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6
머리말 = 8
1주. 차나무의 이해 = 14
1. 차의 기원과 원산지 = 16
1) 차의 기원 = 16
2) 차의 원산지와 분포 = 18
3) 차의 어원 = 20
2. 차나무의 식물학적 고찰 = 22
1) 차나무의 식물학적 고찰 = 22
2) 우리나라 차 산업의 현안문제 = 29
3) 차의 성분과 건강효능 = 34
2주. 차의 이해 = 44
1. 차의 종류 = 46
1) 차와 대용차류 = 46
2) 차의 분류 = 47
2. 녹차 = 48
1) 한국녹차의 제조시기에 따른 분류 = 49
2) 녹차의 맛과 품질 = 55
3. 우롱차와 홍차, 후발효차 = 61
1) 우롱차 = 61
2) 홍차 = 62
3) 후발효차 = 64
4. 대용차류와 세계의 주요 기호차류 = 66
1) 우리의 전통 건강음료 = 66
2) 세계의 주요 기호차류 = 70
3주. 차의 가공 = 74
1. 차의 가공 = 76
2. 찻잎의 수확과 채엽 = 77
1) 수확시기 = 77
2) 채엽의 방법 = 77
3) 생엽의 저장 = 79
3. 녹차의 가종 = 80
1) 녹차의 가공 = 80
2) 우롱차와 홍차의 제다 = 86
3) 기타 차류의 가공 = 87
4주. 한국 차문화의 이해 = 90
1. 한국 차의 전래 = 92
1) 자생설 = 93
2) 도입설 = 94
3) 신라 차의 중국 전래설 = 95
2. 한국의 차문화 = 96
1) 차문화 = 96
2) 차와 우리의 생활문화 = 96
3) 한국의 차문화 = 101
3. 고대 4국의 차생활문화 = 103
1) 고대의 차생활문화 = 103
2) 신라의 차생활문화 = 103
3) 고구려의 차생활문화 = 111
4) 백제의 차생활문화 = 113
5) 가야의 차생활문화 = 114
4. 고려의 차생활문화 = 116
1) 고려의 차생활문화 = 116
2) 차의 생산 = 120
3) 국가의 다례문화 = 121
4) 고려시대의 차와 차도구 = 122
5) 고려 차인들의 차노래 = 124
5. 조선의 차생활문화 = 127
1) 차문화의 퇴조와 중흥기 = 127
2) 조선시대의 차생활문화 = 128
3) 조정과 왕실의 차생활 = 131
4) 의식다례 = 132
5) 차도구 = 133
6) 문인들의 차생활 = 133
6. 현대의 차생활문화 = 147
5주. 차생활문화 = 148
1. 예의 기원과 예절 = 150
1) 예와 예의 기원 = 150
2) 예절과 에티켓 = 162
2. 차생활과 예절 = 171
1) 차생활과 수신 = 171
2) 차를 다루는 마음가짐 = 172
3) 차생활과 예 = 174
6주. 차생활문화의 실제 = 178
1. 찻자리 = 180
1) 찻자리 = 180
2) 정과 누 = 181
3) 조선의 한옥구조 = 185
2. 차도구와 관리 = 187
1) 차의 선택과 관리 = 187
2) 차도구의 종류 = 189
3) 조선 찻사발의 감상 = 198
3. 찻자리의 꽃 = 200
1) 한국의 전통 꽃예술 = 200
2) 화례(花禮) = 200
3) 찻자리 꽃 = 200
4. 다과 = 203
1) 다과 = 203
2) 다과의 종류 = 203
5. 향 = 208
1) 우리의 향문화 = 208
2) 우리의 향문화 역사 = 209
3) 찻자리의 향 = 211
7주. 차 다루기의 실제 = 212
1. 차를 다루는 마음 = 214
1) 차를 다루는 마음가짐 = 214
2) 차를 다루는 요령 = 215
3) 차를 다루는 차인의 정서 = 217
4) 차의 덕과 정취 = 218
2. 차 다루기의 실제 = 223
1) 홀로 마시는 차 다루기 = 224
