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立地와 環境 = 3
1. 自然ㆍ地理的 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8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經過 및 遺蹟 現況 = 15
1. 調査 經過 = 15
2. 地點別 遺構의 分布 = 16
가. 가지역 = 17
나. 나지역 = 17
Ⅳ. 가 地域 調査 內容 = 21
1. 靑銅器時代 = 21
1) 性格未詳遺構 = 21
2. 高麗時代 = 23
1) 土壙墓 = 23
3. 朝鮮時代 = 25
1) 建物址 = 25
2) 竪穴住居址 = 30
3) 墳墓 = 55
4) 溝狀遺構 = 129
4. 時代未詳遺構 = 135
1) 石槨墓 = 135
2) 溝狀遺構 = 140
3) 燒成遺構 = 141
5. 地表收拾 = 143
Ⅴ. 나 地域 調査 內容 = 147
1. 舊石器時代 文化層 = 147
1) 調査方法 = 147
2) 層位 = 148
3) 出土遺物 = 149
2. 高麗時代 = 150
1) 기와가마 = 150
2) 竪穴遺構 = 177
3) 溝狀遺構 = 222
3. 朝鮮時代 = 230
1) 石灰가마 = 230
2) 溝狀遺構 = 236
4. 時代未詳 = 236
1) 溝狀遺構 = 236
5. 地表收拾 = 237
Ⅵ. 調査成果 = 239
1. 구석기시대 문화층 = 239
2. 고려시대 기와가마와 수혈유구 = 240
3. 조선시대 석회가마 = 244
Ⅶ. 맺음말 = 249
[附錄 1]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 335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 343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수종분석 = 353
國文抄錄 = 361
英文抄錄 = 362
中文抄錄 = 363
日文抄錄 = 364
[附錄 2] 禮山 大東里 장뜸 古墳群 = 367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立地와 環境 = 3
1. 自然ㆍ地理的 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8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經過 및 遺蹟 現況 = 15
1. 調査 經過 = 15
2. 地點別 遺構의 分布 = 16
가. 가지역 = 17
나. 나지역 = 17
Ⅳ. 가 地域 調査 內容 = 21
1. 靑銅器時代 = 21
1) 性格未詳遺構 = 21
2. 高麗時代 = 23
1) 土壙墓 = 23
3. 朝鮮時代 = 25
1) 建物址 = 25
2) 竪穴住居址 = 30
3) 墳墓 = 55
4) 溝狀遺構 = 129
4. 時代未詳遺構 = 135
1) 石槨墓 = 135
2) 溝狀遺構 = 140
3) 燒成遺構 = 141
5. 地表收拾 = 143
Ⅴ. 나 地域 調査 內容 = 147
1. 舊石器時代 文化層 = 147
1) 調査方法 = 147
2) 層位 = 148
3) 出土遺物 = 149
2. 高麗時代 = 150
1) 기와가마 = 150
2) 竪穴遺構 = 177
3) 溝狀遺構 = 222
3. 朝鮮時代 = 230
1) 石灰가마 = 230
2) 溝狀遺構 = 236
4. 時代未詳 = 236
1) 溝狀遺構 = 236
5. 地表收拾 = 237
Ⅵ. 調査成果 = 239
1. 구석기시대 문화층 = 239
2. 고려시대 기와가마와 수혈유구 = 240
3. 조선시대 석회가마 = 244
Ⅶ. 맺음말 = 249
[附錄 1]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 335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 343
아산 용두리 외골 유적의 수종분석 = 353
國文抄錄 = 361
英文抄錄 = 362
中文抄錄 = 363
日文抄錄 = 364
[附錄 2] 禮山 大東里 장뜸 古墳群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