
참고문헌 = 261
제18장 읽기 재능아
읽기 재능아에 대한 연구 문제 = 268
읽기 재능아의 정의와 특성 = 268
읽기 재능아의 교실에서의 읽기 경험 = 270
효과적인 수업과 교육과정 = 271
결론 = 275
연구의 함의 = 276
참고문헌 = 276
제19장 작문
서론 = 280
모든 학습자들에게 작문 가르치기 = 281
읽기와 언어 과목의 학제 간 연결 = 283
작문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들 = 284
작문 교수와 기술의 통합 = 285
영재학습자들에게 작문을 가르치는 것 = 286
학습장애를 가진 작문 영재들 = 287
우리가 아는 것과 남겨진 질문 = 288
참고문헌 = 289
제20장 장애영재학습자
장애를 동반한 영재성 = 293
주요 논쟁거리 = 299
시사점 = 301
장애영재성에 대해 우리가 알게 된 것 = 301
장애영재에 대한 미래의 연구방향 = 301
읽을거리 = 302
참고문헌 = 302
제21장 영재 판별 프로그램
용어의 정의 = 306
영재 판별 연구의 주요 주제와 결과 = 307
연구의 제한점 = 312
영재 판별 연구의 실질적 의미 = 313
주요 자료 = 314
우리가 알고 있는 것 = 314
우리가 알아야 할 것 = 315
참고문헌 = 315
제22장 적절한 교수와 평가
영재성의 정의 = 321
성공지능을 위한 교수(TSI) = 324
통합학습에 TSI 원리를 적용하기 = 325
교수와 평가 결합 = 334
참고문헌 = 337
제23장 전문성 개발
용어의 정의 = 340
전문성 개발 연구에서 중요한 문제 = 341
연구 결과들에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 342
이 주제에 있어 제한점은 무엇인가? = 354
이러한 주제 연구의 실질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 356
전문성 개발에 관한 주요 참고자료와 문헌 = 359
참고문헌 = 361
제24장 전문성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 367
연구에 기반한 결론 = 371
전문성 연구의 한계점 = 372
전문성 연구의 실제적 함의 = 372
결론 = 373
주요자료와 참고문헌 = 373
참고문헌 = 374
제25장 정상분포곡선 밖의 지능 : 영재성에 기여하는 공동인지적 특성
배경 = 376
영재교육과 사회 자본 = 378
공동인지 요소들에 대한 연구 = 386
중재 = 386
결론 = 388
참고문헌 = 388
제26장 ADHD
ADHD란 무엇인가? = 394
ADHD의 진단 = 396
영재성과 ADHD = 397
배합조건 아동들의 잠재적 이익 = 398
처치/중재 = 399
결론 = 402
참고자료 = 403
참고문헌 = 403
제27장 중등과학
서론 = 409
모든 학생들에게 과학을 가르치기 = 410
과학 교육의 성에 관한 논쟁 = 410
영재들 사이에 성에 관한 논쟁 = 411
영재 과학 교수 = 412
영재 교수법 연구 = 414
교수 접근법 연구 = 415
과학 영재를 다루는 관련 연구 = 417
추후 연구를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필요한 것 = 418
참고문헌 = 419
제28장 중등수학
서론 = 423
수학 영재의 정의 = 423
주요 연구 문제와 발견 = 425
결론 = 431
참고문헌 = 431
제29장 차별화 교육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 정의 = 435
이 주제에 대한 연구에서 제기되는 주요 질문들 = 436
연구로부터의 결론들 = 436
연구의 한계 = 440
차별화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 시사점 = 441
추천도서 = 441
참고문헌 = 441
제30장 창의성 신장
창의성 신장 연구에서 사용되는 중요 용어들 = 446
연구되는 주요 질문들 = 447
창의성 신장 연구의 결론 = 450
창의성 신장 연구의 제한점 = 453
창의성 신장 연구의 실천적 함의 = 455
창의성 신장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의 요약 = 456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를 위한 참고문헌 = 457
참고문헌 = 458
제31장 초등과학
연구에 부과된 주요 문제 = 462
연구 결과 = 466
연구의 제한점 = 470
연구의 실제적인 영향 = 470
알게 된 것 = 472
주요 자료와 참고문헌 = 472
참고문헌 = 473
제32장 초등수학
수학 영재의 정의 = 478
우리는 어떻게 수학 영재학생을 판별할 수 있을까? = 481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구 지지기반이 있는가? = 485
가장 좋은 교수법과 집단편성 모형은 무엇인가? = 488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에게 적합한 연구기반 교육과정은 무엇인가? = 494
요약 = 496
연구기반 자료 = 497
수학적으로 재능이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연구 기반 교육과정 = 497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재능 발달을 지원하는 웹사이트 = 498
참고문헌 = 498
제33장 판별
용어와 문제 = 505
주요 질문 = 506
연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가? = 507
우리는 판별에 대한 생산적인 연구로부터 어떻게 결론지을 수 있는가? = 513
판별에 관한 최근 연구 - 형평성에 관한 문제 = 514
이 주제에 관한 연구의 실제적인 함의는 무엇인가? = 518
참고문헌 = 519
제34장 판별 : 오로라 검사도구
역사적 동향 : 더 나은 이해, 변화하는 가치들 = 522
정의에서 판별까지 : 체계적 어려움 = 524
영재 프로그램에서 실제보다 과소표시되는 집단들 = 526
평가 도구들 파악하기 : 현재 평가방법들의 고찰 = 528
성공 지능 : 이론적 근거 = 531
오로라 검사도구 : 이론을 실행으로 옮기기 = 533
성공적 실행 : 희망, 한계, 새로운 방향 = 537
참고문헌 = 538
찾아보기 = 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