2) 손님맞이 차 다루기 = 232
3) 말차(가루녹차) 다루기 = 238
3. 차례와 헌공다례(육법공양) = 244
1) 차례 = 244
2) 불가의 헌공다례 = 245
8주. 차의 응용과 현대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46
1. 차 기능성 성분의 이용 = 248
1) 차의 이용 = 248
2) 보건효능 성분의 기능성 이용 = 249
3) 식품으로의 이용 = 251
4) 공산품 및 기타 이용법 = 251
2.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55
1) 현대의 차생활문화 = 255
2)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56
9주. 한국 차문화의 사적고찰 = 260
1. 《다신전》의 이해 = 262
1) 다성 초의선사 = 262
2) 《다신전》의 이해 = 266
3) 《다신전》의 내용 = 266
2. 《동다송》의 이해 = 279
1) 《동다송》의 이해 = 279
2) 《동다송》의 내용 = 279
10주. 세계의 차문화 = 302
1. 중국의 차문화 = 304
1) 중국의 차문화 = 304
2) 현대 중국차의 종류 = 308
3) 중국차의 찻그릇 = 308
4) 중국 차문화의 사적 고찰 = 310
2. 일본의 차문화 = 320
1) 일본의 차문화 = 320
2) 일본 다도의 정신 = 324
3) 일본의 다도 = 325
4) 일본 차문화의 사적고찰 = 328
3. 세계의 차문화 = 335
1) 유럽에의 전래 = 335
2) 유럽에의 소개 = 336
3) 차로 인한 역사적 사건들 = 337
4) 영국의 차문화 = 338
5) 홍차 우리기 = 338
6) 세계의 차 = 339
참고문헌 = 342
관련기관 = 344
찾아보기 = 345
추천사 = 6
머리말 = 8
1주. 차나무의 이해 = 14
1. 차의 기원과 원산지 = 16
1) 차의 기원 = 16
2) 차의 원산지와 분포 = 18
3) 차의 어원 = 20
2. 차나무의 식물학적 고찰 = 22
1) 차나무의 식물학적 고찰 = 22
2) 우리나라 차 산업의 현안문제 = 29
3) 차의 성분과 건강효능 = 34
2주. 차의 이해 = 44
1. 차의 종류 = 46
1) 차와 대용차류 = 46
2) 차의 분류 = 47
2. 녹차 = 48
1) 한국녹차의 제조시기에 따른 분류 = 49
2) 녹차의 맛과 품질 = 55
3. 우롱차와 홍차, 후발효차 = 61
1) 우롱차 = 61
2) 홍차 = 62
3) 후발효차 = 64
4. 대용차류와 세계의 주요 기호차류 = 66
1) 우리의 전통 건강음료 = 66
2) 세계의 주요 기호차류 = 70
3주. 차의 가공 = 74
1. 차의 가공 = 76
2. 찻잎의 수확과 채엽 = 77
1) 수확시기 = 77
2) 채엽의 방법 = 77
3) 생엽의 저장 = 79
3. 녹차의 가종 = 80
1) 녹차의 가공 = 80
2) 우롱차와 홍차의 제다 = 86
3) 기타 차류의 가공 = 87
4주. 한국 차문화의 이해 = 90
1. 한국 차의 전래 = 92
1) 자생설 = 93
2) 도입설 = 94
3) 신라 차의 중국 전래설 = 95
2. 한국의 차문화 = 96
1) 차문화 = 96
2) 차와 우리의 생활문화 = 96
3) 한국의 차문화 = 101
3. 고대 4국의 차생활문화 = 103
1) 고대의 차생활문화 = 103
2) 신라의 차생활문화 = 103
3) 고구려의 차생활문화 = 111
4) 백제의 차생활문화 = 113
5) 가야의 차생활문화 = 114
4. 고려의 차생활문화 = 116
