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감사의 글
서장 = 13
제1부 비판적 실재론의 개요
제2장 과학, 실재, 개념 = 35
1. 지식과 지식의 대상 = 37
2. 과학이 존재할 수 있으려면 실재는 어떠해야 하는가? = 40
3. 실험 = 42
4. 실재의 세 영역 = 43
5. 과학의 자동적 대상과 타동적 대상 = 46
6. 실천으로서의 과학 = 51
7. 실천, 의미, 개념, 언어 사이의 관계 = 56
8. 자연과학의 대상과 사회과학의 대상 = 61
9. 사회과학에서 개념화의 조건 = 70
10. 결론 = 75
제3장 개념적 추상화와 인과성 = 77
1. 개념적 추상화 = 78
구조적 분석
2. 인과성 = 95
'원인'
객체 그리고 객체의 구조들, 힘들, 기제들 및 경향들
3. 층화된 세계, 발현적 힘, 기제 = 106
4.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 116
5. 결론 = 123
제2부 방법론적 함의
제4장 일반화, 과학적 추론 그리고 설명적 사회과학을 위한 모델 = 127
1. 일반화 : 두 가지 상이한 의미 = 132
2. 과학적 추론과 사유작용 = 136
연역
귀납
가추
역행 추론
3. 설명적 사회과학을 위한 두 가지 모델 = 179
4. 결론 = 188
제5장 사회과학방법론에서의 이론 = 191
1. 이론과 관찰에 관한 세 가지 종합적 시각 = 193
2. 이론은 무엇인가? = 195
3. 이론적 개념 = 201
4. 이론화와 경험적 연구 : 두 가지 주도적 전통 = 206
5. 중범위 이론 : 경험적 자료의 도움으로 이론을 시험한다 = 207
6. 근거지어진 이론 : 경험적 사실로부터 이론을 만들어낸다 = 215
귀납적 이론 생산
7. 중범위 이론과 근거지어진 이론 : 이 접근들의 한계 = 223
경험주의의 편견
일반이론의 중요성 경시
8. 실제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일반이론 = 232
이론적 논의에 참여하기
9. 경험적 연구에서 일반이론 사용하기 = 238
과학적 문제를 정식화하기
이론을 해석을 위한 틀과 역행 추론에서의 도구로 사용하기
이론의 타당성
10. 결론 = 245
제6장 비판적인 방법론적 다원주의 : 내포적 연구 설계와 외연적 연구 설계 = 248
1. 방법들을 결합하기 = 250
2. 양적 방법 = 256
3. 질적 방법 = 262
4. 내포적 연구 설계와 외연적 연구 설계 = 268
5. 연구 쟁점 = 273
6. 관계와 집단의 유형 : 무엇이 사회현상을 구성하는가? = 276
7. 작업 절차와 표본추출 : 맥락화는 왜 중요한가? = 278
표본추출
8. 몇 가지 방법론적 제약 = 282
9. 결과의 유형 = 287
10. 결론 = 288
제7장 사회과학과 실천 = 290
1. 전제조건 : 행위주체와 구조의 구분 = 292
2. 사회과학과 사회계획 = 299
사례 : 노인과 이주
3. 사회비판으로서의 사회과학 = 315
4. 결론 = 323
결론 = 324
용어풀이 = 337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48
감사의 글
서장 = 13
제1부 비판적 실재론의 개요
제2장 과학, 실재, 개념 = 35
1. 지식과 지식의 대상 = 37
2. 과학이 존재할 수 있으려면 실재는 어떠해야 하는가? = 40
3. 실험 = 42
4. 실재의 세 영역 = 43
5. 과학의 자동적 대상과 타동적 대상 = 46
6. 실천으로서의 과학 = 51
7. 실천, 의미, 개념, 언어 사이의 관계 = 56
8. 자연과학의 대상과 사회과학의 대상 = 61
9. 사회과학에서 개념화의 조건 = 70
10. 결론 = 75
제3장 개념적 추상화와 인과성 = 77
1. 개념적 추상화 = 78
구조적 분석
2. 인과성 = 95
'원인'
객체 그리고 객체의 구조들, 힘들, 기제들 및 경향들
3. 층화된 세계, 발현적 힘, 기제 = 106
4.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 116
5. 결론 = 123
제2부 방법론적 함의
제4장 일반화, 과학적 추론 그리고 설명적 사회과학을 위한 모델 = 127
1. 일반화 : 두 가지 상이한 의미 = 132
2. 과학적 추론과 사유작용 = 136
연역
귀납
가추
역행 추론
3. 설명적 사회과학을 위한 두 가지 모델 = 179
4. 결론 = 188
제5장 사회과학방법론에서의 이론 = 191
1. 이론과 관찰에 관한 세 가지 종합적 시각 = 193
2. 이론은 무엇인가? = 195
3. 이론적 개념 = 201
4. 이론화와 경험적 연구 : 두 가지 주도적 전통 = 206
5. 중범위 이론 : 경험적 자료의 도움으로 이론을 시험한다 = 207
6. 근거지어진 이론 : 경험적 사실로부터 이론을 만들어낸다 = 215
귀납적 이론 생산
7. 중범위 이론과 근거지어진 이론 : 이 접근들의 한계 = 223
경험주의의 편견
일반이론의 중요성 경시
8. 실제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일반이론 = 232
이론적 논의에 참여하기
9. 경험적 연구에서 일반이론 사용하기 = 238
과학적 문제를 정식화하기
이론을 해석을 위한 틀과 역행 추론에서의 도구로 사용하기
이론의 타당성
10. 결론 = 245
제6장 비판적인 방법론적 다원주의 : 내포적 연구 설계와 외연적 연구 설계 = 248
1. 방법들을 결합하기 = 250
2. 양적 방법 = 256
3. 질적 방법 = 262
4. 내포적 연구 설계와 외연적 연구 설계 = 268
5. 연구 쟁점 = 273
6. 관계와 집단의 유형 : 무엇이 사회현상을 구성하는가? = 276
7. 작업 절차와 표본추출 : 맥락화는 왜 중요한가? = 278
표본추출
8. 몇 가지 방법론적 제약 = 282
9. 결과의 유형 = 287
10. 결론 = 288
제7장 사회과학과 실천 = 290
1. 전제조건 : 행위주체와 구조의 구분 = 292
2. 사회과학과 사회계획 = 299
사례 : 노인과 이주
3. 사회비판으로서의 사회과학 = 315
4. 결론 = 323
결론 = 324
용어풀이 = 337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