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사상가 10人'을 출간하며 = 5
해제: 수운 최제우에 대한 연구현황 / 오문환 = 15
1. 수운 연구의 경향 = 15
1. 일반적 경향 = 15
2. 문헌 연구 = 19
3. 새로운 도덕과 사상적 배경 = 23
4. 수운의 인간론에 대한 연구 = 28
5. 역사ㆍ정치ㆍ사회사상적 연구 = 32
2. 수운 연구의 연대기별 실태 = 39
1. 해방 이전: 이돈화와 『신인간』 = 40
2. 1950년대: 『한국사상』과 근대화 = 40
3. 1960년대: 연구의 양적 팽창 = 41
4. 1970년대: 한국사상의 꽃으로서 수운사상과 그 정치적 지향성 = 42
5. 1980년대: 연구의 양적 성장과 민주화 = 43
6. 1990년대: 전문 연구서의 간행과 동학학회 출범 = 45
7. 2000년대를 맞으면서 = 47
3. 수운 사상의 연구 과제 = 47
1. 일반적 연구 과제 = 47
2. 구체적 연구 과제: 보편진리와 구체적 현실 = 49
4. 이 책의 짜임 = 54
5. 맺음말 = 57
제1부 수운 최제우의 천관과 인간관 = 59
수운의 도와 덕 : 수심정기, 기화지신, 인내천 / 김승복 = 61
1. 머리말 = 61
2. 수심정기 = 62
1. 마음과 기운의 구분 = 63
2. 마음을 지키는 법 = 64
3. 기운을 바르게 하는 법 = 66
4. 기화지신 = 68
5. 인내천 = 73
6. 맺음말 = 80
수운의 시천주 체험과 동학의 신관 / 김경재 = 81
1. 들어가는 말 = 81
2. '시천주' 체험의 종교현상학적 이해 = 84
1. '내유신령'의 체험으로서의 모심 = 85
2. '외유기화'의 체험으로서의 모심 = 88
3. '각지불이' 체험으로서의 모심 = 90
3. 동학의 신관 = 94
4. '시천주 체험'과 동학 신관의 현대적 의미 = 100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 김용휘 = 103
1. 머리말 = 103
2. '시천주'의 정립 = 104
1. 하늘님 체험 = 106
2. '시천주'의 자각 = 108
3. '모심'(待)의 의미 = 109
3. 지기와 천주 = 112
4. 수운 천주관의 특징 = 116
1. '귀신자오야(鬼神者吾也)' = 116
2. 불택선악 = 122
5. 현대적 의의와 한계 = 126
'시천주' 주문을 통해서 본 수운의 인간관 / 오문환 = 129
1. 머리말 = 129
2. 사람-하느님의 관계: 시정지 = 131
3. 참주체의 발견: '시(侍)' = 136
4. 하느님의 내재화: '정(定)' = 142
5. '신인간'의 탄생: '지(知)' = 147
6. 맺음말 = 152
수운의 「검결」 연구 / 윤석산 = 155
1. 서론 = 155
2. 작품명 및 창작 시기 = 157
3. 「검결」의 수난과 정착 = 161
4. 「검결」, 그리고 칼과 춤의 의미 = 164
5. 「검결」이 지향하는 세계 = 167
6. 결론 = 171
제2부 수운 사상의 비교철학적 이해 = 173
동학과 전통사상 / 신일철 = 175
1. 유불선 종합의 동학적 해석학 = 175
2. 동아시아 전통에 대한 '민학'적 발상전환 = 180
3. 서학의 종말론적 내세관과 구별되는 동학의 역사관 = 184
4. 동학의 유토피아 자유민권사회 = 189
동학과 유학사상 / 박경환 = 193
1. 들어가는 말 = 193
2. 동학의 유학 이해 = 195
3. 동학의 유학사상 수용 = 199
1. 기일원론적 존재론 = 199
2. 천인합일의 사유 = 203
3. 평등적 인간관 = 207
4. 내면적 수양의 강조 = 209
4. 나오는 말 = 211
그리스도교와 천도교의 신관 비교 / 김용해 = 215