1) 고려의 차생활문화 = 116
2) 차의 생산 = 120
3) 국가의 다례문화 = 121
4) 고려시대의 차와 차도구 = 122
5) 고려 차인들의 차노래 = 124
5. 조선의 차생활문화 = 127
1) 차문화의 퇴조와 중흥기 = 127
2) 조선시대의 차생활문화 = 128
3) 조정과 왕실의 차생활 = 131
4) 의식다례 = 132
5) 차도구 = 133
6) 문인들의 차생활 = 133
6. 현대의 차생활문화 = 147
5주. 차생활문화 = 148
1. 예의 기원과 예절 = 150
1) 예와 예의 기원 = 150
2) 예절과 에티켓 = 162
2. 차생활과 예절 = 171
1) 차생활과 수신 = 171
2) 차를 다루는 마음가짐 = 172
3) 차생활과 예 = 174
6주. 차생활문화의 실제 = 178
1. 찻자리 = 180
1) 찻자리 = 180
2) 정과 누 = 181
3) 조선의 한옥구조 = 185
2. 차도구와 관리 = 187
1) 차의 선택과 관리 = 187
2) 차도구의 종류 = 189
3) 조선 찻사발의 감상 = 198
3. 찻자리의 꽃 = 200
1) 한국의 전통 꽃예술 = 200
2) 화례(花禮) = 200
3) 찻자리 꽃 = 200
4. 다과 = 203
1) 다과 = 203
2) 다과의 종류 = 203
5. 향 = 208
1) 우리의 향문화 = 208
2) 우리의 향문화 역사 = 209
3) 찻자리의 향 = 211
7주. 차 다루기의 실제 = 212
1. 차를 다루는 마음 = 214
1) 차를 다루는 마음가짐 = 214
2) 차를 다루는 요령 = 215
3) 차를 다루는 차인의 정서 = 217
4) 차의 덕과 정취 = 218
2. 차 다루기의 실제 = 223
1) 홀로 마시는 차 다루기 = 224
2) 손님맞이 차 다루기 = 232
3) 말차(가루녹차) 다루기 = 238
3. 차례와 헌공다례(육법공양) = 244
1) 차례 = 244
2) 불가의 헌공다례 = 245
8주. 차의 응용과 현대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46
1. 차 기능성 성분의 이용 = 248
1) 차의 이용 = 248
2) 보건효능 성분의 기능성 이용 = 249
3) 식품으로의 이용 = 251
4) 공산품 및 기타 이용법 = 251
2.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55
1) 현대의 차생활문화 = 255
2) 차생활문화의 발전방안 = 256
9주. 한국 차문화의 사적고찰 = 260
1. 《다신전》의 이해 = 262
1) 다성 초의선사 = 262
2) 《다신전》의 이해 = 266
3) 《다신전》의 내용 = 266
2. 《동다송》의 이해 = 279
1) 《동다송》의 이해 = 279
2) 《동다송》의 내용 = 279
10주. 세계의 차문화 = 302
1. 중국의 차문화 = 304
1) 중국의 차문화 = 304
2) 현대 중국차의 종류 = 308
3) 중국차의 찻그릇 = 308
4) 중국 차문화의 사적 고찰 = 310
2. 일본의 차문화 = 320
1) 일본의 차문화 = 320
2) 일본 다도의 정신 = 324
3) 일본의 다도 = 325
4) 일본 차문화의 사적고찰 = 328
3. 세계의 차문화 = 335
1) 유럽에의 전래 = 335
2) 유럽에의 소개 = 336
3) 차로 인한 역사적 사건들 = 337
4) 영국의 차문화 = 338
5) 홍차 우리기 = 338
6) 세계의 차 = 339
참고문헌 = 342
관련기관 = 344
찾아보기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