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특수교육의 발전 과정 / 박원희 = 13
1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성립 = 14
1) 민족사적 입장에서 본 장애인교육 = 14
2) 특수교육 현장 개척자 = 22
3) 통합교육 제도의 발전 과정 = 31
2 미국 초기 정신지체학교의 역할변천 = 37
1) 미국 특수교육의 성립 = 37
2) 미국 정신박약학교의 발전 과정 = 38
3) 20세기 미국의 특수교육 연대별 자료 = 46
제2장 시각장애학생 교육 / 김기창 ; 김영일 = 55
1 사례 = 56
2 정의 = 57
3 원인 = 60
1) 눈의 구조와 기능 = 60
2) 선천적 시각장애의 원인 질환 = 63
3) 굴절 이상 = 65
4 진단ㆍ평가 = 66
1) 선별 = 67
2) 기능시각 평가 = 69
3) 교육결과의 평가 = 71
5 교육 방법 = 72
1) 교수 환경 = 73
2) 교수 자료 = 75
3) 교수 전략 = 78
6 향후 과제와 전망 = 80
제3장 청각장애학생 교육 / 김영욱 = 85
1 개관 = 66
2 정의 및 분류 = 88
3 출현율 = 91
4 청각생리와 원인 = 92
1) 귀의 구조와 기능 = 93
2) 원인 = 97
3) 청각장애의 유형 = 99
5 진단과 평가 = 102
1) 선별 = 102
2) 청력 검사 = 103
6 특성 = 107
1) 언어발달 = 107
2) 지적 능력 = 109
3) 학업 성취 = 110
4) 사회적 적응 = 114
7 교육 = 115
1) 구화법 = 116
2) 수화법 = 123
3) 로체스터법 = 124
4) 종합적 의사소통법 = 125
5)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 125
6) 교육과정 = 126
제4장 의사소통장애학생 교육 / 이은주 = 133
1 정의와 특성 = 135
1) 의사소통, 언어, 말 = 135
2) 의사소통장애 = 136
3) 아동언어장애 = 137
4) 신경언어장애(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 140
5) 조음음운장애 = 141
6) 유창성장애 = 142
7) 음성장애 = 144
8) 신경말장애 = 144
2 원인 = 145
1) 언어장애의 원인 = 145
2)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 145
3) 유창성장애의 원인 = 146
4) 음성장애의 원인 = 146
5) 신경말장애의 원인 = 147
3 진단ㆍ평가 = 147
1) 의뢰 = 148
2) 평가 = 149
3) 진단 = 149
4 교육방법 = 150
1) 언어장애아동의 중재 = 150
2) 조음음운장애의 중재 = 152
3) 유창성장애의 중재 = 153
4) 음성장애의 중재 = 154
5)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한 중재 = 155
5 맺는 말 = 156
제5장 정신지체학생의 이해 / 신현기 = 159
1 정신지체의 정의와 특성 = 161
1) 정신지체: 맥락적 접근 = 161
2) 정신지체 정의의 변천과정 = 165
2 정신지체의 원인과 사정 = 180
1) 선별의 개념 = 180
2) 영아 검진 = 183
3 발생률(incidence)과 출현율(prevalence) = 188
4 정신지체의 학습관련 특성 = 192
1) 인지발달 = 193
2) 학습특성 = 195
3) 적응기술 = 199
4) 동기화 = 200
5) 신체 및 건강상 특성 = 201
6)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배치 = 202
7) 교수적 접근 = 209
제6장 지체장애학생 교육 / 한경근 = 217
1 지체장애의 정의 = 220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 220
2) 한국특수교육학회의 정의 = 220
3) 장애인복지법 = 221
2 지체장애의 유형별 특성 = 222
1) 신경장애 = 222
2) 진행성 질환 = 228
3) 근골격계 질환 = 229
3 진단과 평가 = 232
1) 학습능력 평가 = 234
2) 신체운동능력 평가 = 238
4 교육방법 = 240
1) 교육과정 = 240
2) 지체장애 학생의 지도 = 242
5 특수교사의 역할 = 253
제7장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 / 이숙정 = 257
1 미리보기(Chapter Preview) = 258
2 사례 = 258
3 중도ㆍ중복장애의 정의 = 258
1) 중도ㆍ중복장애 현상의 다양성 = 259
2) 중도ㆍ중복장애 용어에 대한 쟁점 = 260
3) 중도ㆍ중복장애에 대한 생태학적 정의 = 262
4) 중도ㆍ중복장애 원인 = 266
5) 중도ㆍ중복장애 진단평가 = 268
6) 중도ㆍ중복장애 학생 교육방법 = 273
7) 중도ㆍ중복 장애아 교육의 과제와 전망 = 283
제8장 학습장애학생 교육 / 김애화 = 293
