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최한기의 생애와 시대 배경
제1장 開城 시대 = 5
1. 태어나자마자 양자로 들어가다 = 5
2. 勢道政治의 개막 = 10
3. 開城이라는 도시 = 13
제2장 長洞 시대 = 17
1. 서울 士族 朴宗赫의 딸과 결혼하다 = 17
2. 生員이 되었으나 大科 공부는 포기하다 = 19
제3장 倉洞 시대 = 22
1. 金憲基와 崔漢綺 = 22
2. 阿片戰爭과 새로운 지식의 도입 = 26
3. 최한기와 관계를 맺은 사람들 = 28
제4장 氣和堂 시대 = 35
1. 家門의 慶事 = 35
2. 氣學 체계의 완성 = 37
제5장 明南樓 시대 = 40
1. 책값 때문에 몰락하다? = 40
2. 辛未洋擾 = 43
3. 雲揚號 사건과 崔柄大의 귀양 = 47
제2부 최한기의 學問觀 전환과 ‘推測’
제1장 經學에서 自然學으로 = 55
1. ‘經學의 실학’과 ‘科學의 실학’ = 55
2. 聖經과 天經 = 59
3. 經學 시대의 패러다임(paradigm) = 68
4. 아시아 근세의 철학자 方以智와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 = 75
5. ‘窮理’의 방법과 ‘推測’의 방법 = 80
제2장 唐虞三代에서 方今運化로 = 87
1. 尙古主義에 대한 검토 = 87
2. 尙古主義의 비판과 극복 = 90
제3장 華夷에서 大同으로 = 101
1. 華夷思想에 대한 검토 = 101
2. 中華主義의 극복 = 108
3. 宇內大同 = 116
제3부 氣學의 自然觀
제1장 ‘氣’ 개념의 전환 = 123
1. 氣의 역사 = 125
2. 최한기의 氣와 기존의 氣의 공통점 = 131
3. 최한기의 氣와 기존의 氣의 차이점 = 136
4. ‘染’의 개념 = 140
제2장 形質의 氣 = 150
1. 形質 = 150
2. 天體를 운행시키는 氣 = 163
3. 氣數 = 166
제3장 運化의 氣 = 175
1. 순수하고 맑은 본체 = 175
2. 活動運化 = 184
제4부 氣學의 人間觀
제1장 몸에 대한 이해 = 217
1. 최한기의 身體觀 = 217
2. 氣學과 해부학의 만남 = 222
제2장 마음에 대한 이해 = 232
1. 마음의 본체 = 232
2. 마음의 작용 = 246
제5부 氣學의 실천
제1장 ‘通’의 개념 = 287
1. ‘通’의 인식론 = 287
2. 通功易事 = 290
제2장 ‘萬物一體’와 ‘天人運化의 孝’ = 304
1. 萬物一體 = 304
2. 天人運化의 孝 = 308
맺으며
혜강 최한기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머리에
제1부 최한기의 생애와 시대 배경
제1장 開城 시대 = 5
1. 태어나자마자 양자로 들어가다 = 5
2. 勢道政治의 개막 = 10
3. 開城이라는 도시 = 13
제2장 長洞 시대 = 17
1. 서울 士族 朴宗赫의 딸과 결혼하다 = 17
2. 生員이 되었으나 大科 공부는 포기하다 = 19
제3장 倉洞 시대 = 22
1. 金憲基와 崔漢綺 = 22
2. 阿片戰爭과 새로운 지식의 도입 = 26
3. 최한기와 관계를 맺은 사람들 = 28
제4장 氣和堂 시대 = 35
1. 家門의 慶事 = 35
2. 氣學 체계의 완성 = 37
제5장 明南樓 시대 = 40
1. 책값 때문에 몰락하다? = 40
2. 辛未洋擾 = 43
3. 雲揚號 사건과 崔柄大의 귀양 = 47
제2부 최한기의 學問觀 전환과 ‘推測’
제1장 經學에서 自然學으로 = 55
1. ‘經學의 실학’과 ‘科學의 실학’ = 55
2. 聖經과 天經 = 59
3. 經學 시대의 패러다임(paradigm) = 68
4. 아시아 근세의 철학자 方以智와 미우라 바이엔[三浦梅園] = 75
5. ‘窮理’의 방법과 ‘推測’의 방법 = 80
제2장 唐虞三代에서 方今運化로 = 87
1. 尙古主義에 대한 검토 = 87
2. 尙古主義의 비판과 극복 = 90
제3장 華夷에서 大同으로 = 101
1. 華夷思想에 대한 검토 = 101
2. 中華主義의 극복 = 108
3. 宇內大同 = 116
제3부 氣學의 自然觀
제1장 ‘氣’ 개념의 전환 = 123
1. 氣의 역사 = 125
2. 최한기의 氣와 기존의 氣의 공통점 = 131
3. 최한기의 氣와 기존의 氣의 차이점 = 136
4. ‘染’의 개념 = 140
제2장 形質의 氣 = 150
1. 形質 = 150
2. 天體를 운행시키는 氣 = 163
3. 氣數 = 166
제3장 運化의 氣 = 175
1. 순수하고 맑은 본체 = 175
2. 活動運化 = 184
제4부 氣學의 人間觀
제1장 몸에 대한 이해 = 217
1. 최한기의 身體觀 = 217
2. 氣學과 해부학의 만남 = 222
제2장 마음에 대한 이해 = 232
1. 마음의 본체 = 232
2. 마음의 작용 = 246
제5부 氣學의 실천
제1장 ‘通’의 개념 = 287
1. ‘通’의 인식론 = 287
2. 通功易事 = 290
제2장 ‘萬物一體’와 ‘天人運化의 孝’ = 304
1. 萬物一體 = 304
2. 天人運化의 孝 = 308
맺으며
혜강 최한기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