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 5
自序 = 7
개정판을 내면서 = 11
1. 언의지변(言意之辯)과 수묵미학의 근원 = 21
1. 《주역(周易)》에 있어서 언의지변(言意之辯) = 22
2. 노장(老莊)의 언의(言意) 사상과 수묵화의 사상적 관련성 = 29
3. 위ㆍ진ㆍ남북조의 득의망상(得意忘象)과 수묵미학의 근원 = 35
4. 초기 수묵미학에 반영된 언의지변(言意之辯) = 45
5. 작은 결론 = 51
2. 수묵화의 근원과 특성 = 55
1. 수묵화의 근원 = 56
2. 수묵화의 주요 흐름 = 62
3. 수묵화의 대표적 특성 = 76
4. 작은 결론 = 95
3. 남북분종론(南北分宗論) = 97
1. 명말(明末) 화단의 배경 = 99
2. 화정삼명사(華亭三名士) = 101
3. 남북분종론의 시작 = 103
4. 남북분종론의 전개 = 104
5. 분종론을 가장 먼저 주장한 자는 누구인가? = 111
6. 남북종의 화법상 특질 = 117
7. 작은 결론 = 128
4. 선가(禪家) 사상과 수묵화 = 131
1. 선종(禪宗)의 약사 = 131
2. 선(禪)의 세계 = 135
3. 혜능(慧能)과 돈오(頓悟) = 140
4. 선(禪)사상과 수묵화 = 143
5. 명말 분종론과 남돈북점(南頓北漸) = 149
6. 수묵화에 나타난 선(禪)사상 = 152
7. 작은 결론 = 157
5. 강남ㆍ강북의 문화관과 회화 = 159
1. 역사상 중국 대륙의 남북 문화관 = 160
2. '남북분종론'과 지리적인 남북 양분의 관계 = 253
3. 남북 지리적 작용이 회화에 미친 영향 = 255
4. 작은 결론 = 258
6. 문인화(文人畵) = 261
1. 문인화의 기원과 변천 = 262
2. 송대의 대표적 문인화가 = 268
3. 문인화의 사상 = 273
4. 문인화의 경향과 기법 = 275
5. 문인화의 특징과 화풍 = 277
6. 남종화(南宗畵)와 문인화 = 282
7. 문인화의 흐름 = 284
8. 작은 결론 = 286
7. 원사대가(元四大家) = 289
1. 개관 = 291
2. 조맹부(趙孟부)와 복고주의 = 293
3. 원사대가론 = 298
4. 황공망(黃公望, 1269-1354) = 300
5. 오진(吳鎭, 1280-1354) = 305
6. 예찬(倪瓚, 1301-1374) = 308
7. 왕몽(王夢, 1308-1385) = 313
8. 작은 결론 = 316
8. 명대 소주(蘇州)의 수묵화 - 오파(吳派) = 319
1. 명대 회화의 개관 = 320
2. '오파(吳波)'의 범주 = 325
3. 오파의 선구자들 = 330
4. 오파의 중견화가들 = 339
5. 오파의 사기 구분 = 342
6. 제1기 = 343
7. 제2기 = 346
8. 제3기 = 350
9. 제4기 = 351
10. 절파(浙派)와 오파(吳派)의 논쟁 = 353
11. 작은 결론 = 360
9. 청대 수묵독창주의 - 명말ㆍ청초의 유민 화가들 = 363
1. 시대 배경 = 364
2. 전환 시대의 회화와 명말 유민 화가들 = 366
3. 작은 결론 = 381
10. 청대 수묵독창주의 - 팔대산인(八大山人)과 석도(石濤) = 383
1. 팔대산인의 생애 = 385
2. 팔대산인의 서명 = 390
3. 팔대산인의 회화 세계 = 392
4. 석도의 생애 = 395
5. 석도의 예술 사상 = 398
6. 석도의 회화 세계 = 402
7. 팔대산인과 석도의 교류 = 404
8. 작은 결론 = 406
11. 청대 수묵독창주의 - 양주팔괴(揚州八怪) = 409
1. 양주(揚州)와 양주 화단 = 410
2. 양주(揚州)화파 = 413
3. 양주팔괴의 명칭 = 415
4. 양주팔괴의 회화 세계 = 419
5. 작은 결론 = 432
12. 전환기의 3대 문인화가 = 435
1. 시대 배경 = 436
2. 런뿌어니엔[任伯年, 1840-1896] = 438
3. 우창수어[吳昌碩, 1844-1927] = 443
4. 치바이스[齊白石, 1863-1957] = 448
5. 작은 결론 = 451
13. 현대 중국 수묵화의 흐름 = 453
1. 20세기 초엽의 수묵사조 = 454
2. 이념의 분단과 화단의 분열 = 458
3. 아시아 현대 수묵화의 흐름 = 459
4. 작은 결론 = 478
결론 = 483
주요 참고 문헌 목록 = 491
한국ㆍ중국ㆍ일본 주요 연대 비교표 = 503
색인 = 517
