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1
해설 = 15
헤이안 시대의 결혼 제도
가네이에의 여자관계와 이로고노미적 세계
헤이안 귀족과 와카
지은이에 대해 = 28
상권 = 31
〈1〉서문 - 허망한 내 인생을 쓴 일기 = 33
〈2〉후지와라노 가네이에(藤原兼家)의 구혼 = 34
〈3〉가네이에와의 혼인 성립 = 37
〈4〉혼인 직후 가네이에와의 증답 = 42
〈5〉아버지 도모야스(倫寧)의 미치노쿠니 지방관 부임. 가네이에의 요카와(橫川) 참배 = 44
〈6〉미치쓰나 탄생. 무로마치(室町) 골목길 여자 출현 = 47
〈7〉삼월 삼짇날. 언니와도 이별 = 50
〈8〉도키히메(時姬) 집에도 발 끊은 가네이에 = 52
〈9〉무로마치 골목길 여자, 아들 출산 = 58
〈10〉보통 정도로 돌아온 가네이에의 내방 = 60
〈11〉가네이에의 총애 잃은 무로마치 골목길 여자 = 65
〈12〉가네이에와 장가 증답 = 65
〈13〉가네이에와 노리아키라(章明) 친왕의 교분 = 70
〈14〉노리아키라 친왕 저택의 억새 = 79
〈17〉불안정한 아내 처지에 허무함 통감 = 81
〈16〉어머니의 죽음 = 83
〈17〉어머니의 일주기 = 88
〈18〉언니와 이별 = 90
〈19〉병환 중인 가네이에를 문병 = 92
〈20〉가모 마쓰리에서 도키히메와 증답 = 96
〈21〉황폐해 가는 집, 황패해 가는 부부 사이 = 99
〈22〉이나리(稻荷) 신사와 가모 신사 참배, 와카 봉납 = 101
〈23〉후시(`$子)에게 오리 알 선물 = 103
〈24〉무라카미(村上) 천황 붕어, 천황 교체로 가네이에 승진 = 105
〈25〉서쪽 행랑채로 퇴궐한 도시(登子)와 교류 = 107
〈26〉하쓰세 참배 길, 집을 나서서 절까지 = 113
〈27〉하쓰세 참배, 가네이에의 마중 = 117
〈28〉맺음 - 있는지 없는지 허무하기만 한 하루살이의 일기 = 121
중권 = 123
〈1〉연두의 축가, 삼십 날 삼십 밤을 내 곁에서 = 125
〈2〉이쪽 시녀와 저쪽 시종의 왕래 = 126
〈3〉서궁(西富) 사다이진 유배, 진심으로 동정 = 128
〈4〉병 앓고 불안한 마음에 유서 준비 = 129
〈5〉아이미야(愛宮)와의 증답 = 133
〈6〉고이치조(小一條) 사다이진 50세 경축 병풍가 = 139
〈7〉궁중의 활쏘기 시합과 미치쓰나의 활약 = 143
〈8〉오지 않는 밤이 30일, 낮이 40일 = 146
〈9〉가라사키(唐崎) 재계 = 148
〈10〉매를 풀어주고 안타까워하는 미치쓰나 = 153
〈11〉이시야마데라(石山寺)에 참배 = 157
〈12〉잡다한 일 저변에 흐르는 암담한 심정 = 163
〈13〉가네이에와 오미 관계 진척 = 168
〈14〉아버지 집에서 장기 정진 = 170
〈15〉나루타키(嗚瀧)로 출발 = 176
〈16〉한냐지(般若寺)에 도착 = 179
〈17〉한적한 산사, 숙모와 여동생의 방문 = 182
〈18〉가네이에의 사자 방문 = 186
〈19〉가네이에와의 교신, 시녀들과의 교신 = 188
〈20〉친족과의 대화 = 191
〈21〉미치타카(道隆)의 내방 = 194
〈22〉가네이에의 강압에 못 이겨 귀경 = 196
〈23〉귀가, 가네이에의 농담 = 198
〈24〉다시금 가네이에의 발길이 끊기는 나날 = 199
〈25〉두 번째 하쓰세 참배 = 202
〈26〉차분한 인생 관조, 중권의 결말 = 206
하권 = 211
〈1〉972년, 차분한 마음으로 맞이한 새해 = 213
〈2〉다이나곤으로 승진한 가네이에의 의연한 풍채 = 214
〈3〉세상 살기 힘들다고 새삼 느끼는 나날 = 218
〈4〉해몽가, 미치쓰나 장래에 대해 예견 = 219
