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해제: 선천 역학과 도교 내단학의 결합,『참동고』 = 13
1.『참동계』와 조선의 주석서들 = 13
2. 외단서로서의『주역참동계』 = 17
3. 외단??내단으로의 전환과『참동계』의 재해석 = 20
4. 서명응의 선천학과『참동계』 = 23
5. 괘상과 수련이론 = 24
6.『참동계』를 비롯한 도교 연구의 필요성 = 29
참동고서(參同攷序) = 33
참동고총론(參同攷總論) = 37
참동고목록(參同攷目錄) = 47
참동고 권1ㆍ초의고 = 49
초의고(初擬攷) = 51
[제1장] = 57
[1장 1절] = 57
[1장 2절] = 61
[1장 3절] = 64
[제2장] = 70
[2장 1절] = 70
[2장 2절] = 72
[2장 3절] = 75
[제3장] = 79
[3장 1절] = 79
[3장 2절] = 80
[3장 3절] = 88
참동고 권2ㆍ호체고 = 99
호체고(互體攷) = 101
[제1장] = 105
[1장 1절] = 105
[1장 2절] = 108
[1장 3절] = 113
[제2장] = 116
[2장 1절] = 116
[2장 2절] = 119
[2장 3절] = 122
[제3장] = 128
[3장 1절] = 128
[3장 2절] = 130
[3장 3절] = 136
[제4장] = 140
[4장 1절] = 140
[4장 2절] = 142
[4장 3절] = 145
[제5장] = 149
[5장 1절] = 149
[5장 2절] = 153
[5장 3절] = 156
[제6장] = 163
[6장 1절] = 163
[6장 2절] = 165
[6장 3절] = 169
[제7장] = 173
[7장 1절] = 173
[7장 2절] = 177
[7장 3절] = 181
[제8장] = 185
[8장 1절] = 185
[8장 2절] = 189
[8장 3절] = 191
참동고 권3ㆍ인중고 = 195
인중고(因重考) = 197
[제1장] = 201
[1장 1절] = 201
[1장 2절] = 205
[1장 3절] = 206
[제2장] = 210
[2장 1절] = 210
[2장 2절] = 213
[2장 3절] = 219
[제3장] = 228
[3장 1절] = 228
[3장 2절] = 240
[3장 3절] = 246
[제4장] = 250
[4장 1절] = 250
[4장 2절] = 253
[4장 3절] = 258
[제5장] = 263
[5장 1절] = 263
[5장 2절] = 266
[5장 3절] = 269
[제6장] = 273
[6장 1절] = 273
[6장 2절] = 274
[6장 3절] = 276
역참동계난사(易參同契亂辭) = 281
역참동계정기가(易參同契鼎器歌) = 300
역참동계오상류(易參同契五相類) = 313
찬서(讚序) = 323
참동고 권4ㆍ변시고 = 325
변시고(辨是攷) = 327
석함참동(石函參同) = 330
양승암고문참동계서(楊升菴古文參同契序) = 330
위백양진인자서(魏伯陽眞人自序) = 332
서경휴진인전주서(徐景休眞人箋註序) = 333
참동계상편(參同契上篇): 서이어정편(序以御政篇) = 334
참동계중편(參同契中篇): 인내양성편(引內養性篇) = 344
참동계하편(參同契下篇): 배이복식편(配以服食篇) = 353
순우숙통보유(淳于叔通補遺) = 362
보유서(補遺序) = 362
보유삼상류상편(補遺三相類上篇) = 362
보유삼상류하편(補遺三相類下篇): 정기가(鼎器歌) = 365
『참동계』원문 색인 = 367
책머리에 = 5
해제: 선천 역학과 도교 내단학의 결합,『참동고』 = 13
1.『참동계』와 조선의 주석서들 = 13
2. 외단서로서의『주역참동계』 = 17
3. 외단??내단으로의 전환과『참동계』의 재해석 = 20
4. 서명응의 선천학과『참동계』 = 23
5. 괘상과 수련이론 = 24
6.『참동계』를 비롯한 도교 연구의 필요성 = 29
참동고서(參同攷序) = 33
참동고총론(參同攷總論) = 37
참동고목록(參同攷目錄) = 47
참동고 권1ㆍ초의고 = 49
초의고(初擬攷) = 51
[제1장] = 57
[1장 1절] = 57
[1장 2절] = 61
[1장 3절] = 64
[제2장] = 70
[2장 1절] = 70
[2장 2절] = 72
[2장 3절] = 75
[제3장] = 79
[3장 1절] = 79
[3장 2절] = 80
[3장 3절] = 88
참동고 권2ㆍ호체고 = 99
호체고(互體攷) = 101
[제1장] = 105
[1장 1절] = 105
[1장 2절] = 108
[1장 3절] = 113
[제2장] = 116
[2장 1절] = 116
[2장 2절] = 119
[2장 3절] = 122
[제3장] = 128
[3장 1절] = 128
[3장 2절] = 130
[3장 3절] = 136
[제4장] = 140
[4장 1절] = 140
[4장 2절] = 142
[4장 3절] = 145
[제5장] = 149
[5장 1절] = 149
[5장 2절] = 153
[5장 3절] = 156
[제6장] = 163
[6장 1절] = 163
[6장 2절] = 165
[6장 3절] = 169
[제7장] = 173
[7장 1절] = 173
[7장 2절] = 177
[7장 3절] = 181
[제8장] = 185
[8장 1절] = 185
[8장 2절] = 189
[8장 3절] = 191
참동고 권3ㆍ인중고 = 195
인중고(因重考) = 197
[제1장] = 201
[1장 1절] = 201
[1장 2절] = 205
[1장 3절] = 206
[제2장] = 210
[2장 1절] = 210
[2장 2절] = 213
[2장 3절] = 219
[제3장] = 228
[3장 1절] = 228
[3장 2절] = 240
[3장 3절] = 246
[제4장] = 250
[4장 1절] = 250
[4장 2절] = 253
[4장 3절] = 258
[제5장] = 263
[5장 1절] = 263
[5장 2절] = 266
[5장 3절] = 269
[제6장] = 273
[6장 1절] = 273
[6장 2절] = 274
[6장 3절] = 276
역참동계난사(易參同契亂辭) = 281
역참동계정기가(易參同契鼎器歌) = 300
역참동계오상류(易參同契五相類) = 313
찬서(讚序) = 323
참동고 권4ㆍ변시고 = 325
변시고(辨是攷) = 327
석함참동(石函參同) = 330
양승암고문참동계서(楊升菴古文參同契序) = 330
위백양진인자서(魏伯陽眞人自序) = 332
서경휴진인전주서(徐景休眞人箋註序) = 333
참동계상편(參同契上篇): 서이어정편(序以御政篇) = 334
참동계중편(參同契中篇): 인내양성편(引內養性篇) = 344
참동계하편(參同契下篇): 배이복식편(配以服食篇) = 353
순우숙통보유(淳于叔通補遺) = 362
보유서(補遺序) = 362
보유삼상류상편(補遺三相類上篇) = 362
보유삼상류하편(補遺三相類下篇): 정기가(鼎器歌) = 365
『참동계』원문 색인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