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일본인의 삶과 존재의 모순| 머리말
1. 가미 神 지상으로 내려온 신들의 역사 / 오노 야스마로, 『고사기』
천 년의 잠에서 깬 일본정신의 상징 ... 17
신화를 노래하는 역사 ... 20
신들이 내려와 국토를 낳다 ... 22
태양신 아마테라스의 탄생 ... 27
처음으로 지상에 나라를 세우다 ... 31
천손이 왕권을 이어받다 ... 34
영웅의 전형 야마토타케루 ... 39
고대의 신 관념 ... 42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가미들 ... 44
2. 사랑 愛 그림자가 짙을수록 아름답다 / 무라사키 시키부, 『겐지이야기』
천 년의 사랑 이야기 ... 51
겐지의 영화로운 삶과 고뇌 ... 55
여인들의 애환을 섬세하게 그리다 ... 58
비 오는 밤의 여자 품평회 ... 59
불교를 매개로 인간 정념의 세계를 그리다 ... 66
시간은 흐르고 사랑은 짙어간다 ... 69
3. 악 惡 선과 악은 다르지 않다 / 신란, 『탄이초』
더러움을 씻고 악에서 선으로 ... 77
마코토, 윤리의 두 얼굴 ... 80
가장 일본적인 불교 교단 정토진종 ... 84
말법사상과 본각사상 ... 87
관음이 계시를 내리다 ... 90
성불 자격은 악한 사람에 있다 ... 93
오직 아미타불이 인간을 구제하리라 ... 96
선악의 기준은 상대적이다 ... 102
4. 미 美 인간 본성에 밀착된 미의식 / 모토오리 노리나가, 『석상사숙언』
무엇을 아름답다 하는가 ... 107
마음 가는 대로 인정을 노래하라 ... 108
모든 존재에 깃든 정취, 모노노아와레 ... 118
모노가타리에서 모노노아와레를 읽다 ... 124
선악을 넘어서는 아름다움의 기준 ... 126
세상 인정에 마음을 가져가니 ... 130
아름다움의 두 얼굴 ... 134
5. 모순 矛盾 차분한 격정 혹은 돌연한 체념 / 와쓰지 데쓰로, 『풍토』
태초에 모순이 있었다 ... 139
소멸되지 않는 모순을 사유하다 ... 140
장소, 인식의 공간 ... 143
영원의 지금 ... 147
풍토가 만든 인간 유형 ... 150
몬순적 풍토에서 형성된 이중성 ... 155
'사이'속에서 개인은 사라진다 ... 159
일본 정원, 질서와 종합의 예술 ... 162
불완전함의 아름다움 ... 166
현상적인 것과 원리적인 것 ... 171
'나루'문화의 생성과 융화 ... 173
일본이라는 모순 ... 176
6. 힘 力 참된 문명의 길은 무엇인가 / 후쿠자와 유키치. 『복옹자전』
소년 후쿠자와, 양학의 날개를 달다 ... 181
서양을 방문하여 견문을 넓히다 ... 186
개항 지침서로 널리 읽힌『서양사정』 ... 195
문명의 정신을 논하라 ... 196
탈아론의 세계인식 ... 205
문명과 독립의 딜레마 ... 210
7. 덕 德 윤리의 양면성 / 루스 베네딕트, 『국화와 칼』
이중적 은유 ... 215
베푸는 것보다 갚는 것이 더 중요하다 ... 219
'기리'는 쓰라리다 ... 222
'하지'문화와 복수의 미학 ... 227
무사무심의 미덕 '마코토' ... 229
『국화와 칼』, 무엇이 문제인가 ... 232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 ... 236
8. 천황 天皇 인간의 가면, 신의 가면 / 미시마 유키오, 『가면의 고백』
신의 부활을 외치며 할복하다 ... 239
미시마의 천황관 ... 243
가면의 고백, 그 후 ... 255
미시마를 재생하는 오늘 ... 261
천황의 가면 ... 262
9. 초월 超越 그리스도교는 왜 일본에 뿌리내리지 못했나 / 엔도 슈사쿠, 『침묵』
페레이라 신부의 배교 ... 271
고통의 순간에 신은 침묵하는가 ... 277
침묵과 초월 ... 281
일본의 혼령을 조심하라 ... 283
근대의 초극 ... 287
'아마에'의 정신구조 ... 290
변조와 파괴에서 유연성으로 ... 292
10. 호토케 佛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나카무라 하지메, 『일본인의 사유방법』
죽으면 신이 된다 ... 297
절대의 경지는 현세에 있다 ... 298
조직인간의 충성과 헌신 ... 304
진리는 보편적이지 않다 ... 307
추상성을 거부하다 ... 311
죄의식과 무관한 현세중심주의 ... 313
논리보다는 직관 ... 316
단순함을 추구하는 신앙세계 ... 318
신과 더불어 살아가다 ... 319
일본의 호토케, 한국의 붓다 ... 323
주요 인물소개 ... 327
참고문헌ㆍ더 읽으면 좋은 책 ... 333
찾아보기 ... 339
