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연구 목적과 방향 = 3
제 2장 후기의병의 배경과 한국군의 강제 해산
제 1절 헤이그특사사건과 고종의 강제 퇴위 = 9
제 2절 정미7조약의 체결과 군대해산 = 16
제 3절 서울 시위대의 항쟁 = 20
제 4절 지방 진위대의 의병 봉기 = 24
제 3장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
제 1절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 = 35
제 2절 13도창의대진소의 활동과 서울진공작전 = 45
제 4장 후기의병의 확산
제 1절 후기의병 항쟁의 전개 = 57
제 2절 강원 · 경기도의 의병항쟁 = 60
1. 허위 의병부대 = 70
2. 민긍호 의병부대 = 75
3. 이은찬의 창의원수부 = 86
제 3절 경상 · 충청도의 의병항쟁 = 94
1. 이강년 의병부대 = 99
2. 신돌석 의병부대 = 107
3. 산남의진 : 정환직-최세윤 의병부대 = 111
1) 정환직의 의병활동 = 111
2) 최세윤의 의병활동 = 114
4. 한봉수 의병부대 = 116
5. 당진의병 = 119
6. 기타 의병부대들 = 122
1) 서병희 의병부대 = 122
2) 유시연 의병부대 = 124
3) 박처사 의병부대 = 125
제 4절 서북지역의 의병항쟁 = 126
1. 홍범도 의병부대 = 129
1) 홍범도의 생애 = 129
2) 산포수의병의 결성과 활동 = 134
2. 경성의병 = 138
1) 경성지역 의병의 조직 = 138
2) 대한협회 경성지부 및 연해주 의병과의 연합전선 = 143
3) 의병활동의 전개와 북상도강 = 146
3. 채응언 의병부대 = 150
1) 채응언의 생애 = 150
2) 채응언의 의병활동 = 152
3) 채응언의 옥중투쟁 = 162
4. 평산의병 = 165
제 5절 전라도의 의병항쟁 = 172
1. 호남창의회맹소 = 175
1) 기삼연과 호남창의회맹소의 결성 = 175
2) 호남창의회매소의 활동 = 178
2. 이석용 의병부대 = 184
3. 김동신 의병부대 = 188
4. 고광순 의병부대 = 196
5. 김태원 김율 형제 의병부대 = 202
6. 심남일 의병부대 = 210
7. 전해산 의병부대 = 216
8. 안규홍 의병부대 = 221
9. 문태서 의병부대 = 230
10. 의병부대 = 235
1) 오성술 의병부대 = 235
2) 조경환 의병부대 = 236
3) 김원국 · 김원범 형제 의병부대 = 237
4) 양진여 · 양상기 부자 의병부대 = 238
5) 황병학 의병부대 = 240
6) 강진원 의병부대 = 243
7) 이대극 의병부대 = 245
8) 기타 의병부대들 = 246
제 5장 일제의 의병대책과 남한폭도대토벌작전
제 1절 정부 및 일제의 의병탄압 = 251
1. 정부의 대응 = 251
2. 일제의 강온책 = 259
제 2절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의 전개와 결과 = 269
제 6장 후기의병의 역사적 의의 = 281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299
제 2장 후기의병의 배경과 한국군의 강제 해산
제 1절 헤이그특사사건과 고종의 강제 퇴위 = 9
제 2절 정미7조약의 체결과 군대해산 = 16
제 3절 서울 시위대의 항쟁 = 20
제 4절 지방 진위대의 의병 봉기 = 24
제 3장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과 서울진공작전
제 1절 13도창의대진소의 결성 = 35
제 2절 13도창의대진소의 활동과 서울진공작전 = 45
제 4장 후기의병의 확산
제 1절 후기의병 항쟁의 전개 = 57
제 2절 강원 · 경기도의 의병항쟁 = 60
1. 허위 의병부대 = 70
2. 민긍호 의병부대 = 75
3. 이은찬의 창의원수부 = 86
제 3절 경상 · 충청도의 의병항쟁 = 94
1. 이강년 의병부대 = 99
2. 신돌석 의병부대 = 107
3. 산남의진 : 정환직-최세윤 의병부대 = 111
1) 정환직의 의병활동 = 111
2) 최세윤의 의병활동 = 114
4. 한봉수 의병부대 = 116
5. 당진의병 = 119
6. 기타 의병부대들 = 122
1) 서병희 의병부대 = 122
2) 유시연 의병부대 = 124
3) 박처사 의병부대 = 125
제 4절 서북지역의 의병항쟁 = 126
1. 홍범도 의병부대 = 129
1) 홍범도의 생애 = 129
2) 산포수의병의 결성과 활동 = 134
2. 경성의병 = 138
1) 경성지역 의병의 조직 = 138
2) 대한협회 경성지부 및 연해주 의병과의 연합전선 = 143
3) 의병활동의 전개와 북상도강 = 146
3. 채응언 의병부대 = 150
1) 채응언의 생애 = 150
2) 채응언의 의병활동 = 152
3) 채응언의 옥중투쟁 = 162
4. 평산의병 = 165
제 5절 전라도의 의병항쟁 = 172
1. 호남창의회맹소 = 175
1) 기삼연과 호남창의회맹소의 결성 = 175
2) 호남창의회매소의 활동 = 178
2. 이석용 의병부대 = 184
3. 김동신 의병부대 = 188
4. 고광순 의병부대 = 196
5. 김태원 김율 형제 의병부대 = 202
6. 심남일 의병부대 = 210
7. 전해산 의병부대 = 216
8. 안규홍 의병부대 = 221
9. 문태서 의병부대 = 230
10. 의병부대 = 235
1) 오성술 의병부대 = 235
2) 조경환 의병부대 = 236
3) 김원국 · 김원범 형제 의병부대 = 237
4) 양진여 · 양상기 부자 의병부대 = 238
5) 황병학 의병부대 = 240
6) 강진원 의병부대 = 243
7) 이대극 의병부대 = 245
8) 기타 의병부대들 = 246
제 5장 일제의 의병대책과 남한폭도대토벌작전
제 1절 정부 및 일제의 의병탄압 = 251
1. 정부의 대응 = 251
2. 일제의 강온책 = 259
제 2절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의 전개와 결과 = 269
제 6장 후기의병의 역사적 의의 = 281
참고문헌 = 291
찾아보기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