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장애아교육학의 기초
제1장 장애아교육학의 개관
1. 장애아교육학의 개념 = 27
2. 장애의 개념 = 36
3. 장애아교육의 목적과 의의 = 42
1) 인도주의(윤리)적 측면 = 43
2) 법률적인 측면 = 47
3) 사회 복지적(사회 연대적) 측면 = 49
4) 예방 교육적 측면 = 50
5) 사회 공리주의(Social Utilitarianism)적 측면 = 52
4. 장애의 발생원인과 예방 = 53
1) 장애의 발생원인 = 53
2) 장애의 예방 = 66
5. 장애아교육기관(환경)의 유형 = 68
1) 장애 영ㆍ유아 조기교육기관 = 69
2) 일반학급 = 69
3) 자문교사 = 70
4) 순회교육 = 70
5) 학습 도움실(Resource Room) = 71
6) 장애아학교 = 72
7) 장애아학급 = 73
8) 기숙제 시설 = 73
9) 병원(학교)교육 = 74
10) 가정교육 = 74
6. 장애아(인) 관련 통계적 현황 = 75
1) 일반적 현황 = 75
2) 장애아교육 관련 통계 현황 = 79
7. 통합교육 = 82
1) 통합교육의 정의 = 83
2)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 84
3) 통합교육의 목적 및 가치 = 90
4) 통합교육의 효과 = 92
5) 통합교육의 조건 = 93
제2장 장애아교육학 역사
1. 서양의 장애아교육의 성립과 전개 = 100
1) 고대시대(B.C. 1550∼A.D. 476): 멸절의 시대 = 100
2) 중세 기독교의 보급과 발전기(A.D. 560 ∼A.D. 1500년경): 자선과 보호의 시대 = 104
3) 근대 사상의 태동과 장애아교육의 시도(A.D. 1450∼19세기 말경): 장애아교육(분리교육)의 시대 = 106
4) 20세기의 장애아교육(20세기 이후): 독일 나치정권과 통합교육 시대의 도래 = 113
2. 한국의 장애아교육의 성립과 전개 = 132
1) 개화기 이전의 장애아교육 = 132
2) 근대적 의미의 장애아교육의 성립 = 132
3) 일제시대의 구빈 보호적 성격의 장애아교육 = 137
4) 해방 후 장애아교육제도의 정비와 사립 장애아학교 설립 = 138
5) 공적 책임의 확대기 = 139
제Ⅱ부 장애영역별 이해와 교육
제3장 시각장애아교육 = 145
1. 시각장애아교육의 역사 = 145
2. 시각장애(아)의 개념 = 150
3. 시각장애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155
1) 고도근시(高度近視) = 157
2) 선천성 백내장 = 158
3) 소안구증 = 159
4) 당뇨성 망막증 = 150
5) 미숙아 망막증(未熟兒網膜症, Retinopathy of Prematurity) = 159
6) 선천성 녹내장(우안, 牛眼) = 160
7) 황반변성 = 161
8)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 162
9) 시신경위축(視神經葦縮, Optic Atrophy) = 163
4. 시각장애아의 진단 및 판별 = 167
5.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 169
1) 지적 특성 = 169
2) 신체 및 운동능력 = 171
3) 사회ㆍ정서적 특성 = 171
4) 언어적 특성 = 173
6. 시각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174
1) 교수 - 학습의 원리 = 174
2) 교수 - 학습 환경 = 175
3) 점자교육 = 176
4) 묵자(墨字)교육 = 177
5) 보행교육 = 177
6) 일상생활훈련 = 180
7) 교수-학습 보조매체의 이용 = 180
8)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 181
제4장 청각장애아교육
1. 청각장애아교육의 역사 = 185
2. 청각장애아의 개념 = 188
3. 청각장애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192
4. 청각장애아동의 진단 및 판별 = 194
5.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 197
1) 언더발달 = 198
2) 인지능력 = 200
3) 학업(학력)성취도 = 201
4) 성격 = 202
5) 사회ㆍ정서적 발달 = 202
6. 청각장애아동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03
1) 의사소통법 = 204
2)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 207
제5장 정신지체아교육
1. 정신지체아교육의 역사 = 211
2. 정신지체아의 개념 및 분류 = 214
1) 정신지체의 개념 = 214
2) 정신지체의 분류 = 218