序 = 5
自序 = 7
개정판을 내면서 = 11
1. 언의지변(言意之辯)과 수묵미학의 근원 = 21
1. 《주역(周易)》에 있어서 언의지변(言意之辯) = 22
2. 노장(老莊)의 언의(言意) 사상과 수묵화의 사상적 관련성 = 29
3. 위ㆍ진ㆍ남북조의 득의망상(得意忘象)과 수묵미학의 근원 = 35
4. 초기 수묵미학에 반영된 언의지변(言意之辯) = 45
5. 작은 결론 = 51
2. 수묵화의 근원과 특성 = 55
1. 수묵화의 근원 = 56
2. 수묵화의 주요 흐름 = 62
3. 수묵화의 대표적 특성 = 76
4. 작은 결론 = 95
3. 남북분종론(南北分宗論) = 97
1. 명말(明末) 화단의 배경 = 99
2. 화정삼명사(華亭三名士) = 101
3. 남북분종론의 시작 = 103
4. 남북분종론의 전개 = 104
5. 분종론을 가장 먼저 주장한 자는 누구인가? = 111
6. 남북종의 화법상 특질 = 117
7. 작은 결론 = 128
4. 선가(禪家) 사상과 수묵화 = 131
1. 선종(禪宗)의 약사 = 131
2. 선(禪)의 세계 = 135
3. 혜능(慧能)과 돈오(頓悟) = 140
4. 선(禪)사상과 수묵화 = 143
5. 명말 분종론과 남돈북점(南頓北漸) = 149
6. 수묵화에 나타난 선(禪)사상 = 152
7. 작은 결론 = 157
5. 강남ㆍ강북의 문화관과 회화 = 159
1. 역사상 중국 대륙의 남북 문화관 = 160
2. '남북분종론'과 지리적인 남북 양분의 관계 = 253
3. 남북 지리적 작용이 회화에 미친 영향 = 255
4. 작은 결론 = 258
6. 문인화(文人畵) = 261
1. 문인화의 기원과 변천 = 262
2. 송대의 대표적 문인화가 = 268
3. 문인화의 사상 = 273
4. 문인화의 경향과 기법 = 275
5. 문인화의 특징과 화풍 = 277
6. 남종화(南宗畵)와 문인화 = 282
7. 문인화의 흐름 = 284
8. 작은 결론 = 286
7. 원사대가(元四大家) = 289
1. 개관 = 291
2. 조맹부(趙孟부)와 복고주의 = 293
3. 원사대가론 = 298
4. 황공망(黃公望, 1269-1354) = 300
5. 오진(吳鎭, 1280-1354) = 305
6. 예찬(倪瓚, 1301-1374) = 308
7. 왕몽(王夢, 1308-1385) = 313
8. 작은 결론 = 316
8. 명대 소주(蘇州)의 수묵화 - 오파(吳派) = 319
1. 명대 회화의 개관 = 320
2. '오파(吳波)'의 범주 = 325
3. 오파의 선구자들 = 330
4. 오파의 중견화가들 = 339
5. 오파의 사기 구분 = 342
6. 제1기 = 343
7. 제2기 = 346
8. 제3기 = 350
9. 제4기 = 351
10. 절파(浙派)와 오파(吳派)의 논쟁 = 353
11. 작은 결론 = 360
9. 청대 수묵독창주의 - 명말ㆍ청초의 유민 화가들 = 363
1. 시대 배경 = 364
2. 전환 시대의 회화와 명말 유민 화가들 = 366
3. 작은 결론 = 381
10. 청대 수묵독창주의 - 팔대산인(八大山人)과 석도(石濤) = 383
1. 팔대산인의 생애 = 385
2. 팔대산인의 서명 = 390
3. 팔대산인의 회화 세계 = 392
4. 석도의 생애 = 395
5. 석도의 예술 사상 = 398
6. 석도의 회화 세계 = 402
7. 팔대산인과 석도의 교류 = 404
8. 작은 결론 = 406
11. 청대 수묵독창주의 - 양주팔괴(揚州八怪) = 409
1. 양주(揚州)와 양주 화단 = 410
2. 양주(揚州)화파 = 413
3. 양주팔괴의 명칭 = 415
4. 양주팔괴의 회화 세계 = 419
5. 작은 결론 = 432
12. 전환기의 3대 문인화가 = 435
1. 시대 배경 = 436
2. 런뿌어니엔[任伯年, 1840-1896] = 438
3. 우창수어[吳昌碩, 1844-1927] = 443
4. 치바이스[齊白石, 1863-1957] = 448
5. 작은 결론 = 451
13. 현대 중국 수묵화의 흐름 = 453
1. 20세기 초엽의 수묵사조 = 454
2. 이념의 분단과 화단의 분열 = 458
3. 아시아 현대 수묵화의 흐름 = 459
4. 작은 결론 = 478
결론 = 483
주요 참고 문헌 목록 = 491
한국ㆍ중국ㆍ일본 주요 연대 비교표 = 503
색인 =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