1 학습장애 정의 = 296
2 학습장애 하위유형 = 299
1) 현행 문헌 및「미국 특수교육법」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유형 = 299
2)「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유형 = 302
3 학습장애 원인 = 303
1) 뇌구조 = 304
2) 뇌기능 = 305
3) 유전적 요인 = 305
4 진단평가 = 307
1) 불일치 모델 = 307
2) 중재반응 모델 = 308
3) 국내 학습장애 진단 모델 = 309
5 교육방법 = 310
1) 읽기 = 310
2) 수학 = 316
3) 쓰기 = 320
6 향후 과제와 전망 = 327
제9장 정서ㆍ행동장애학생 교육 / 윤미선 = 337
1 정의 = 340
1)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념 = 340
2) 정서ㆍ행동장애의 분류 = 343
3) 정서ㆍ행동장애의 특성 = 346
2 원인과 출현율 = 351
1) 정서ㆍ행동장애의 원인 = 351
2)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 원인 = 353
3) 출현율 = 353
3 진단과 평가 = 355
4 교육 = 357
1) 교육방법 = 357
2) 교육과정 = 359
3) 정서ㆍ행동장애의 통합교육 = 363
4)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별화교육 = 365
5)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유의점 및 상담 = 366
5 향후 과제와 전망 = 367
제10장 자폐범주성장애학생 교육 / 김은경 = 371
1 정의 = 373
2 원인 = 374
1) 신경화학적 요인 = 375
2) 뇌 구조 및 기능적 요인 = 376
3) 유전적 요인 = 376
3 분류 = 377
1) 자폐성 장애 = 377
2) 아스퍼거 장애 = 379
3) 레트 장애 = 380
4) 아동기 붕괴성 장애 = 381
5) 비전형 전반적 발달장애 = 381
4 진단 및 평가 = 382
5 특성 = 383
1) 사회적 상호작용 = 383
2) 의사소통 = 384
3) 흥미 및 활동 = 385
4) 감각 특성 = 386
5) 생각의 원리 = 387
6) 인지적 기능 수행 = 388
7) 정서 = 389
6 교육 방법 = 389
1) 교수 맥락 = 390
2) 응용행동분석 = 391
3) 비연속개별시행훈련 = 392
4) 중심축반응훈련 = 393
5)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 393
6) 우발 교수 = 394
7) 상황이야기 = 394
8) 지역사회중심교수 = 395
7 향후 과제와 전망 = 396
제11장 건강장애학생교육 / 송병호 = 407
1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 409
2 천식 = 415
3 암 = 420
4 심장질환 = 427
5 아동 학대(약물남용)와 무관심(방치) = 432
6 낭포성 섬유증 = 439
7 당뇨병 = 443
8 의료취약/기술적 의존증 = 450
9 겸상적혈구병 = 455
10 간장애 = 459
제12장 장애아동 가족지원 / 이병인 = 471
1 장애 아동 가족 지원의 이해 = 472
1) 가족 지원의 목적과 원리 = 473
2) 가족-전문가 간의 관계 = 475
2 개별화가족지원계획(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IFSP) = 477
1) IFSP 원리 = 477
2) IFSP 과정 = 480
3) IFSP 개발 및 시행을 위한 초 학문적 팀 접근 = 483
3 S 유아특수학교 가족지원프로그램 운영사례 = 486
1) 취지 및 목적 = 486
2) 운영방침 = 487
3) 운영의 실제 = 488
4 우리나라에서의 장애아동 가족지원 방안 = 492
제13장 장애학생의 여가생활 교육과 문화예술생활 교육 / 김송석 ; 양경희 = 499
1 여가생활교육 = 500
1) 장애학생의 여가생활교육의 필요성 = 501
2) 장애학생의 여가생활을 위한 교육과정 = 503
3) 장애학생의 여가생활을 위한 효과적인 여가기술 = 505
4)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구성요소 = 507
5)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유형 = 510
6)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준비 시 유의점 = 513
7)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시 유의점 = 515
8) 향후 과제와 전망 = 515
2 문화예술생활 교육 = 519
1) 핵심개념 = 519
2) 정의 = 519
3) 사례 = 519
4) 문화예술교육의 의의 = 521
5) 문화예술교육 방법 = 525
6) 예술교육과 예술치료 = 537