3. 정신지체아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221
4. 정신지체의 진단 및 판별 = 223
1) 지능검사 = 224
2) 사회성숙도검사 = 227
3) 적응행동검사 = 227
4) 기초학습기능검사 = 228
5) 운동능력검사 = 229
5. 정신지체아의 튿성 = 229
1) 신체 및 운동발달 = 229
2) 지적 기능 = 230
3) 적응행동 = 231
4) 언어영역 = 231
6. 정신지체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32
1) 장애 정도에 따른 교육적 서비스 = 232
2) 연령단계에 따른 교육적 서비스 = 239
3) 정신지체아 통합교육 = 240
제6장 지체장애아 교육
1. 지체장애아교육의 역사 = 247
2. 지체장애아의 개념 = 252
3. 지체장애의 분류, 원인 및 출현율 = 255
1) 분류 및 원인 = 256
2) 출현율 = 271
4. 지체장애의 진단 및 평가 = 272
5. 지체장애아의 특성 = 274
1) 지적 특성 = 274
2) 지각특성 = 275
3) 정서 및 행동의 특성 = 276
4) 언어적 특성 = 277
6. 지체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78
1) 지체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 278
2) 치료적 중재 = 282
3) 장애아교육공학적 지원 = 283
4) 교육설비 = 284
5) 지체장애아 통합교육 = 285
제7장 의사소통장애아교육
1. 의사소통장애아교육의 역사 = 289
2.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 294
3. 의사소통장애의 유형, 원인 및 출현율 = 296
1) 유형 및 원인 = 298
2) 출현율 = 304
4. 의사소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05
5. 의사소통장애아의 특성 = 308
1) 신체ㆍ감각적 특성 = 309
2) 지적 및 학업성취도 = 309
3) 사회ㆍ정서적 특성 = 310
6. 의사소통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10
1) 장애유형별 지도 원리 = 311
2) 의사소통장애아의 통합교육 = 313
제8장 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
1. 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의 역사 = 317
2.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념 = 323
3. 정서ㆍ행동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327
1) 발생원인 = 327
2) 출현율 = 333
4. 정서ㆍ행동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34
5. 정서ㆍ행동장애아의 특성 = 335
1) 정서적 측면에서의 장애 = 337
2) 행동적 측면에서의 장애 = 344
6. 정서ㆍ행동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48
1) 교육적 서비스 = 348
2) 통합교육 = 366
제9장 자폐성 장애아교육
1. 자폐성 장애아교육의 역사 = 372
2. 자폐성장애의 개념 = 376
3. 자폐성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381
4. 자폐성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84
5. 자폐성장애의 특성 = 387
1) 대인관계 및 사회적 행동 = 387
2) 지각(知覺) 행동 = 388
3) 언어적 발달 = 389
4) 다양한 문제행동 = 390
6. 자폐성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91
1) 교육적 서비스 = 391
2) 통합교육 = 394
제10장 학습장애아교육
1. 학습장애아교육의 역사 = 399
2. 학습장애의 개념 = 403
3. 학습장애의 발생원인 = 407
1) 사회적 측면 = 408
2) 교육적 환경요인 = 408
3) 생물학적 측면 = 409
4.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09
5. 학습장애아의 특성 = 411
1) 학업상의 특성 = 413
2) 의사소통적 특성 = 414
3) 지각적(知覺的) 특성 = 414
4) 운동장애 = 415
5) 사회ㆍ정서적 특성 = 415
6) 인지(Cognition), 초인지(Metacognition) 및 기억의 결함 = 416
7) 주의집중(ADD) 혹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적(ADHD) 특성 = 417