〈5〉가네타다 딸과 가네이에 사이에 태어난 딸 = 221
〈6〉그 딸을 양녀로 맞아 가네이에와 부녀 상봉 = 225
〈7〉봄, 화패에 가네이에 문안 = 227
〈8〉야하타(八幡) 마쓰리 구경, 옆집 화재 뒷정리 = 231
〈9〉미치쓰나, 야마토(大和) 여자와 와카 증답 = 236
〈10〉별 생각 없이 무료한 나날 = 239
〈11〉미치쓰나와 야마토 여자의 생기발랄한 증답 = 243
〈12〉태정대신 훙거, 불행한 이 몸의 신세 한탄 = 246
〈13〉점점 좋아지는 가네이에의 풍채와 날로 쇠락해 가는 내 모습 = 247
〈14〉미치쓰나의 근황, 야하타 마쓰리, 다시 화재 = 249
〈15〉도모야스의 권유로 히로하타(廣幡) 나카가와(中川)로 이사 = 253
〈16〉꿈길 끊어지고 맞이한 한 해의 끝자락 = 256
〈17〉미치쓰나, 우마노스케(右馬助)에 취임. 심산의 절에 참배 = 259
〈18〉후지와라노 도노리(藤原速度), 양녀에게 구혼 = 262
〈19〉도노리, 내방 시작 = 265
〈20〉가네이에, 도노리 구혼 허락 = 268
〈21〉도노리의 초조한 애원 = 270
〈22〉도노리의 열의를 가네이에가 조롱 = 273
〈23〉신사에 와카 봉납. 단오절 = 275
〈24〉도노리의 구혼, 파국으로 = 278
〈25〉천연두 유행, 미치쓰나의 쾌유 = 283
〈26〉호리카와 태정대신의 와카 = 285
〈27〉가모 임시 마쓰리, 오랜만에 보는 가네이에의 모습 = 287
〈28〉미치쓰나와 야쓰하시(八橋) 여자의 와카 증답 = 288
〈29〉내 길고긴 일생을 되돌아보며 일기 마감 = 294
〈권말가집〉 = 296
권말 부록 = 313
여성문학으로서의《청령일기》- 미국에서의 수용과 연구 양상을 중심으로 = 315
작자의 결혼생활 - 일기의 줄거리 = 327
연표 = 336
지도 = 342
옮긴이에 대해 = 345
머리말 = 11
해설 = 15
헤이안 시대의 결혼 제도
가네이에의 여자관계와 이로고노미적 세계
헤이안 귀족과 와카
지은이에 대해 = 28
상권 = 31
〈1〉서문 - 허망한 내 인생을 쓴 일기 = 33
〈2〉후지와라노 가네이에(藤原兼家)의 구혼 = 34
〈3〉가네이에와의 혼인 성립 = 37
〈4〉혼인 직후 가네이에와의 증답 = 42
〈5〉아버지 도모야스(倫寧)의 미치노쿠니 지방관 부임. 가네이에의 요카와(橫川) 참배 = 44
〈6〉미치쓰나 탄생. 무로마치(室町) 골목길 여자 출현 = 47
〈7〉삼월 삼짇날. 언니와도 이별 = 50
〈8〉도키히메(時姬) 집에도 발 끊은 가네이에 = 52
〈9〉무로마치 골목길 여자, 아들 출산 = 58
〈10〉보통 정도로 돌아온 가네이에의 내방 = 60
〈11〉가네이에의 총애 잃은 무로마치 골목길 여자 = 65
〈12〉가네이에와 장가 증답 = 65
〈13〉가네이에와 노리아키라(章明) 친왕의 교분 = 70
〈14〉노리아키라 친왕 저택의 억새 = 79
〈17〉불안정한 아내 처지에 허무함 통감 = 81
〈16〉어머니의 죽음 = 83
〈17〉어머니의 일주기 = 88
〈18〉언니와 이별 = 90
〈19〉병환 중인 가네이에를 문병 = 92
〈20〉가모 마쓰리에서 도키히메와 증답 = 96
〈21〉황폐해 가는 집, 황패해 가는 부부 사이 = 99
〈22〉이나리(稻荷) 신사와 가모 신사 참배, 와카 봉납 = 101
〈23〉후시(`$子)에게 오리 알 선물 = 103
〈24〉무라카미(村上) 천황 붕어, 천황 교체로 가네이에 승진 = 105
〈25〉서쪽 행랑채로 퇴궐한 도시(登子)와 교류 = 107
〈26〉하쓰세 참배 길, 집을 나서서 절까지 = 113
〈27〉하쓰세 참배, 가네이에의 마중 = 117
〈28〉맺음 - 있는지 없는지 허무하기만 한 하루살이의 일기 = 121