1. 들어가는 말 = 215
2. 그리스도교와 천도교의 신관념 = 216
1. 그리스도교의 신: 삼위일체적 하느님 = 216
2. 동학의 신: 한울님(천주)과 본래기(지기) = 227
3. 신ㆍ인간ㆍ자연의 관계에서 바라보는 신관 비교 = 237
1. 인식론적 비교 = 238
2. 존재론적 비교 = 241
3. 우주론적 비교 = 241
4. 나가는 말 = 245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 최민자 = 247
1. 서론 = 247
2.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과 화쟁사상 = 250
1. 『대승기신론소ㆍ별기』ㆍ『금강삼매경론』ㆍ『십문화쟁론』 = 250
2.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 = 252
3. 화쟁의 사상과 그 방법 = 257
4. 일체유심조사상과 회통의 정치이념 = 262
3. 수운의 '시천주' 도덕과 후천개벽사상 = 266
1. 수운의 불연기연적 세계관 = 266
2. 수운의 '시천주' 도덕 = 270
3. 수운의 후천개벽사상 = 279
4.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 285
1. 수운과 원효의 인식론 = 285
2. 수운과 원효의 실천론 = 292
3. 문명의 전환과 존재론적 통일사상 = 297
5. 결론 = 302
동학과 도가사상 : 불연기연의 논리를 중심으로 / 박소정 = 307
1. 시작하는 말: 문제제기 = 307
1. 도가와 도교의 차이 및 동학 관련 연구의 경향 = 307
2. 동학과 도가사상 비교의 필요성: 불연기연의 논리를 중심으로 = 309
2. 노장의 사유방식 = 310
1. 노자의 사유방식 = 311
2. 장자의 사유방식 = 314
3. 불연기연의 논리와 도가적 사유와의 유사성 = 321
1. 불연기연의 다양한 해석가능성 = 321
2. 도가적 사유방식과의 유사성 = 324
4. 불연기연의 독자성 = 326
5. 맺는 말: 앞으로의 과제 = 327
제3부 수운 최제우의 정치ㆍ사회사상 = 329
수운의 민족주의 정치이념 / 임형진 = 331
1. 들어가는 글 = 331
2. 수운 사상의 형성과 전통이념 = 333
3. 동학민족운동과 민족주의 = 339
4. 수운 사상의 민족주의적 성격 = 346
5. 나오는 글 = 357
동학의 무극대도와 통일 / 노태구 = 359
1. 서언 : '동' 개념의 인식 = 359
2. 문명사의 진단 = 362
3. 과정철학을 통해 = 366
1. 신서학에 대해 = 366
2. '영지주의'와 '포함' = 369
3. 지기철학의 의미 = 372
4. 동학의 신관에 대해 = 375
5. 한국의 선맥 = 379
6. 무극대도와 '통'의 논리 = 382
1. 인내천사상의 유래 = 382
2. 초월적 통일론 = 383
3. '통'의 논리로서의 조화 = 387
7. 결론 : 세계일가 건설 = 389
동북아생명공동체와 새 문화의 창조 / 김지하 = 393
1. 인간의 생명에 닥친 위기 = 393
2. 문명의 예감이 동학사상에 = 395
3. 인류공생의 출발, 동북아생명공동체 = 398
4. 인간 안의 우주, 우주 안의 인간 : 새 문명의 테마들 = 404
동학, 생명, 인간 / 문명숙 = 411
1. 서론 = 411
2. 문화적 갈등 속에서의 주체 = 412
3. 인간격 주체 = 414
4. 물과 영적 존재 사이의 주체 = 421
5. 생명주체 = 425
6. 담론적 주체 = 429
7. 인륜적 주체 = 431
8. 결론 = 434
부록 = 439
수운 최제우 관련 연구물 목록 = 441
수록 논문 원게재지 = 457
필진 약력 = 458