6. 학습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17
1) 의학적 측면 = 418
2) 교육적 측면 = 419
제11장 영재아교육
1. 영재아교육의 역사 = 428
2. 영재아의 개념 = 430
3. 영재아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433
4. 영재아의 진단 및 평가 = 434
5. 영재아의 특성 = 435
6. 영재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37
1) 교육적 중재 = 437
2) 영재아의 통합교육 = 438
제12장 중도ㆍ중복장애아교육
1. 중도ㆍ중복장애아교육의 역사 = 444
2. 중도ㆍ중복장애의 개념 = 445
3. 중도ㆍ중복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447
4. 중도ㆍ중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49
5. 중도ㆍ중복장애의 특성 = 450
6. 중도ㆍ중복장애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52
1) 교육목표 = 453
2) 교육내용 = 454
3) 교수방법 = 456
4) 통합교육 = 458
제13장 건강장애아교육
1. 건강장애아교육의 역사 = 463
2. 건강장애의 개념 = 467
3. 건강장애의 발생원인 및 특성 = 469
1) 소아암 = 470
2) 신장장애 = 471
3) 소아천식 = 472
4) 소아당뇨 = 473
5) 심장장애 = 476
4. 건강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77
5. 건강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78
1) 교육적 서비스 = 479
2) 통합교육 = 483
제Ⅲ부 장애아교육의 주요과제 및 전망
제14장 장애 영ㆍ유아 조기교육
1. 조기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493
2. 장애 영ㆍ유아 진단 및 평가 = 495
3. 조기교육의 방법 및 유형 = 496
제15장 장애아 부모상담 및 교육
1. 장애아 부모의 심리적 반응단계 = 503
1) 충격 = 506
2) 거부와 분노 = 506
3) 죄책감과 죄의식 = 506
4) 수용 및 적응 = 507
2. 장애아 부모상담 및 교육 = 507
1) 부모상담 및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 507
2) 부모상담 및 교육의 내용 = 508
3) 부모상담 및 교육의 방법 = 508
제16장 장애아 진로 및 직업교육
1. 진로 및 직업교육의 의미 = 512
2. 진로 및 직업교육과정의 실제 = 514
1)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필요성 = 515
2) 진로 및 직업교육의 네 단계 = 516
3) 진로 및 직업교육과정 = 518
4) 진로 및 직업교육의 내용 = 519
5) 진로 및 직업교육의 세 가지 모형 = 521
3. 직업교육의 전망과 과제 = 522
제17장 개별화교육계획(IEP)
1.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념 = 528
2.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과정 = 529
1)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안절차 = 529
2)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 = 533
3. 개별화교육계획의 과제 = 535
제18장 장애아교육과 공학
1. 장애아교육에서 공학의 의미 = 540
2. 장애아교육공학의 분류 = 541
3. 장애아교육공학의 과제와 전망 = 542
제19장 장애아의 여가교육
1. 여가 및 여가교육의 정의 = 546
2. 장애아와 여가교육의 의미 = 547
1) 장애아동의 여가의 의미 = 547
2) 장애아동의 여가생활의 실체와 문제점 = 550
3. 장애아의 여가교육의 과제와 전망 = 553
제20장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과제
1. 사회적 태도의 개념 = 561
1) 태도의 개념 정의 = 561
2) 태도의 기본 3요소 = 563
3) 태도 이론 = 565
4) 태도와 행동의 관계 = 568
2.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관계 형성 = 569
1) 태도의 기본 3요소 간의 상호작용론 = 569
2)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일반성 및 가변성 = 571
