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드라마 속의 삶, 삶 속의 드라마 = 5
1장 드라마의 본질 = 13
1. 드라마의 정의 = 13
(1) 행동의 모방 = 14
(2) 실연된 허구 = 17
(3) 허구적 진실 = 20
2. 드라마의 특성 = 24
(1) 드라마와 소설 = 24
(2) 집단경험 = 28
(3) 무대와 스크린 = 32
3. 드라마의 역사적 기원 = 42
(1) 연극의 시작 = 42
(2) 영화의 시작 = 46
2장 비극의 삶 = 59
1. 고전비극 = 61
2. 현대비극 = 71
3. 영화와 현대비극 = 75
3장 희극의 삶 = 81
1. 희극정신 = 82
(1) 비판의 웃음 = 83
(2) 삶을 긍정하는 웃음 = 86
(3) 해방의 웃음 = 89
(4) 카니발의 웃음 = 91
(5) 그로테스크의 웃음 = 94
2. 웃음의 원천 = 96
3. 희극의 종류 = 101
4장 멜로드라마의 삶 = 113
1. 멜로드라마의 정신 = 114
2. 멜로드라마의 경험 = 120
3. 오늘날의 멜로드라마 = 126
4. 장르와 관점 = 128
5장 사실주의의 세상 = 131
1. 연극과 사실주의 = 131
(1) 진실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 = 131
(2) 사실주의 연극의 시작 = 132
(3) 사실주의 연극의 미학적 특성 = 137
2. 영화와 사실주의 = 143
(1) 사실주의 영화 = 143
(2) 사실주의 영화의 미학과 이론 = 147
3. 사실주의의 논쟁점 = 151
(1) 현실의 개념 = 152
(2) 사실주의의 정치성 = 153
6장 비사실주의 드라마의 세상 = 155
1. 연극과 비사실주의 = 155
(1) 비사실주의 연극의 전개 = 155
(2) 비사실주의 연극의 미학 = 167
2. 영화와 비사실주의 = 173
(1) 비사실주의 영화의 전개 = 173
(2) 비사실주의 영화의 미학과 이론 = 178
7장 사회변혁의 드라마 = 183
1. 정치적인 연극 = 184
2. 정치적 연극의 이론과 미학 = 190
3. 사회변혁의 영화 = 198
8장 정신혁명의 드라마 = 203
1. 연극과 광기의 미학 = 204
(1) 자연적인 자아의 회복 = 204
(2) 본능적 충동과 악의 향연 = 209
(3) 사회적 저항으로서의 광기 = 214
2. 영화에서의 광기 = 215
9장 드라마의 즐거움 = 221
1. 지적인 즐거움 = 222
2. 선정적인 즐거움 = 229
3. 정서적 즐거움 = 235
4. 모험의 즐거움 = 238
10장 삶 속의 드라마 = 243
1. 퍼포먼스 연구 = 244
2. 일상생활의 드라마 = 247
3. 의식과 드라마 = 252
4. 사회극 = 256
11장 드라마의 시학(詩學) = 261
1. 플롯 = 262
2. 집약희곡과 확산희곡 = 266
3. 인물 = 273
12장 드라마 창작미학과 삶 = 285
1. 연출미학과 삶 = 286
(1) 삶의 재현으로서의 연출 = 286
(2) 삶의 재창조로서의 연출 = 291
(3) 작가이론(auteur theory)과 연출 = 297
2. 연기미학과 삶 = 299
(1) 연기미학에 대한 논의의 시작 = 301
(2) 사실적인 연기와 삶 = 303
(3) 신체적인 연기와 사회적 몸짓의 연기 = 307
(4) 기호의 연기 = 312
(5) 무아경의 연기 = 316
(6) 카메라 연기 = 319
인용문헌(Works Cited) = 325
찾아보기 = 335
서문/드라마 속의 삶, 삶 속의 드라마 = 5
1장 드라마의 본질 = 13
1. 드라마의 정의 = 13
(1) 행동의 모방 = 14
(2) 실연된 허구 = 17
(3) 허구적 진실 = 20
2. 드라마의 특성 = 24
(1) 드라마와 소설 = 24
(2) 집단경험 = 28
(3) 무대와 스크린 = 32
3. 드라마의 역사적 기원 = 42
(1) 연극의 시작 = 42
(2) 영화의 시작 = 46
2장 비극의 삶 = 59
1. 고전비극 = 61
2. 현대비극 = 71
3. 영화와 현대비극 = 75
3장 희극의 삶 = 81
1. 희극정신 = 82
(1) 비판의 웃음 = 83
(2) 삶을 긍정하는 웃음 = 86
(3) 해방의 웃음 = 89
(4) 카니발의 웃음 = 91
(5) 그로테스크의 웃음 = 94
2. 웃음의 원천 = 96
3. 희극의 종류 = 101
4장 멜로드라마의 삶 = 113
1. 멜로드라마의 정신 = 114
2. 멜로드라마의 경험 = 120
3. 오늘날의 멜로드라마 = 126
4. 장르와 관점 = 128
5장 사실주의의 세상 = 131
1. 연극과 사실주의 = 131
(1) 진실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 = 131
(2) 사실주의 연극의 시작 = 132
(3) 사실주의 연극의 미학적 특성 = 137
2. 영화와 사실주의 = 143
(1) 사실주의 영화 = 143
(2) 사실주의 영화의 미학과 이론 = 147
3. 사실주의의 논쟁점 = 151
(1) 현실의 개념 = 152
(2) 사실주의의 정치성 = 153
6장 비사실주의 드라마의 세상 = 155
1. 연극과 비사실주의 = 155
(1) 비사실주의 연극의 전개 = 155
(2) 비사실주의 연극의 미학 = 167
2. 영화와 비사실주의 = 173
(1) 비사실주의 영화의 전개 = 173
(2) 비사실주의 영화의 미학과 이론 = 178
7장 사회변혁의 드라마 = 183
1. 정치적인 연극 = 184
2. 정치적 연극의 이론과 미학 = 190
3. 사회변혁의 영화 = 198
8장 정신혁명의 드라마 = 203
1. 연극과 광기의 미학 = 204
(1) 자연적인 자아의 회복 = 204
(2) 본능적 충동과 악의 향연 = 209
(3) 사회적 저항으로서의 광기 = 214
2. 영화에서의 광기 = 215
9장 드라마의 즐거움 = 221
1. 지적인 즐거움 = 222
2. 선정적인 즐거움 = 229
3. 정서적 즐거움 = 235
4. 모험의 즐거움 = 238
10장 삶 속의 드라마 = 243
1. 퍼포먼스 연구 = 244
2. 일상생활의 드라마 = 247
3. 의식과 드라마 = 252
4. 사회극 = 256
11장 드라마의 시학(詩學) = 261
1. 플롯 = 262
2. 집약희곡과 확산희곡 = 266
3. 인물 = 273
12장 드라마 창작미학과 삶 = 285
1. 연출미학과 삶 = 286
(1) 삶의 재현으로서의 연출 = 286
(2) 삶의 재창조로서의 연출 = 291
(3) 작가이론(auteur theory)과 연출 = 297
2. 연기미학과 삶 = 299
(1) 연기미학에 대한 논의의 시작 = 301
(2) 사실적인 연기와 삶 = 303
(3) 신체적인 연기와 사회적 몸짓의 연기 = 307
(4) 기호의 연기 = 312
(5) 무아경의 연기 = 316
(6) 카메라 연기 = 319
인용문헌(Works Cited) = 325
찾아보기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