찾아보기 = 541
제1장 특수교육의 발전 과정 / 박원희 = 13
1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성립 = 14
1) 민족사적 입장에서 본 장애인교육 = 14
2) 특수교육 현장 개척자 = 22
3) 통합교육 제도의 발전 과정 = 31
2 미국 초기 정신지체학교의 역할변천 = 37
1) 미국 특수교육의 성립 = 37
2) 미국 정신박약학교의 발전 과정 = 38
3) 20세기 미국의 특수교육 연대별 자료 = 46
제2장 시각장애학생 교육 / 김기창 ; 김영일 = 55
1 사례 = 56
2 정의 = 57
3 원인 = 60
1) 눈의 구조와 기능 = 60
2) 선천적 시각장애의 원인 질환 = 63
3) 굴절 이상 = 65
4 진단ㆍ평가 = 66
1) 선별 = 67
2) 기능시각 평가 = 69
3) 교육결과의 평가 = 71
5 교육 방법 = 72
1) 교수 환경 = 73
2) 교수 자료 = 75
3) 교수 전략 = 78
6 향후 과제와 전망 = 80
제3장 청각장애학생 교육 / 김영욱 = 85
1 개관 = 66
2 정의 및 분류 = 88
3 출현율 = 91
4 청각생리와 원인 = 92
1) 귀의 구조와 기능 = 93
2) 원인 = 97
3) 청각장애의 유형 = 99
5 진단과 평가 = 102
1) 선별 = 102
2) 청력 검사 = 103
6 특성 = 107
1) 언어발달 = 107
2) 지적 능력 = 109
3) 학업 성취 = 110
4) 사회적 적응 = 114
7 교육 = 115
1) 구화법 = 116
2) 수화법 = 123
3) 로체스터법 = 124
4) 종합적 의사소통법 = 125
5)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 125
6) 교육과정 = 126
제4장 의사소통장애학생 교육 / 이은주 = 133
1 정의와 특성 = 135
1) 의사소통, 언어, 말 = 135
2) 의사소통장애 = 136
3) 아동언어장애 = 137
4) 신경언어장애(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 140
5) 조음음운장애 = 141
6) 유창성장애 = 142
7) 음성장애 = 144
8) 신경말장애 = 144
2 원인 = 145
1) 언어장애의 원인 = 145
2)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 145
3) 유창성장애의 원인 = 146
4) 음성장애의 원인 = 146
5) 신경말장애의 원인 = 147
3 진단ㆍ평가 = 147
1) 의뢰 = 148
2) 평가 = 149
3) 진단 = 149
4 교육방법 = 150
1) 언어장애아동의 중재 = 150
2) 조음음운장애의 중재 = 152
3) 유창성장애의 중재 = 153
4) 음성장애의 중재 = 154
5)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한 중재 = 155
5 맺는 말 = 156
제5장 정신지체학생의 이해 / 신현기 = 159
1 정신지체의 정의와 특성 = 161
1) 정신지체: 맥락적 접근 = 161
2) 정신지체 정의의 변천과정 = 165
2 정신지체의 원인과 사정 = 180
1) 선별의 개념 = 180
2) 영아 검진 = 183
3 발생률(incidence)과 출현율(prevalence) = 188
4 정신지체의 학습관련 특성 = 192
1) 인지발달 = 193
2) 학습특성 = 195
3) 적응기술 = 199
4) 동기화 = 200
5) 신체 및 건강상 특성 = 201
6)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배치 = 202
7) 교수적 접근 = 209
제6장 지체장애학생 교육 / 한경근 = 217
1 지체장애의 정의 = 220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 220
2) 한국특수교육학회의 정의 = 220
3) 장애인복지법 = 221
2 지체장애의 유형별 특성 = 222
1) 신경장애 = 222
2) 진행성 질환 = 228
3) 근골격계 질환 = 229
3 진단과 평가 = 232
1) 학습능력 평가 = 234
2) 신체운동능력 평가 = 238
4 교육방법 = 240
1) 교육과정 = 240
2) 지체장애 학생의 지도 = 242
5 특수교사의 역할 = 253
제7장 중도ㆍ중복장애학생 교육 / 이숙정 = 257
1 미리보기(Chapter Preview) = 258
2 사례 = 258
3 중도ㆍ중복장애의 정의 = 258
1) 중도ㆍ중복장애 현상의 다양성 = 259
2) 중도ㆍ중복장애 용어에 대한 쟁점 = 260
3) 중도ㆍ중복장애에 대한 생태학적 정의 = 262
4) 중도ㆍ중복장애 원인 = 266
5) 중도ㆍ중복장애 진단평가 = 268
6) 중도ㆍ중복장애 학생 교육방법 = 273
7) 중도ㆍ중복 장애아 교육의 과제와 전망 = 283
제8장 학습장애학생 교육 / 김애화 = 293
1 학습장애 정의 = 296
2 학습장애 하위유형 = 299
1) 현행 문헌 및「미국 특수교육법」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유형 = 299