3.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개선과제 = 578
1) 비장애인들의 태도 개선 전략 = 578
2) 태도 개선을 위한 대학기관의 과제 = 591
참고문헌 = 599
찾아보기 = 633
제Ⅰ부 장애아교육학의 기초
제1장 장애아교육학의 개관
1. 장애아교육학의 개념 = 27
2. 장애의 개념 = 36
3. 장애아교육의 목적과 의의 = 42
1) 인도주의(윤리)적 측면 = 43
2) 법률적인 측면 = 47
3) 사회 복지적(사회 연대적) 측면 = 49
4) 예방 교육적 측면 = 50
5) 사회 공리주의(Social Utilitarianism)적 측면 = 52
4. 장애의 발생원인과 예방 = 53
1) 장애의 발생원인 = 53
2) 장애의 예방 = 66
5. 장애아교육기관(환경)의 유형 = 68
1) 장애 영ㆍ유아 조기교육기관 = 69
2) 일반학급 = 69
3) 자문교사 = 70
4) 순회교육 = 70
5) 학습 도움실(Resource Room) = 71
6) 장애아학교 = 72
7) 장애아학급 = 73
8) 기숙제 시설 = 73
9) 병원(학교)교육 = 74
10) 가정교육 = 74
6. 장애아(인) 관련 통계적 현황 = 75
1) 일반적 현황 = 75
2) 장애아교육 관련 통계 현황 = 79
7. 통합교육 = 82
1) 통합교육의 정의 = 83
2)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 84
3) 통합교육의 목적 및 가치 = 90
4) 통합교육의 효과 = 92
5) 통합교육의 조건 = 93
제2장 장애아교육학 역사
1. 서양의 장애아교육의 성립과 전개 = 100
1) 고대시대(B.C. 1550∼A.D. 476): 멸절의 시대 = 100
2) 중세 기독교의 보급과 발전기(A.D. 560 ∼A.D. 1500년경): 자선과 보호의 시대 = 104
3) 근대 사상의 태동과 장애아교육의 시도(A.D. 1450∼19세기 말경): 장애아교육(분리교육)의 시대 = 106
4) 20세기의 장애아교육(20세기 이후): 독일 나치정권과 통합교육 시대의 도래 = 113
2. 한국의 장애아교육의 성립과 전개 = 132
1) 개화기 이전의 장애아교육 = 132
2) 근대적 의미의 장애아교육의 성립 = 132
3) 일제시대의 구빈 보호적 성격의 장애아교육 = 137
4) 해방 후 장애아교육제도의 정비와 사립 장애아학교 설립 = 138
5) 공적 책임의 확대기 = 139
제Ⅱ부 장애영역별 이해와 교육
제3장 시각장애아교육 = 145
1. 시각장애아교육의 역사 = 145
2. 시각장애(아)의 개념 = 150
3. 시각장애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155
1) 고도근시(高度近視) = 157
2) 선천성 백내장 = 158
3) 소안구증 = 159
4) 당뇨성 망막증 = 150
5) 미숙아 망막증(未熟兒網膜症, Retinopathy of Prematurity) = 159
6) 선천성 녹내장(우안, 牛眼) = 160
7) 황반변성 = 161
8)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 162
9) 시신경위축(視神經葦縮, Optic Atrophy) = 163
4. 시각장애아의 진단 및 판별 = 167
5.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 169
1) 지적 특성 = 169
2) 신체 및 운동능력 = 171
3) 사회ㆍ정서적 특성 = 171
4) 언어적 특성 = 173
6. 시각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174
1) 교수 - 학습의 원리 = 174
2) 교수 - 학습 환경 = 175
3) 점자교육 = 176
4) 묵자(墨字)교육 = 177
5) 보행교육 = 177
6) 일상생활훈련 = 180
7) 교수-학습 보조매체의 이용 = 180
8)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 181
제4장 청각장애아교육
1. 청각장애아교육의 역사 = 185
2. 청각장애아의 개념 = 188
3. 청각장애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192
4. 청각장애아동의 진단 및 판별 = 194
5.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 197
1) 언더발달 = 198
2) 인지능력 = 200
3) 학업(학력)성취도 = 201
4) 성격 = 202
5) 사회ㆍ정서적 발달 = 202
6. 청각장애아동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03
1) 의사소통법 = 204
2) 청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 = 207
