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9
제1부 마왕퇴 한묘 백서와 황로학
제1장 백서(帛書)『노자』와『황제사경』
1.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 백서(帛書)의 개괄 = 21
2. 백서(帛書)『노자』 = 30
3.『황제사경(黃帝四經)』 = 45
제2장 황로학(黃老學)과 도법가적 직하학(稷下學)
1. 황로학(黃老學) = 61
2. 선진(先秦)의 직하황로학(稷下黃老學) = 68
3. 직하황로학(稷下黃老學)의 계보 = 82
4. 황로학 연구의 의의와 문제 제기 = 90
제3장 황로학에 관한 기존 연구의 비판
1. 한대 초기의 황로학은 과연 도법가(道法家)인가? = 99
2. 사마천이 언급한 황로학은 과연 도법가인가? = 126
3. 황로학(黃老學)에서의 황제(黃帝)는 과연 법가의 종주인가? = 139
4.『황제사경』은 과연 전국 시대 초ㆍ중기 사이의 문헌인가? = 156
5. 황로학은 과연 제나라 전씨(田氏) 정권과 관련이 있는가? = 174
제4장 도가(道家)와 법가(法家)의 사상적 차이
1. 노자의 무위(無爲)와 한비의 무위 = 186
2. 노자의 도(道)와 한비의 도 = 204
3. 도가의 자율과 법가의 타율 = 211
4. 도가와 법가의 경계선 = 225
제5장『노자』와 병가(兵家)의 관계
1.『노자』와 병가(兵家)의 유사성 = 235
2.『노자』연대 문제의 신고증(新考證) = 242
3.『노자』와 법가의 병가에서의 영향 = 268
2부 곽점 초묘 죽간을 통해서 본 전국 말기의 유가와 도가
제1장 곽점(郭店) 초묘를 둘러싼 제 견해에 대한 문제 제기
1. 묘장(墓葬)의 연대 문제에 관하여 = 288
2. 묘주(墓主)에 관하여 = 314
3. 출토문헌의 저자에 관하여 = 332
제2장 곽점(郭店) 초간(楚簡)의 내용 분석과 연대 고증
1.『궁달이시(窮達以時)』 = 365
2.『당우지도(唐虞之道)』 = 380
3.『성자명출(性自命出)』 = 400
4.『오행(五行)』 = 413
5.『존덕의(尊德義)』 = 426
6.『어총(語叢)』 = 435
제3장『노자』와『태일생수(太一生水)』
1.『노자』 = 445
2.『태일생수』의 해석과 풀이 = 457
3.『노자』와『태일생수』의 관계 = 474
제4장 곽점(郭店) 초간(楚簡)을 통해서 본 전국 말기의 유가 사상
1. 출토문헌의 연대 = 487
2. 출토문헌의 사상적 특징 = 500
3. 곽점(郭店) 초간(楚簡)을 통해서 본 선진 유가의 변천 과정 = 524
4.『중용(中庸)』과『자사자(子思子)』의 재고찰 = 552
맺음말 = 587
참고문헌 = 591
찾아보기 = 604
머리말 = 9
제1부 마왕퇴 한묘 백서와 황로학
제1장 백서(帛書)『노자』와『황제사경』
1.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 백서(帛書)의 개괄 = 21
2. 백서(帛書)『노자』 = 30
3.『황제사경(黃帝四經)』 = 45
제2장 황로학(黃老學)과 도법가적 직하학(稷下學)
1. 황로학(黃老學) = 61
2. 선진(先秦)의 직하황로학(稷下黃老學) = 68
3. 직하황로학(稷下黃老學)의 계보 = 82
4. 황로학 연구의 의의와 문제 제기 = 90
제3장 황로학에 관한 기존 연구의 비판
1. 한대 초기의 황로학은 과연 도법가(道法家)인가? = 99
2. 사마천이 언급한 황로학은 과연 도법가인가? = 126
3. 황로학(黃老學)에서의 황제(黃帝)는 과연 법가의 종주인가? = 139
4.『황제사경』은 과연 전국 시대 초ㆍ중기 사이의 문헌인가? = 156
5. 황로학은 과연 제나라 전씨(田氏) 정권과 관련이 있는가? = 174
제4장 도가(道家)와 법가(法家)의 사상적 차이
1. 노자의 무위(無爲)와 한비의 무위 = 186
2. 노자의 도(道)와 한비의 도 = 204
3. 도가의 자율과 법가의 타율 = 211
4. 도가와 법가의 경계선 = 225
제5장『노자』와 병가(兵家)의 관계
1.『노자』와 병가(兵家)의 유사성 = 235
2.『노자』연대 문제의 신고증(新考證) = 242
3.『노자』와 법가의 병가에서의 영향 = 268
2부 곽점 초묘 죽간을 통해서 본 전국 말기의 유가와 도가
제1장 곽점(郭店) 초묘를 둘러싼 제 견해에 대한 문제 제기
1. 묘장(墓葬)의 연대 문제에 관하여 = 288
2. 묘주(墓主)에 관하여 = 314
3. 출토문헌의 저자에 관하여 = 332
제2장 곽점(郭店) 초간(楚簡)의 내용 분석과 연대 고증
1.『궁달이시(窮達以時)』 = 365
2.『당우지도(唐虞之道)』 = 380
3.『성자명출(性自命出)』 = 400
4.『오행(五行)』 = 413
5.『존덕의(尊德義)』 = 426
6.『어총(語叢)』 = 435
제3장『노자』와『태일생수(太一生水)』
1.『노자』 = 445
2.『태일생수』의 해석과 풀이 = 457
3.『노자』와『태일생수』의 관계 = 474
제4장 곽점(郭店) 초간(楚簡)을 통해서 본 전국 말기의 유가 사상
1. 출토문헌의 연대 = 487
2. 출토문헌의 사상적 특징 = 500
3. 곽점(郭店) 초간(楚簡)을 통해서 본 선진 유가의 변천 과정 = 524
4.『중용(中庸)』과『자사자(子思子)』의 재고찰 = 552
맺음말 = 587
참고문헌 = 591
찾아보기 = 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