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10
제1부 만선사
이나바 이와키치의 '만선불가분론' / 사쿠라자와 아이
Ⅰ. 머리말 = 15
Ⅱ. '만선사'의 용례 = 18
1 '만주사'와 '조선사'를 병기한 것 = 19
2 '만선관계사'라는 뜻으로 사용한 것 = 21
3 '만선사' 체계 성립을 주장한 것 = 24
Ⅲ. 이나바 이와키치의 경력과 저술활동 = 25
1 조선사편찬사업 참여 이전 = 25
2 조선사편찬사업 참여기 = 29
3 만주 건국대학 부임 후 = 32
Ⅳ. 이나바 이와키치의 '만선불가분론' = 36
Ⅴ. 맺음말 = 40
미시나 쇼에이의 문화경역 연구와 만선사 인식 / 이정빈
Ⅰ. 머리말 = 45
Ⅱ. 문화경역 연구를 통한 만선사 체계의 부정 = 48
Ⅲ. 문화경역 연구의 목적과 의미 = 58
Ⅳ. 현재주의적 관점에서의 만선사 구상 = 67
Ⅴ. 맺음말 = 73
제2부 동북사와 만주사
1930∼1940년대 중국 지식인의 '동북지역사'인식 - 푸쓰녠과 진위푸를 중심으로 / 강성봉
Ⅰ. 머리말 = 81
Ⅱ. 민족과 영토 개념에서의 '동북' = 86
Ⅲ. 푸쓰녠의 '동북지역사' 인식 = 92
Ⅳ. 진위푸의 '동북지역사' 인식 = 104
Ⅴ. 맺음말 = 116
최남선의 만몽문화론 / 조인성
Ⅰ. 머리말 = 123
Ⅱ. 일ㆍ중의 역사분쟁과「만몽문화」 = 127
Ⅲ. 중국문화에 대한 만몽문화의 독자성 = 131
Ⅳ. 중국문화에 대한 만몽문화의 영향 = 140
Ⅴ. 맺음말 = 150
제3부 고고학적 조사
일본의 고구려ㆍ발해 유적조사에 대한 검토 - 1945년 이전까지 / 양시은
Ⅰ. 머리말 = 157
Ⅱ. 고구려 유적조사 현황 = 160
1 고적조사 이전 시기(1883∼1908) = 161
2 세키노 다다시 조사단에 의한 고적조사(1909∼1915) = 164
3 고적조사위원회에 의한 고적조사(1916∼1930) = 171
4 조선고적연구회 중심의 고적조사(1931∼1945) = 176
5 만주국 성립 이후의 고구려 유적조사(1932∼1945) = 178
Ⅲ. 발해 유적조사 현황 = 182
1 일본 관학자 중심의 기초 조사(1908∼1931) = 182
2 만주국 성립 이후의 유적조사(1932∼1945) = 189
Ⅳ. 맺음말 : 고구려ㆍ발해 유적조사와 제국주의 = 194
찾아보기 = 210
책머리에 = 10
제1부 만선사
이나바 이와키치의 '만선불가분론' / 사쿠라자와 아이
Ⅰ. 머리말 = 15
Ⅱ. '만선사'의 용례 = 18
1 '만주사'와 '조선사'를 병기한 것 = 19
2 '만선관계사'라는 뜻으로 사용한 것 = 21
3 '만선사' 체계 성립을 주장한 것 = 24
Ⅲ. 이나바 이와키치의 경력과 저술활동 = 25
1 조선사편찬사업 참여 이전 = 25
2 조선사편찬사업 참여기 = 29
3 만주 건국대학 부임 후 = 32
Ⅳ. 이나바 이와키치의 '만선불가분론' = 36
Ⅴ. 맺음말 = 40
미시나 쇼에이의 문화경역 연구와 만선사 인식 / 이정빈
Ⅰ. 머리말 = 45
Ⅱ. 문화경역 연구를 통한 만선사 체계의 부정 = 48
Ⅲ. 문화경역 연구의 목적과 의미 = 58
Ⅳ. 현재주의적 관점에서의 만선사 구상 = 67
Ⅴ. 맺음말 = 73
제2부 동북사와 만주사
1930∼1940년대 중국 지식인의 '동북지역사'인식 - 푸쓰녠과 진위푸를 중심으로 / 강성봉
Ⅰ. 머리말 = 81
Ⅱ. 민족과 영토 개념에서의 '동북' = 86
Ⅲ. 푸쓰녠의 '동북지역사' 인식 = 92
Ⅳ. 진위푸의 '동북지역사' 인식 = 104
Ⅴ. 맺음말 = 116
최남선의 만몽문화론 / 조인성
Ⅰ. 머리말 = 123
Ⅱ. 일ㆍ중의 역사분쟁과「만몽문화」 = 127
Ⅲ. 중국문화에 대한 만몽문화의 독자성 = 131
Ⅳ. 중국문화에 대한 만몽문화의 영향 = 140
Ⅴ. 맺음말 = 150
제3부 고고학적 조사
일본의 고구려ㆍ발해 유적조사에 대한 검토 - 1945년 이전까지 / 양시은
Ⅰ. 머리말 = 157
Ⅱ. 고구려 유적조사 현황 = 160
1 고적조사 이전 시기(1883∼1908) = 161
2 세키노 다다시 조사단에 의한 고적조사(1909∼1915) = 164
3 고적조사위원회에 의한 고적조사(1916∼1930) = 171
4 조선고적연구회 중심의 고적조사(1931∼1945) = 176
5 만주국 성립 이후의 고구려 유적조사(1932∼1945) = 178
Ⅲ. 발해 유적조사 현황 = 182
1 일본 관학자 중심의 기초 조사(1908∼1931) = 182
2 만주국 성립 이후의 유적조사(1932∼1945) = 189
Ⅳ. 맺음말 : 고구려ㆍ발해 유적조사와 제국주의 = 194
찾아보기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