제5장 정신지체아교육
1. 정신지체아교육의 역사 = 211
2. 정신지체아의 개념 및 분류 = 214
1) 정신지체의 개념 = 214
2) 정신지체의 분류 = 218
3. 정신지체아의 원인질환 및 출현율 = 221
4. 정신지체의 진단 및 판별 = 223
1) 지능검사 = 224
2) 사회성숙도검사 = 227
3) 적응행동검사 = 227
4) 기초학습기능검사 = 228
5) 운동능력검사 = 229
5. 정신지체아의 튿성 = 229
1) 신체 및 운동발달 = 229
2) 지적 기능 = 230
3) 적응행동 = 231
4) 언어영역 = 231
6. 정신지체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32
1) 장애 정도에 따른 교육적 서비스 = 232
2) 연령단계에 따른 교육적 서비스 = 239
3) 정신지체아 통합교육 = 240
제6장 지체장애아 교육
1. 지체장애아교육의 역사 = 247
2. 지체장애아의 개념 = 252
3. 지체장애의 분류, 원인 및 출현율 = 255
1) 분류 및 원인 = 256
2) 출현율 = 271
4. 지체장애의 진단 및 평가 = 272
5. 지체장애아의 특성 = 274
1) 지적 특성 = 274
2) 지각특성 = 275
3) 정서 및 행동의 특성 = 276
4) 언어적 특성 = 277
6. 지체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278
1) 지체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 278
2) 치료적 중재 = 282
3) 장애아교육공학적 지원 = 283
4) 교육설비 = 284
5) 지체장애아 통합교육 = 285
제7장 의사소통장애아교육
1. 의사소통장애아교육의 역사 = 289
2.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 294
3. 의사소통장애의 유형, 원인 및 출현율 = 296
1) 유형 및 원인 = 298
2) 출현율 = 304
4. 의사소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05
5. 의사소통장애아의 특성 = 308
1) 신체ㆍ감각적 특성 = 309
2) 지적 및 학업성취도 = 309
3) 사회ㆍ정서적 특성 = 310
6. 의사소통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10
1) 장애유형별 지도 원리 = 311
2) 의사소통장애아의 통합교육 = 313
제8장 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
1. 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의 역사 = 317
2. 정서ㆍ행동장애의 개념 = 323
3. 정서ㆍ행동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327
1) 발생원인 = 327
2) 출현율 = 333
4. 정서ㆍ행동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34
5. 정서ㆍ행동장애아의 특성 = 335
1) 정서적 측면에서의 장애 = 337
2) 행동적 측면에서의 장애 = 344
6. 정서ㆍ행동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48
1) 교육적 서비스 = 348
2) 통합교육 = 366
제9장 자폐성 장애아교육
1. 자폐성 장애아교육의 역사 = 372
2. 자폐성장애의 개념 = 376
3. 자폐성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381
4. 자폐성장애의 진단 및 평가 = 384
5. 자폐성장애의 특성 = 387
1) 대인관계 및 사회적 행동 = 387
2) 지각(知覺) 행동 = 388
3) 언어적 발달 = 389
4) 다양한 문제행동 = 390
6. 자폐성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391
1) 교육적 서비스 = 391
2) 통합교육 = 394
제10장 학습장애아교육
1. 학습장애아교육의 역사 = 399
2. 학습장애의 개념 = 403
3. 학습장애의 발생원인 = 407
1) 사회적 측면 = 408
2) 교육적 환경요인 = 408
3) 생물학적 측면 = 409
4.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09
5. 학습장애아의 특성 = 411
1) 학업상의 특성 = 413
2) 의사소통적 특성 = 414
3) 지각적(知覺的) 특성 = 414
4) 운동장애 = 415
5) 사회ㆍ정서적 특성 = 415
6) 인지(Cognition), 초인지(Metacognition) 및 기억의 결함 = 416
7) 주의집중(ADD) 혹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적(ADHD) 특성 = 417