중권 = 123
〈1〉연두의 축가, 삼십 날 삼십 밤을 내 곁에서 = 125
〈2〉이쪽 시녀와 저쪽 시종의 왕래 = 126
〈3〉서궁(西富) 사다이진 유배, 진심으로 동정 = 128
〈4〉병 앓고 불안한 마음에 유서 준비 = 129
〈5〉아이미야(愛宮)와의 증답 = 133
〈6〉고이치조(小一條) 사다이진 50세 경축 병풍가 = 139
〈7〉궁중의 활쏘기 시합과 미치쓰나의 활약 = 143
〈8〉오지 않는 밤이 30일, 낮이 40일 = 146
〈9〉가라사키(唐崎) 재계 = 148
〈10〉매를 풀어주고 안타까워하는 미치쓰나 = 153
〈11〉이시야마데라(石山寺)에 참배 = 157
〈12〉잡다한 일 저변에 흐르는 암담한 심정 = 163
〈13〉가네이에와 오미 관계 진척 = 168
〈14〉아버지 집에서 장기 정진 = 170
〈15〉나루타키(嗚瀧)로 출발 = 176
〈16〉한냐지(般若寺)에 도착 = 179
〈17〉한적한 산사, 숙모와 여동생의 방문 = 182
〈18〉가네이에의 사자 방문 = 186
〈19〉가네이에와의 교신, 시녀들과의 교신 = 188
〈20〉친족과의 대화 = 191
〈21〉미치타카(道隆)의 내방 = 194
〈22〉가네이에의 강압에 못 이겨 귀경 = 196
〈23〉귀가, 가네이에의 농담 = 198
〈24〉다시금 가네이에의 발길이 끊기는 나날 = 199
〈25〉두 번째 하쓰세 참배 = 202
〈26〉차분한 인생 관조, 중권의 결말 = 206
하권 = 211
〈1〉972년, 차분한 마음으로 맞이한 새해 = 213
〈2〉다이나곤으로 승진한 가네이에의 의연한 풍채 = 214
〈3〉세상 살기 힘들다고 새삼 느끼는 나날 = 218
〈4〉해몽가, 미치쓰나 장래에 대해 예견 = 219
〈5〉가네타다 딸과 가네이에 사이에 태어난 딸 = 221
〈6〉그 딸을 양녀로 맞아 가네이에와 부녀 상봉 = 225
〈7〉봄, 화패에 가네이에 문안 = 227
〈8〉야하타(八幡) 마쓰리 구경, 옆집 화재 뒷정리 = 231
〈9〉미치쓰나, 야마토(大和) 여자와 와카 증답 = 236
〈10〉별 생각 없이 무료한 나날 = 239
〈11〉미치쓰나와 야마토 여자의 생기발랄한 증답 = 243
〈12〉태정대신 훙거, 불행한 이 몸의 신세 한탄 = 246
〈13〉점점 좋아지는 가네이에의 풍채와 날로 쇠락해 가는 내 모습 = 247
〈14〉미치쓰나의 근황, 야하타 마쓰리, 다시 화재 = 249
〈15〉도모야스의 권유로 히로하타(廣幡) 나카가와(中川)로 이사 = 253
〈16〉꿈길 끊어지고 맞이한 한 해의 끝자락 = 256
〈17〉미치쓰나, 우마노스케(右馬助)에 취임. 심산의 절에 참배 = 259
〈18〉후지와라노 도노리(藤原速度), 양녀에게 구혼 = 262
〈19〉도노리, 내방 시작 = 265
〈20〉가네이에, 도노리 구혼 허락 = 268
〈21〉도노리의 초조한 애원 = 270
〈22〉도노리의 열의를 가네이에가 조롱 = 273
〈23〉신사에 와카 봉납. 단오절 = 275
〈24〉도노리의 구혼, 파국으로 = 278
〈25〉천연두 유행, 미치쓰나의 쾌유 = 283
〈26〉호리카와 태정대신의 와카 = 285
〈27〉가모 임시 마쓰리, 오랜만에 보는 가네이에의 모습 = 287
〈28〉미치쓰나와 야쓰하시(八橋) 여자의 와카 증답 = 288
〈29〉내 길고긴 일생을 되돌아보며 일기 마감 = 294
〈권말가집〉 = 296
권말 부록 = 313
여성문학으로서의《청령일기》- 미국에서의 수용과 연구 양상을 중심으로 = 315
작자의 결혼생활 - 일기의 줄거리 = 327
연표 = 336
지도 = 342
옮긴이에 대해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