일본인의 삶과 존재의 모순| 머리말
1. 가미 神 지상으로 내려온 신들의 역사 / 오노 야스마로, 『고사기』
천 년의 잠에서 깬 일본정신의 상징 ... 17
신화를 노래하는 역사 ... 20
신들이 내려와 국토를 낳다 ... 22
태양신 아마테라스의 탄생 ... 27
처음으로 지상에 나라를 세우다 ... 31
천손이 왕권을 이어받다 ... 34
영웅의 전형 야마토타케루 ... 39
고대의 신 관념 ... 42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가미들 ... 44
2. 사랑 愛 그림자가 짙을수록 아름답다 / 무라사키 시키부, 『겐지이야기』
천 년의 사랑 이야기 ... 51
겐지의 영화로운 삶과 고뇌 ... 55
여인들의 애환을 섬세하게 그리다 ... 58
비 오는 밤의 여자 품평회 ... 59
불교를 매개로 인간 정념의 세계를 그리다 ... 66
시간은 흐르고 사랑은 짙어간다 ... 69
3. 악 惡 선과 악은 다르지 않다 / 신란, 『탄이초』
더러움을 씻고 악에서 선으로 ... 77
마코토, 윤리의 두 얼굴 ... 80
가장 일본적인 불교 교단 정토진종 ... 84
말법사상과 본각사상 ... 87
관음이 계시를 내리다 ... 90
성불 자격은 악한 사람에 있다 ... 93
오직 아미타불이 인간을 구제하리라 ... 96
선악의 기준은 상대적이다 ... 102
4. 미 美 인간 본성에 밀착된 미의식 / 모토오리 노리나가, 『석상사숙언』
무엇을 아름답다 하는가 ... 107
마음 가는 대로 인정을 노래하라 ... 108
모든 존재에 깃든 정취, 모노노아와레 ... 118
모노가타리에서 모노노아와레를 읽다 ... 124
선악을 넘어서는 아름다움의 기준 ... 126
세상 인정에 마음을 가져가니 ... 130
아름다움의 두 얼굴 ... 134
5. 모순 矛盾 차분한 격정 혹은 돌연한 체념 / 와쓰지 데쓰로, 『풍토』
태초에 모순이 있었다 ... 139
소멸되지 않는 모순을 사유하다 ... 140
장소, 인식의 공간 ... 143
영원의 지금 ... 147
풍토가 만든 인간 유형 ... 150
몬순적 풍토에서 형성된 이중성 ... 155
'사이'속에서 개인은 사라진다 ... 159
일본 정원, 질서와 종합의 예술 ... 162
불완전함의 아름다움 ... 166
현상적인 것과 원리적인 것 ... 171
'나루'문화의 생성과 융화 ... 173
일본이라는 모순 ... 176
6. 힘 力 참된 문명의 길은 무엇인가 / 후쿠자와 유키치. 『복옹자전』
소년 후쿠자와, 양학의 날개를 달다 ... 181
서양을 방문하여 견문을 넓히다 ... 186
개항 지침서로 널리 읽힌『서양사정』 ... 195
문명의 정신을 논하라 ... 196
탈아론의 세계인식 ... 205
문명과 독립의 딜레마 ... 210
7. 덕 德 윤리의 양면성 / 루스 베네딕트, 『국화와 칼』
이중적 은유 ... 215
베푸는 것보다 갚는 것이 더 중요하다 ... 219
'기리'는 쓰라리다 ... 222
'하지'문화와 복수의 미학 ... 227
무사무심의 미덕 '마코토' ... 229
『국화와 칼』, 무엇이 문제인가 ... 232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 ... 236
8. 천황 天皇 인간의 가면, 신의 가면 / 미시마 유키오, 『가면의 고백』
신의 부활을 외치며 할복하다 ... 239
미시마의 천황관 ... 243
가면의 고백, 그 후 ... 255
미시마를 재생하는 오늘 ... 261
천황의 가면 ... 262
9. 초월 超越 그리스도교는 왜 일본에 뿌리내리지 못했나 / 엔도 슈사쿠, 『침묵』
페레이라 신부의 배교 ... 271
고통의 순간에 신은 침묵하는가 ... 277
침묵과 초월 ... 281
일본의 혼령을 조심하라 ... 283
근대의 초극 ... 287
'아마에'의 정신구조 ... 290
변조와 파괴에서 유연성으로 ... 292
10. 호토케 佛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나카무라 하지메, 『일본인의 사유방법』
죽으면 신이 된다 ... 297
절대의 경지는 현세에 있다 ... 298
조직인간의 충성과 헌신 ... 304
진리는 보편적이지 않다 ... 307
추상성을 거부하다 ... 311
죄의식과 무관한 현세중심주의 ... 313
논리보다는 직관 ... 316
단순함을 추구하는 신앙세계 ... 318
신과 더불어 살아가다 ... 319
일본의 호토케, 한국의 붓다 ... 323
주요 인물소개 ... 327
참고문헌ㆍ더 읽으면 좋은 책 ... 333
찾아보기 ...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