6. 학습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17
1) 의학적 측면 = 418
2) 교육적 측면 = 419
제11장 영재아교육
1. 영재아교육의 역사 = 428
2. 영재아의 개념 = 430
3. 영재아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433
4. 영재아의 진단 및 평가 = 434
5. 영재아의 특성 = 435
6. 영재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37
1) 교육적 중재 = 437
2) 영재아의 통합교육 = 438
제12장 중도ㆍ중복장애아교육
1. 중도ㆍ중복장애아교육의 역사 = 444
2. 중도ㆍ중복장애의 개념 = 445
3. 중도ㆍ중복장애의 발생원인 및 출현율 = 447
4. 중도ㆍ중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49
5. 중도ㆍ중복장애의 특성 = 450
6. 중도ㆍ중복장애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52
1) 교육목표 = 453
2) 교육내용 = 454
3) 교수방법 = 456
4) 통합교육 = 458
제13장 건강장애아교육
1. 건강장애아교육의 역사 = 463
2. 건강장애의 개념 = 467
3. 건강장애의 발생원인 및 특성 = 469
1) 소아암 = 470
2) 신장장애 = 471
3) 소아천식 = 472
4) 소아당뇨 = 473
5) 심장장애 = 476
4. 건강장애의 진단 및 평가 = 477
5. 건강장애아의 교육적 서비스 및 통합교육 = 478
1) 교육적 서비스 = 479
2) 통합교육 = 483
제Ⅲ부 장애아교육의 주요과제 및 전망
제14장 장애 영ㆍ유아 조기교육
1. 조기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493
2. 장애 영ㆍ유아 진단 및 평가 = 495
3. 조기교육의 방법 및 유형 = 496
제15장 장애아 부모상담 및 교육
1. 장애아 부모의 심리적 반응단계 = 503
1) 충격 = 506
2) 거부와 분노 = 506
3) 죄책감과 죄의식 = 506
4) 수용 및 적응 = 507
2. 장애아 부모상담 및 교육 = 507
1) 부모상담 및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 507
2) 부모상담 및 교육의 내용 = 508
3) 부모상담 및 교육의 방법 = 508
제16장 장애아 진로 및 직업교육
1. 진로 및 직업교육의 의미 = 512
2. 진로 및 직업교육과정의 실제 = 514
1)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필요성 = 515
2) 진로 및 직업교육의 네 단계 = 516
3) 진로 및 직업교육과정 = 518
4) 진로 및 직업교육의 내용 = 519
5) 진로 및 직업교육의 세 가지 모형 = 521
3. 직업교육의 전망과 과제 = 522
제17장 개별화교육계획(IEP)
1. 개별화교육계획의 개념 = 528
2.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과정 = 529
1)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안절차 = 529
2) 개별화교육계획의 실행 = 533
3. 개별화교육계획의 과제 = 535
제18장 장애아교육과 공학
1. 장애아교육에서 공학의 의미 = 540
2. 장애아교육공학의 분류 = 541
3. 장애아교육공학의 과제와 전망 = 542
제19장 장애아의 여가교육
1. 여가 및 여가교육의 정의 = 546
2. 장애아와 여가교육의 의미 = 547
1) 장애아동의 여가의 의미 = 547
2) 장애아동의 여가생활의 실체와 문제점 = 550
3. 장애아의 여가교육의 과제와 전망 = 553
제20장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과제
1. 사회적 태도의 개념 = 561
1) 태도의 개념 정의 = 561
2) 태도의 기본 3요소 = 563
3) 태도 이론 = 565
4) 태도와 행동의 관계 = 568
2.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관계 형성 = 569
1) 태도의 기본 3요소 간의 상호작용론 = 569
2)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일반성 및 가변성 = 571
3. 장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개선과제 = 578
1) 비장애인들의 태도 개선 전략 = 578
2) 태도 개선을 위한 대학기관의 과제 = 591
참고문헌 = 599
찾아보기 =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