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 백살까지 산다는 것 = 5
Ⅰ. 초고령화 사회와 장수인류학의 전망 = 19
1. 문제제기 = 19
2.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장수(長壽) = 23
3. 장수요인의 문화현상 = 29
4. 백수자(百壽者)의 사회복지 = 37
5. 결어: 정치화(政治化), 상업화(商業化), 인권(人權) = 41
Ⅱ. 한국 백세인(百歲人)의 문화적 특성 - 제주도를 중심으로 = 45
1. 서언 = 45
2. 제주도의 장수현황과 그 특징 = 48
3. 백세인의 특징 : 개인, 가족, 사회 = 50
4. 백세인의 비교문화론 = 64
5. 결어 : 건강백세(健康百歲)를 지향하면서 = 70
Ⅲ. 제주도 장수자의 노동경험과 노동윤리 = 75
1. 서론 = 75
2. 생애사로 본 제주 장수노인들 = 77
3. 농사는 노동, 노동은 일상생활 = 95
4. 결어와 제언 : "가늘면 길고 닭지면 빠르고" = 97
Ⅳ. 백세인 연구와 장수인류학 = 103
1. 서언 = 103
2. 방법론 : "천우신조(serendipity)"의 발견 = 108
3. 아시아와 유럽의 사례연구 = 116
4. 백세인들로부터 배운 지혜 : 면담 후의 비교 = 153
5. 결어 : 장수인류학을 위하여 = 158
Ⅴ. 장수촌의 가족사 연구를 위한 인구학적 분석 -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 165
1. 연구대상 지역 = 166
2. 자료의 성격 = 178
3. 자료의 수집 과정 = 179
4. 자료의 정리 과정 = 181
5. 자료의 분석 = 184
6. 결론 = 221
Ⅵ. 구곡순담(求谷淳潭)의 장수현황과 주민참여형 장수문화론 = 223
1. 서언 : 미래학으로서의 장수학 = 223
2. '구곡순담(求谷淳潭)'에서 배운 것 = 225
3. 저비용 장수대책의 과제 = 230
4. 결어 : 지혜의 재발견 = 234
Ⅶ. 한국형 노인복지를 위한 제언 = 237
1. 서언 = 237
2. 일상문화(日常文化)로서의 노인문제 = 239
3. 자기부양(自己扶養)의 기능적 장수 = 244
4. 결어 = 248
부록 = 251
참고문헌 = 273
찾아보기 = 277
총론 : 백살까지 산다는 것 = 5
Ⅰ. 초고령화 사회와 장수인류학의 전망 = 19
1. 문제제기 = 19
2.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장수(長壽) = 23
3. 장수요인의 문화현상 = 29
4. 백수자(百壽者)의 사회복지 = 37
5. 결어: 정치화(政治化), 상업화(商業化), 인권(人權) = 41
Ⅱ. 한국 백세인(百歲人)의 문화적 특성 - 제주도를 중심으로 = 45
1. 서언 = 45
2. 제주도의 장수현황과 그 특징 = 48
3. 백세인의 특징 : 개인, 가족, 사회 = 50
4. 백세인의 비교문화론 = 64
5. 결어 : 건강백세(健康百歲)를 지향하면서 = 70
Ⅲ. 제주도 장수자의 노동경험과 노동윤리 = 75
1. 서론 = 75
2. 생애사로 본 제주 장수노인들 = 77
3. 농사는 노동, 노동은 일상생활 = 95
4. 결어와 제언 : "가늘면 길고 닭지면 빠르고" = 97
Ⅳ. 백세인 연구와 장수인류학 = 103
1. 서언 = 103
2. 방법론 : "천우신조(serendipity)"의 발견 = 108
3. 아시아와 유럽의 사례연구 = 116
4. 백세인들로부터 배운 지혜 : 면담 후의 비교 = 153
5. 결어 : 장수인류학을 위하여 = 158
Ⅴ. 장수촌의 가족사 연구를 위한 인구학적 분석 -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 165
1. 연구대상 지역 = 166
2. 자료의 성격 = 178
3. 자료의 수집 과정 = 179
4. 자료의 정리 과정 = 181
5. 자료의 분석 = 184
6. 결론 = 221
Ⅵ. 구곡순담(求谷淳潭)의 장수현황과 주민참여형 장수문화론 = 223
1. 서언 : 미래학으로서의 장수학 = 223
2. '구곡순담(求谷淳潭)'에서 배운 것 = 225
3. 저비용 장수대책의 과제 = 230
4. 결어 : 지혜의 재발견 = 234
Ⅶ. 한국형 노인복지를 위한 제언 = 237
1. 서언 = 237
2. 일상문화(日常文化)로서의 노인문제 = 239
3. 자기부양(自己扶養)의 기능적 장수 = 244
4. 결어 = 248
부록 = 251
참고문헌 = 273
찾아보기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