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9
제1부 연극 미학의 일반 문제
제1장 미학이란 무엇인가? = 15
1. 논란의 대상이 된 개념 = 15
2. 미학의 두 의미 : 감성과 예술 = 18
3. 학문에서 예술 형이상학으로 = 20
4. 예술 철학 = 23
5. 바우가르텐 이전의 미학 = 26
6. 전환점 : 마르크스, 프로이트, 니체 = 27
7. 현대 미학의 영역 = 29
제2장 문제의 연극 미학 : 텍스트와 무대 = 32
1. 연극이란 무엇인가? = 32
2. 텍스트 쪽으로 = 34
3. 연극의 시학 = 35
4. 극시 = 38
5. 배우의 예술 = 40
6. 텍스트에서 무대로 = 42
제3장 연극 미학의 정의 = 45
1. 연극의 재정의 = 45
2. 총체 미학의 실행 = 46
3. 몇몇 정의들에 관하여 = 50
4. 오늘날의 미학 = 61
5. 제안된 정의 = 64
참고문헌 = 66
종합 = 66
제2부 연극, 실재 그리고 텍스트
제4장 드라마의 기원 : 미메시스 = 71
1. 플라톤의 연극적 미메시스 단죄 = 72
텍스트 연구 : 플라톤의 『국가』에서 두 시인 = 80
2. 반(反)미메시스 논쟁 = 83
텍스트 연구 : 성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94
제5장 미메시스적 미학을 위하여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 97
1. 『시학』에 대하여 = 98
2. 미메시스의 재정립 = 105
3. 미메시스와 포이에시스 = 114
텍스트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가 내린 비극에 대한 정의, 『시학』 = 119
4. 카타르시스의 문제 = 123
제6장 프랑스식 아리스토텔리즘의 쟁점들 = 131
1. 『시학』의 전승 = 132
2. 고전주의 극작법 : 규칙과 학설 = 142
3. 고전주의 미메시스 = 158
텍스트 연구 : 도비냑의 가상적 재현, 『연극의 실제』 = 167
참고문헌 = 170
종합 = 171
제3부 무대의 시학을 향하여
제7장 고전주의 모델 비판과 극복 = 175
1. 코르네유의 유산 = 175
2. 규칙의 확대 = 178
3. 장르의 통합 = 186
제8장 디드로의 진전 = 196
1. 범용함의 비판 = 196
2. 이상적인 모방 = 200
3. 예술, 자연, 진실 = 203
4. 진실함, 선함, 아름다움 = 210
5. 미덕의 학교에서 눈물의 연극론으로 = 216
제9장 신중한 장르 혹은 드라마의 탄생 = 220
1. 중간적 장르 = 220
2. 몸짓의 글쓰기 = 225
3. 장면, 배우, 관객 = 231
제10장 무대를 향하여 : 디드로에서 졸라로 = 240
1. 디드로의 영향 = 240
2. 부르주아 드라마에서 낭만주의 드라마로 = 242
3. 낭만주의 미학 = 246
4. 졸라, 앙투안 그리고 연출의 도래 = 256
참고문헌 = 268
종합 = 269
제4부 20세기의 미학들
제11장 예술로서 연극의 재정의를 위하여 = 273
1. 예술 연극 = 273
2. 연극예술 = 284
텍스트 연구 : 아피아, 『살아있는 예술작품』 = 293
제12장 아르토, 연극과 삶 = 297
1. 서양 연극과의 결별 = 297
2. 무대와 무대언어 = 305
3. 잔혹극 = 309
제13장 브레히트와 서사극 = 322
1. 하나의 시학 = 322
2.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론을 위하여 = 326
3. 서사극이란 무엇인가? = 332
4. 생소화 = 340
5. 배우의 생소화 = 350
참고문헌 = 361
종합 = 361
결론 : 현대의 질문들 = 365
보충 참고문헌 = 371
역자 후기 = 378