'한국의 사상가 10人'을 출간하며 = 5
해제: 수운 최제우에 대한 연구현황 / 오문환 = 15
1. 수운 연구의 경향 = 15
1. 일반적 경향 = 15
2. 문헌 연구 = 19
3. 새로운 도덕과 사상적 배경 = 23
4. 수운의 인간론에 대한 연구 = 28
5. 역사ㆍ정치ㆍ사회사상적 연구 = 32
2. 수운 연구의 연대기별 실태 = 39
1. 해방 이전: 이돈화와 『신인간』 = 40
2. 1950년대: 『한국사상』과 근대화 = 40
3. 1960년대: 연구의 양적 팽창 = 41
4. 1970년대: 한국사상의 꽃으로서 수운사상과 그 정치적 지향성 = 42
5. 1980년대: 연구의 양적 성장과 민주화 = 43
6. 1990년대: 전문 연구서의 간행과 동학학회 출범 = 45
7. 2000년대를 맞으면서 = 47
3. 수운 사상의 연구 과제 = 47
1. 일반적 연구 과제 = 47
2. 구체적 연구 과제: 보편진리와 구체적 현실 = 49
4. 이 책의 짜임 = 54
5. 맺음말 = 57
제1부 수운 최제우의 천관과 인간관 = 59
수운의 도와 덕 : 수심정기, 기화지신, 인내천 / 김승복 = 61
1. 머리말 = 61
2. 수심정기 = 62
1. 마음과 기운의 구분 = 63
2. 마음을 지키는 법 = 64
3. 기운을 바르게 하는 법 = 66
4. 기화지신 = 68
5. 인내천 = 73
6. 맺음말 = 80
수운의 시천주 체험과 동학의 신관 / 김경재 = 81
1. 들어가는 말 = 81
2. '시천주' 체험의 종교현상학적 이해 = 84
1. '내유신령'의 체험으로서의 모심 = 85
2. '외유기화'의 체험으로서의 모심 = 88
3. '각지불이' 체험으로서의 모심 = 90
3. 동학의 신관 = 94
4. '시천주 체험'과 동학 신관의 현대적 의미 = 100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 김용휘 = 103
1. 머리말 = 103
2. '시천주'의 정립 = 104
1. 하늘님 체험 = 106
2. '시천주'의 자각 = 108
3. '모심'(待)의 의미 = 109
3. 지기와 천주 = 112
4. 수운 천주관의 특징 = 116
1. '귀신자오야(鬼神者吾也)' = 116
2. 불택선악 = 122
5. 현대적 의의와 한계 = 126
'시천주' 주문을 통해서 본 수운의 인간관 / 오문환 = 129
1. 머리말 = 129
2. 사람-하느님의 관계: 시정지 = 131
3. 참주체의 발견: '시(侍)' = 136
4. 하느님의 내재화: '정(定)' = 142
5. '신인간'의 탄생: '지(知)' = 147
6. 맺음말 = 152
수운의 「검결」 연구 / 윤석산 = 155
1. 서론 = 155
2. 작품명 및 창작 시기 = 157
3. 「검결」의 수난과 정착 = 161
4. 「검결」, 그리고 칼과 춤의 의미 = 164
5. 「검결」이 지향하는 세계 = 167
6. 결론 = 171
제2부 수운 사상의 비교철학적 이해 = 173
동학과 전통사상 / 신일철 = 175
1. 유불선 종합의 동학적 해석학 = 175
2. 동아시아 전통에 대한 '민학'적 발상전환 = 180
3. 서학의 종말론적 내세관과 구별되는 동학의 역사관 = 184
4. 동학의 유토피아 자유민권사회 = 189
동학과 유학사상 / 박경환 = 193
1. 들어가는 말 = 193
2. 동학의 유학 이해 = 195
3. 동학의 유학사상 수용 = 199
1. 기일원론적 존재론 = 199
2. 천인합일의 사유 = 203
3. 평등적 인간관 = 207
4. 내면적 수양의 강조 = 209
4. 나오는 말 = 211
그리스도교와 천도교의 신관 비교 / 김용해 = 215
1. 들어가는 말 = 215
2. 그리스도교와 천도교의 신관념 = 216
