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MARC와 KORMARC의 기초이론 = 11
1. MARC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 13
1.1. MARC의 등장배경 = 13
1.2. MARC의 발전과정 = 15
1.3. MARC에 관련된 표준화 = 19
2. MARC 포맷과 편목규칙 = 22
3. MARC 레코드의 데이터요소 = 28
3.1. 고정길이필드의 데이터요소 = 28
3.2. 가변길이필드의 데이터요소 = 29
4. KORMARC의 발전과정과 특성 = 31
제2장 KORMARC 통합서지용(단행본편)의 개요 = 39
1. 서지레코드의 기본구조 = 41
1.1 리더 = 41
1.2 디렉토리 = 45
1.3 가변길이필드 = 46
1) 필드 00X 제어필드 = 47
2) 필드 01X-09X 제어정보, 숫자, 부호 = 48
3) 필드 1XX 기본표목 = 50
4) 필드 20X-24X 표제와 표제 관련 필드 = 50
5) 필드 250-28X 판차, 발행 등 = 50
6) 필드 3XX 형태사항 등 = 51
7) 필드 4XX 총서사항 = 52
8) 필드 5XX 주기 = 52
9) 필드 6XX 주제명부출표목 = 54
10) 필드 700X-75X 부출표목 = 54
11) 필드 76X-78X 연관저록 = 55
12) 필드 80X-83X 총서부출표목 = 56
13) 필드 841-89X 소장, 변형문자 등 = 56
14) 9XX 로컬에서 정의한 필드 = 57
2. 주요 가변길이필드의 개요 = 58
3. 008 부호화정보필드(도서용) = 91
제3장 KORMARC을 활용한 편목의 실제 = 99
1. 기본표목 (1XX필드) = 101
1.1 개인명 (100필드) = 101
1) 한 개인저자의 저작 = 102
2)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인에 의한 저작 = 104
3) 책임이 혼합되어 있는 저작 = 109
4) 이름의 선정 = 113
5) 여러 이름이 표시된 저작의 인명 선정 = 121
6) 목록저록의 요소 = 125
7) 동일한 이름을 구별하기 위한 부기사항 = 137
8) 전기 = 140
9) 정부의 공직 = 144
1.2 단체명 (110필드) = 146
1) 단체를 표목으로 하는 저작 = 146
2) 둘 또는 셋의 단체에 의한 저작 = 149
3) 단체에 대한 표목 = 154
1.3 회의명 (111필드) = 166
1) 회의명의 표목선정 = 166
2) 회차, 빈도, 개최년을 나타내는 단어의 생략 = 169
1.4 통일표제 (130필드) = 170
1) 통일표제를 표목으로 한 저작 = 171
2) 통일표제 앞에 관사가 있는 저작 = 172
3) 개정판인 저작 = 173
4) 개별표제 = 175
2. 표제와 표제관련 필드 (24X필드) = 178
2.1 통일표제 (240필드) = 178
2.2 종합통일표제 (243필드) = 180
1) 전집 = 181
2) 선집 = 182
2.3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245필드) = 184
1) 표제기본표목 = 185
2) 본표제 = 203
3) 대등표제 = 213
4) 표제잡정보 = 214
5) 종합표제 = 217
6) 책임표시 = 221
2.4 여러 형태의 표제 (246필드) = 234
1) 대등표제 = 235
2) 기타표제 = 236
3) 책등표제 = 237
2.5 변경전 표제나 표제변동 (247필드) = 238
1) 연속간행물의 본표제 변경 = 238
3. 판사항 및 발행사항 (250-28X필드) = 240
3.1 판사항 (250필드) = 241
1) 판표시 = 241
2) 특정판에 관련된 책임표시 = 243
3.2 발행, 배포 등 사항 (260필드) = 246
1) 둘이상의 발행사항이 있는 저작 = 247
2) 발행지, 배포지 등 = 248
3) 발행처명, 배포처명 등 = 254
4) 발행일자, 배포일자 등 = 258
4. 형태사항 (3XX필드) 및 총서사항 (4XX필드) = 263
4.1 형태사항 (300필드) = 263
1) 수량 = 264
2) 기타 세목 = 269
3) 크기 = 270
4) 딸림자료 = 271
5) 부록의 형태기술 = 273
4.2 총서사항 (440필드) = 275
1) 총서의 본표제 = 276
2) 총서에 관련된 책임표시가 있는 저작 = 277
3) 총서의 권ㆍ호 = 278
4) 하위총서 = 279
5) 둘이상의 총서 = 280
5. 주기사항 (5XX필드) = 281
1) 일반주기 = 282
2) 합철주기 = 285
3) 서지주기 = 286
4) 내용주기 = 287
5) 이용 제한주기 = 289
6) 제작진과 그 밖의 책임표시 = 290
7) 요약 = 292
8) 이용대상자 = 293
9) 부록주기 = 294
10) 이용 가능한 다른 형태 자료 주기 = 295
11) 원본주기 = 296
12) 언어 = 298
13) 발행처주기 = 299
14) 수상주기 = 300
6. 부출표목 (70X-75X필드) = 301
1) 둘 또는 그 이상 개인/단체가 관련된 저작 = 302
2) 이름을 부출하는 저작 = 303
3) 번역자와 삽화자가 있는 저작 = 304
4) 그 밖의 관련된 개인/단체가 있는 저작 = 305
5) 표제를 부출하는 저작 = 306
6) 총서를 부출하는 저작 = 307
부록 = 309
1. 공동목록시스템을 활용한 편목업무의 흐름도 = 311
2. KERIS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편목의 실제 = 313
3. KOLIS-NET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편목의 실제 = 318
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 325
색인 = 329