2)「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제안하는 학습장애 하위유형 = 302
3 학습장애 원인 = 303
1) 뇌구조 = 304
2) 뇌기능 = 305
3) 유전적 요인 = 305
4 진단평가 = 307
1) 불일치 모델 = 307
2) 중재반응 모델 = 308
3) 국내 학습장애 진단 모델 = 309
5 교육방법 = 310
1) 읽기 = 310
2) 수학 = 316
3) 쓰기 = 320
6 향후 과제와 전망 = 327
제9장 정서ㆍ행동장애학생 교육 / 윤미선 = 337
1 정의 = 340
1)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념 = 340
2) 정서ㆍ행동장애의 분류 = 343
3) 정서ㆍ행동장애의 특성 = 346
2 원인과 출현율 = 351
1) 정서ㆍ행동장애의 원인 = 351
2)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 원인 = 353
3) 출현율 = 353
3 진단과 평가 = 355
4 교육 = 357
1) 교육방법 = 357
2) 교육과정 = 359
3) 정서ㆍ행동장애의 통합교육 = 363
4)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별화교육 = 365
5)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유의점 및 상담 = 366
5 향후 과제와 전망 = 367
제10장 자폐범주성장애학생 교육 / 김은경 = 371
1 정의 = 373
2 원인 = 374
1) 신경화학적 요인 = 375
2) 뇌 구조 및 기능적 요인 = 376
3) 유전적 요인 = 376
3 분류 = 377
1) 자폐성 장애 = 377
2) 아스퍼거 장애 = 379
3) 레트 장애 = 380
4) 아동기 붕괴성 장애 = 381
5) 비전형 전반적 발달장애 = 381
4 진단 및 평가 = 382
5 특성 = 383
1) 사회적 상호작용 = 383
2) 의사소통 = 384
3) 흥미 및 활동 = 385
4) 감각 특성 = 386
5) 생각의 원리 = 387
6) 인지적 기능 수행 = 388
7) 정서 = 389
6 교육 방법 = 389
1) 교수 맥락 = 390
2) 응용행동분석 = 391
3) 비연속개별시행훈련 = 392
4) 중심축반응훈련 = 393
5)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 393
6) 우발 교수 = 394
7) 상황이야기 = 394
8) 지역사회중심교수 = 395
7 향후 과제와 전망 = 396
제11장 건강장애학생교육 / 송병호 = 407
1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 409
2 천식 = 415
3 암 = 420
4 심장질환 = 427
5 아동 학대(약물남용)와 무관심(방치) = 432
6 낭포성 섬유증 = 439
7 당뇨병 = 443
8 의료취약/기술적 의존증 = 450
9 겸상적혈구병 = 455
10 간장애 = 459
제12장 장애아동 가족지원 / 이병인 = 471
1 장애 아동 가족 지원의 이해 = 472
1) 가족 지원의 목적과 원리 = 473
2) 가족-전문가 간의 관계 = 475
2 개별화가족지원계획(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IFSP) = 477
1) IFSP 원리 = 477
2) IFSP 과정 = 480
3) IFSP 개발 및 시행을 위한 초 학문적 팀 접근 = 483
3 S 유아특수학교 가족지원프로그램 운영사례 = 486
1) 취지 및 목적 = 486
2) 운영방침 = 487
3) 운영의 실제 = 488
4 우리나라에서의 장애아동 가족지원 방안 = 492
제13장 장애학생의 여가생활 교육과 문화예술생활 교육 / 김송석 ; 양경희 = 499
1 여가생활교육 = 500
1) 장애학생의 여가생활교육의 필요성 = 501
2) 장애학생의 여가생활을 위한 교육과정 = 503
3) 장애학생의 여가생활을 위한 효과적인 여가기술 = 505
4)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구성요소 = 507
5)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유형 = 510
6)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준비 시 유의점 = 513
7)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시 유의점 = 515
8) 향후 과제와 전망 = 515
2 문화예술생활 교육 = 519
1) 핵심개념 = 519
2) 정의 = 519
3) 사례 = 519
4) 문화예술교육의 의의 = 521
5) 문화예술교육 방법 = 525
6) 예술교육과 예술치료 = 537
찾아보기 =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