지은이ㆍ옮긴이 약력 = 381
서론 = 9
제1부 연극 미학의 일반 문제
제1장 미학이란 무엇인가? = 15
1. 논란의 대상이 된 개념 = 15
2. 미학의 두 의미 : 감성과 예술 = 18
3. 학문에서 예술 형이상학으로 = 20
4. 예술 철학 = 23
5. 바우가르텐 이전의 미학 = 26
6. 전환점 : 마르크스, 프로이트, 니체 = 27
7. 현대 미학의 영역 = 29
제2장 문제의 연극 미학 : 텍스트와 무대 = 32
1. 연극이란 무엇인가? = 32
2. 텍스트 쪽으로 = 34
3. 연극의 시학 = 35
4. 극시 = 38
5. 배우의 예술 = 40
6. 텍스트에서 무대로 = 42
제3장 연극 미학의 정의 = 45
1. 연극의 재정의 = 45
2. 총체 미학의 실행 = 46
3. 몇몇 정의들에 관하여 = 50
4. 오늘날의 미학 = 61
5. 제안된 정의 = 64
참고문헌 = 66
종합 = 66
제2부 연극, 실재 그리고 텍스트
제4장 드라마의 기원 : 미메시스 = 71
1. 플라톤의 연극적 미메시스 단죄 = 72
텍스트 연구 : 플라톤의 『국가』에서 두 시인 = 80
2. 반(反)미메시스 논쟁 = 83
텍스트 연구 : 성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94
제5장 미메시스적 미학을 위하여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 97
1. 『시학』에 대하여 = 98
2. 미메시스의 재정립 = 105
3. 미메시스와 포이에시스 = 114
텍스트 연구 : 아리스토텔레스가 내린 비극에 대한 정의, 『시학』 = 119
4. 카타르시스의 문제 = 123
제6장 프랑스식 아리스토텔리즘의 쟁점들 = 131
1. 『시학』의 전승 = 132
2. 고전주의 극작법 : 규칙과 학설 = 142
3. 고전주의 미메시스 = 158
텍스트 연구 : 도비냑의 가상적 재현, 『연극의 실제』 = 167
참고문헌 = 170
종합 = 171
제3부 무대의 시학을 향하여
제7장 고전주의 모델 비판과 극복 = 175
1. 코르네유의 유산 = 175
2. 규칙의 확대 = 178
3. 장르의 통합 = 186
제8장 디드로의 진전 = 196
1. 범용함의 비판 = 196
2. 이상적인 모방 = 200
3. 예술, 자연, 진실 = 203
4. 진실함, 선함, 아름다움 = 210
5. 미덕의 학교에서 눈물의 연극론으로 = 216
제9장 신중한 장르 혹은 드라마의 탄생 = 220
1. 중간적 장르 = 220
2. 몸짓의 글쓰기 = 225
3. 장면, 배우, 관객 = 231
제10장 무대를 향하여 : 디드로에서 졸라로 = 240
1. 디드로의 영향 = 240
2. 부르주아 드라마에서 낭만주의 드라마로 = 242
3. 낭만주의 미학 = 246
4. 졸라, 앙투안 그리고 연출의 도래 = 256
참고문헌 = 268
종합 = 269
제4부 20세기의 미학들
제11장 예술로서 연극의 재정의를 위하여 = 273
1. 예술 연극 = 273
2. 연극예술 = 284
텍스트 연구 : 아피아, 『살아있는 예술작품』 = 293
제12장 아르토, 연극과 삶 = 297
1. 서양 연극과의 결별 = 297
2. 무대와 무대언어 = 305
3. 잔혹극 = 309
제13장 브레히트와 서사극 = 322
1. 하나의 시학 = 322
2.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론을 위하여 = 326
3. 서사극이란 무엇인가? = 332
4. 생소화 = 340
5. 배우의 생소화 = 350
참고문헌 = 361
종합 = 361
결론 : 현대의 질문들 = 365
보충 참고문헌 = 371
역자 후기 = 378
지은이ㆍ옮긴이 약력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