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중기의병의 시대적 배경과 전국적 개황
제 1절 을사조약 늑결과 조약 반대투쟁 = 3
1. 일제의 러일전쟁 도발과 국권침탈 = 3
2. 을사조약의 늑결 = 8
3. 을사조약 반대투쟁의 전개 = 12
제 2절 중기의병 개황 = 23
1. 전기의병 해산 이후 의병 동향 = 23
2. 전국 의병 개황 = 27
1) 중부지방 = 27
2) 호남지방 = 29
3) 영남지방 = 33
4) 북부지방 = 36
제 2장 영동지방의 원용팔 의병
제 1절 원용팔 의병의 재기 = 41
제 2절 원용팔 의병의 활동 = 44
제 3절 원용팔 의병의 해산과 그 영향 = 48
제 3장 호서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홍주의병 = 55
1. 홍주의벼의 결성과 합천전투 = 55
2. 홍주의병의 재봉기 = 60
1) 홍주성 점령 = 60
2) 홍주성 공방전 = 67
3) 일본군의 홍주의병 대탄압 = 71
3. 홍주의병의 재기항전 시도 = 77
제 2절 노응규의 황간의병 = 85
제 3절 이강년 의병 = 91
1. 이강년의 재기노력 = 91
2. 이강년 의병의 재기활동 = 95
제 4장 호남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최익현의 태인의병 = 101
1. 최익현의 의진 결성 = 101
2. 태인의병의 활동 = 115
3. 태인의병의 해산 = 123
4. 후기의병에 끼친 영향 = 128
제 2절 능주의 쌍산의소 = 132
1. 쌍산의소의 결성 = 132
2. 쌍산의소의 활동 = 137
제 3절 고광순 의병 = 141
제 4절 백낙구의 광양의병 = 146
제 5절 양한규의 남원의병 = 152
제 5장 영남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산남의진 = 157
1. 산남의진의 편성 = 157
2. 산남의진의 활동 = 164
1) 산남의진의 초기 활동 = 164
2) 산남의진의 재건 = 168
3) 재건 산남의진의 활동 = 172
제 2절 신돌석 의병 = 180
1. 신돌석의 가계와 신분 = 180
2. 의진 결성 = 184
3. 신돌석 의병의 신분층 = 187
4. 신돌석 의병의 항일전 = 190
제 3절 유시연 의병 = 201
제 4절 김도현 의병 = 205
제 5절 울진 · 삼척 의병 = 210
제 6장 서북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전덕원 의병 = 215
제 2절 우동선 의병 = 218
제 7장 대마도 유폐의병
제 1절 의병의 대마도 피수과정 = 223
1. 일제의 의병 유폐계획 수립 = 223
2. 의병의 유폐과정 = 229
제 2절 일제의 유폐의병 감시 = 235
1. 유폐시설 = 235
2. 일제의 유폐의병 감시 = 247
제 3절 유폐의병의 일상 = 252
1. '감금소' 일상 = 252
2. 유폐의병과 접촉한 일본인 = 262
제 4절 유폐의병의 석방 = 273
1. 최익현의 유해 환국 = 273
2. 임병찬과 안항식의 석방 = 276
3. 신보균의 석방 = 278
4. 문석환 · 남규진 · 신현두 · 최상집의 석방 = 279
5. 유준근 · 이상두 · 이식의 석방 = 281
제 8장 중기의병의 역사적 의의 = 285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297
제 1절 을사조약 늑결과 조약 반대투쟁 = 3
1. 일제의 러일전쟁 도발과 국권침탈 = 3
2. 을사조약의 늑결 = 8
3. 을사조약 반대투쟁의 전개 = 12
제 2절 중기의병 개황 = 23
1. 전기의병 해산 이후 의병 동향 = 23
2. 전국 의병 개황 = 27
1) 중부지방 = 27
2) 호남지방 = 29
3) 영남지방 = 33
4) 북부지방 = 36
제 2장 영동지방의 원용팔 의병
제 1절 원용팔 의병의 재기 = 41
제 2절 원용팔 의병의 활동 = 44
제 3절 원용팔 의병의 해산과 그 영향 = 48
제 3장 호서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홍주의병 = 55
1. 홍주의벼의 결성과 합천전투 = 55
2. 홍주의병의 재봉기 = 60
1) 홍주성 점령 = 60
2) 홍주성 공방전 = 67
3) 일본군의 홍주의병 대탄압 = 71
3. 홍주의병의 재기항전 시도 = 77
제 2절 노응규의 황간의병 = 85
제 3절 이강년 의병 = 91
1. 이강년의 재기노력 = 91
2. 이강년 의병의 재기활동 = 95
제 4장 호남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최익현의 태인의병 = 101
1. 최익현의 의진 결성 = 101
2. 태인의병의 활동 = 115
3. 태인의병의 해산 = 123
4. 후기의병에 끼친 영향 = 128
제 2절 능주의 쌍산의소 = 132
1. 쌍산의소의 결성 = 132
2. 쌍산의소의 활동 = 137
제 3절 고광순 의병 = 141
제 4절 백낙구의 광양의병 = 146
제 5절 양한규의 남원의병 = 152
제 5장 영남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산남의진 = 157
1. 산남의진의 편성 = 157
2. 산남의진의 활동 = 164
1) 산남의진의 초기 활동 = 164
2) 산남의진의 재건 = 168
3) 재건 산남의진의 활동 = 172
제 2절 신돌석 의병 = 180
1. 신돌석의 가계와 신분 = 180
2. 의진 결성 = 184
3. 신돌석 의병의 신분층 = 187
4. 신돌석 의병의 항일전 = 190
제 3절 유시연 의병 = 201
제 4절 김도현 의병 = 205
제 5절 울진 · 삼척 의병 = 210
제 6장 서북지방의 중기의병
제 1절 전덕원 의병 = 215
제 2절 우동선 의병 = 218
제 7장 대마도 유폐의병
제 1절 의병의 대마도 피수과정 = 223
1. 일제의 의병 유폐계획 수립 = 223
2. 의병의 유폐과정 = 229
제 2절 일제의 유폐의병 감시 = 235
1. 유폐시설 = 235
2. 일제의 유폐의병 감시 = 247
제 3절 유폐의병의 일상 = 252
1. '감금소' 일상 = 252
2. 유폐의병과 접촉한 일본인 = 262
제 4절 유폐의병의 석방 = 273
1. 최익현의 유해 환국 = 273
2. 임병찬과 안항식의 석방 = 276
3. 신보균의 석방 = 278
4. 문석환 · 남규진 · 신현두 · 최상집의 석방 = 279
5. 유준근 · 이상두 · 이식의 석방 = 281
제 8장 중기의병의 역사적 의의 = 285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