1. 그리스도교의 신: 삼위일체적 하느님 = 216
2. 동학의 신: 한울님(천주)과 본래기(지기) = 227
3. 신ㆍ인간ㆍ자연의 관계에서 바라보는 신관 비교 = 237
1. 인식론적 비교 = 238
2. 존재론적 비교 = 241
3. 우주론적 비교 = 241
4. 나가는 말 = 245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 최민자 = 247
1. 서론 = 247
2.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과 화쟁사상 = 250
1. 『대승기신론소ㆍ별기』ㆍ『금강삼매경론』ㆍ『십문화쟁론』 = 250
2.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 = 252
3. 화쟁의 사상과 그 방법 = 257
4. 일체유심조사상과 회통의 정치이념 = 262
3. 수운의 '시천주' 도덕과 후천개벽사상 = 266
1. 수운의 불연기연적 세계관 = 266
2. 수운의 '시천주' 도덕 = 270
3. 수운의 후천개벽사상 = 279
4.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 285
1. 수운과 원효의 인식론 = 285
2. 수운과 원효의 실천론 = 292
3. 문명의 전환과 존재론적 통일사상 = 297
5. 결론 = 302
동학과 도가사상 : 불연기연의 논리를 중심으로 / 박소정 = 307
1. 시작하는 말: 문제제기 = 307
1. 도가와 도교의 차이 및 동학 관련 연구의 경향 = 307
2. 동학과 도가사상 비교의 필요성: 불연기연의 논리를 중심으로 = 309
2. 노장의 사유방식 = 310
1. 노자의 사유방식 = 311
2. 장자의 사유방식 = 314
3. 불연기연의 논리와 도가적 사유와의 유사성 = 321
1. 불연기연의 다양한 해석가능성 = 321
2. 도가적 사유방식과의 유사성 = 324
4. 불연기연의 독자성 = 326
5. 맺는 말: 앞으로의 과제 = 327
제3부 수운 최제우의 정치ㆍ사회사상 = 329
수운의 민족주의 정치이념 / 임형진 = 331
1. 들어가는 글 = 331
2. 수운 사상의 형성과 전통이념 = 333
3. 동학민족운동과 민족주의 = 339
4. 수운 사상의 민족주의적 성격 = 346
5. 나오는 글 = 357
동학의 무극대도와 통일 / 노태구 = 359
1. 서언 : '동' 개념의 인식 = 359
2. 문명사의 진단 = 362
3. 과정철학을 통해 = 366
1. 신서학에 대해 = 366
2. '영지주의'와 '포함' = 369
3. 지기철학의 의미 = 372
4. 동학의 신관에 대해 = 375
5. 한국의 선맥 = 379
6. 무극대도와 '통'의 논리 = 382
1. 인내천사상의 유래 = 382
2. 초월적 통일론 = 383
3. '통'의 논리로서의 조화 = 387
7. 결론 : 세계일가 건설 = 389
동북아생명공동체와 새 문화의 창조 / 김지하 = 393
1. 인간의 생명에 닥친 위기 = 393
2. 문명의 예감이 동학사상에 = 395
3. 인류공생의 출발, 동북아생명공동체 = 398
4. 인간 안의 우주, 우주 안의 인간 : 새 문명의 테마들 = 404
동학, 생명, 인간 / 문명숙 = 411
1. 서론 = 411
2. 문화적 갈등 속에서의 주체 = 412
3. 인간격 주체 = 414
4. 물과 영적 존재 사이의 주체 = 421
5. 생명주체 = 425
6. 담론적 주체 = 429
7. 인륜적 주체 = 431
8. 결론 = 434
부록 = 439
수운 최제우 관련 연구물 목록 = 441
수록 논문 원게재지 = 457
필진 약력 =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