서문 = 3
제1장 MARC와 KORMARC의 기초이론 = 11
1. MARC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 13
1.1. MARC의 등장배경 = 13
1.2. MARC의 발전과정 = 15
1.3. MARC에 관련된 표준화 = 19
2. MARC 포맷과 편목규칙 = 22
3. MARC 레코드의 데이터요소 = 28
3.1. 고정길이필드의 데이터요소 = 28
3.2. 가변길이필드의 데이터요소 = 29
4. KORMARC의 발전과정과 특성 = 31
제2장 KORMARC 통합서지용(단행본편)의 개요 = 39
1. 서지레코드의 기본구조 = 41
1.1 리더 = 41
1.2 디렉토리 = 45
1.3 가변길이필드 = 46
1) 필드 00X 제어필드 = 47
2) 필드 01X-09X 제어정보, 숫자, 부호 = 48
3) 필드 1XX 기본표목 = 50
4) 필드 20X-24X 표제와 표제 관련 필드 = 50
5) 필드 250-28X 판차, 발행 등 = 50
6) 필드 3XX 형태사항 등 = 51
7) 필드 4XX 총서사항 = 52
8) 필드 5XX 주기 = 52
9) 필드 6XX 주제명부출표목 = 54
10) 필드 700X-75X 부출표목 = 54
11) 필드 76X-78X 연관저록 = 55
12) 필드 80X-83X 총서부출표목 = 56
13) 필드 841-89X 소장, 변형문자 등 = 56
14) 9XX 로컬에서 정의한 필드 = 57
2. 주요 가변길이필드의 개요 = 58
3. 008 부호화정보필드(도서용) = 91
제3장 KORMARC을 활용한 편목의 실제 = 99
1. 기본표목 (1XX필드) = 101
1.1 개인명 (100필드) = 101
1) 한 개인저자의 저작 = 102
2)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인에 의한 저작 = 104
3) 책임이 혼합되어 있는 저작 = 109
4) 이름의 선정 = 113
5) 여러 이름이 표시된 저작의 인명 선정 = 121
6) 목록저록의 요소 = 125
7) 동일한 이름을 구별하기 위한 부기사항 = 137
8) 전기 = 140
9) 정부의 공직 = 144
1.2 단체명 (110필드) = 146
1) 단체를 표목으로 하는 저작 = 146
2) 둘 또는 셋의 단체에 의한 저작 = 149
3) 단체에 대한 표목 = 154
1.3 회의명 (111필드) = 166
1) 회의명의 표목선정 = 166
2) 회차, 빈도, 개최년을 나타내는 단어의 생략 = 169
1.4 통일표제 (130필드) = 170
1) 통일표제를 표목으로 한 저작 = 171
2) 통일표제 앞에 관사가 있는 저작 = 172
3) 개정판인 저작 = 173
4) 개별표제 = 175
2. 표제와 표제관련 필드 (24X필드) = 178
2.1 통일표제 (240필드) = 178
2.2 종합통일표제 (243필드) = 180
1) 전집 = 181
2) 선집 = 182
2.3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245필드) = 184
1) 표제기본표목 = 185
2) 본표제 = 203
3) 대등표제 = 213
4) 표제잡정보 = 214
5) 종합표제 = 217
6) 책임표시 = 221
2.4 여러 형태의 표제 (246필드) = 234
1) 대등표제 = 235
2) 기타표제 = 236
3) 책등표제 = 237
2.5 변경전 표제나 표제변동 (247필드) = 238
1) 연속간행물의 본표제 변경 = 238
3. 판사항 및 발행사항 (250-28X필드) = 240
3.1 판사항 (250필드) = 241
1) 판표시 = 241
2) 특정판에 관련된 책임표시 = 243
3.2 발행, 배포 등 사항 (260필드) = 246
1) 둘이상의 발행사항이 있는 저작 = 247
2) 발행지, 배포지 등 = 248
3) 발행처명, 배포처명 등 = 254
4) 발행일자, 배포일자 등 = 258
4. 형태사항 (3XX필드) 및 총서사항 (4XX필드) = 263
4.1 형태사항 (300필드) = 263
1) 수량 = 264
2) 기타 세목 = 269
3) 크기 = 270
4) 딸림자료 = 271
5) 부록의 형태기술 = 273
4.2 총서사항 (440필드) = 275
1) 총서의 본표제 = 276
2) 총서에 관련된 책임표시가 있는 저작 = 277
3) 총서의 권ㆍ호 = 278
4) 하위총서 = 279
5) 둘이상의 총서 = 280
5. 주기사항 (5XX필드) = 281
1) 일반주기 = 282
2) 합철주기 = 285
3) 서지주기 = 286
4) 내용주기 = 287
5) 이용 제한주기 = 289
6) 제작진과 그 밖의 책임표시 = 290
7) 요약 = 292
8) 이용대상자 = 293
9) 부록주기 = 294
10) 이용 가능한 다른 형태 자료 주기 = 295
11) 원본주기 = 296
12) 언어 = 298
13) 발행처주기 = 299
14) 수상주기 = 300
6. 부출표목 (70X-75X필드) = 301
1) 둘 또는 그 이상 개인/단체가 관련된 저작 = 302
2) 이름을 부출하는 저작 = 303
3) 번역자와 삽화자가 있는 저작 = 304
4) 그 밖의 관련된 개인/단체가 있는 저작 = 305
5) 표제를 부출하는 저작 = 306
6) 총서를 부출하는 저작 = 307
부록 = 309
1. 공동목록시스템을 활용한 편목업무의 흐름도 = 311
2. KERIS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편목의 실제 = 313
3. KOLIS-NET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편목의 실제 = 318
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 325
색인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