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3
서장 현대 일본 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한 보편적ㆍ국제적인 작가 = 11
1. 왜 아베 고보인가 = 13
2. 문학적 출발점 - '만주'체험 = 16
3. 사상의 기반 - 실존주의와 코뮤니즘, 그리고 초현실주의 = 20
4. 아베 고보의 소설 기법 = 22
5. 소설의 주요 테마 = 25
6. 표현가 아베 고보 = 27
제1장『덴도로카카리야』(テンドロカカリヤ)론 = 33
1. 아베 고보는 정말 난해한가 = 35
2.『덴도로카카리야』, 그 '극악의 식물' = 36
3. 커먼군과 아르피이에 - 선악의 충동 = 41
4. 맺음말 = 49
제2장『붉은 누에고치』(赤い繭)론 = 53
1. 머리말 = 55
2. 교과서에서 읽는 아베 고보 = 58
3. 경계선상의 존재인 '나' = 61
4. '나'와 '그'의 관계 = 66
5. '나'의 유태인성 = 70
6. '집'이 갖는 의미, 그리고 '누에고치'로의 변신 = 74
7. 맺음말 = 79
제3장『바벨탑의 너구리』(バベルの塔の狸)론 = 85
1. 작품 세계로 들어가는 데에는 쉬르리얼리즘에 의하지 않으면 안되는가 = 87
2. '나'와 '잡지 않은 너구리' = 90
3. '그림자' - 소유와 존재 = 99
4. '바벨탑'안의 너구리들 = 101
5. 맺음말 = 106
제4장『벽 - S.카르마씨의 범죄』(壁- S.カルマ氏の犯罪)론 = 111
1. 머리말 - '뒤죽박죽' 세상 = 113
2. a : a' - 거울을 사이에 둔 비추어지는 상과 비쳐진 상 1 = 116
3. a : a' - 거울을 사이에 둔 비추어지는 상과 비쳐진 상 2 = 124
4. '세계 끝'으로의 도주와 '벽'으로의 변신 = 129
5. 맺음말 = 135
제5장 '변신' 모티브 고찰 -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 139
1. 머리말 = 141
2. '도주/정착'에서 '소외/소멸'로 = 145
3. '소유/존재'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변신 모티브 = 152
4. 변신 모티브와 초기 작품의 테마 = 155
5. 맺음말 = 165
제6장『침입자』(闖入者)론 = 169
1. 머리말 = 171
2. 선행 연구 검토 - 왜 연구가 미흡한가 = 173
3. 아베 고보에게 있어서 『침입자』는 어떤 작품인가 = 175
4. 작품 구조 = 178
5. '가족' 집단의 의미 = 181
6. 맺음말 = 189
제7장『모래의 여자』(砂の女)론 = 193
1. 머리말 = 195
2.『모래의 여자』가 차지하는 위치 = 198
3.『모래의 여자』의 평가에 대하여 = 202
4. '남자'의 인물 설정 = 205
5. '여자'의 인물 설정 = 213
6. 맺음말 = 221
제8장『타인의 얼굴』(他人の顔)론 = 225
1. 머리말 = 227
2.『타인의 얼굴』의 주체 형성 과정 = 229
3. '얼굴'은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통로인가 = 235
4. '가면' 또 하나의 얼굴 = 240
5. 맺음말 = 247
제9장『상자 인간』(箱男)론 = 251
1. 머리말 = 253
2. 작품 구조 = 255
3. '나'의 경우 - '상자 인간'이 되기까지 = 257
4. '나'에게 일어난 사건 = 259
5. '상자 인간'이란 = 260
6. 맺음말 = 267
제10장『하늘을 나는 남자』(飛ぶ男)론 = 273
1. 머리말 = 275
2.「초능력 소년에 관한 리포트」 = 280
3.『초능력 소년』 = 285
4.『하늘을 나는 남자』의 탄생 = 292
5. 맺음말 = 298
제11장 '만주'체험과 패전 체험 = 303
1. 머리말 = 305
2. 어린 시절의 '만주'와 '일본' 패전 = 307
3. '만주'체험을 기록하다 = 312
4.『짐승들은 고향을 향한다』에 나타난 '만주'체험 = 317
5. 아베 고보에게 있어서 '만주' = 328
6. 아베 고보 문학의 원풍경 = 337
7. 맺음말 = 341
후기 = 345
아베 고보 국제 심포지엄 보고서 = 349
부록사진 = 366
참고문헌 = 370
작가연보 = 394
일본어 초록 = 413
찾아보기 = 416
프롤로그 = 3
서장 현대 일본 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한 보편적ㆍ국제적인 작가 = 11
1. 왜 아베 고보인가 = 13
2. 문학적 출발점 - '만주'체험 = 16
3. 사상의 기반 - 실존주의와 코뮤니즘, 그리고 초현실주의 = 20
4. 아베 고보의 소설 기법 = 22
5. 소설의 주요 테마 = 25
6. 표현가 아베 고보 = 27
제1장『덴도로카카리야』(テンドロカカリヤ)론 = 33
1. 아베 고보는 정말 난해한가 = 35
2.『덴도로카카리야』, 그 '극악의 식물' = 36
3. 커먼군과 아르피이에 - 선악의 충동 = 41
4. 맺음말 = 49
제2장『붉은 누에고치』(赤い繭)론 = 53
1. 머리말 = 55
2. 교과서에서 읽는 아베 고보 = 58
3. 경계선상의 존재인 '나' = 61
4. '나'와 '그'의 관계 = 66
5. '나'의 유태인성 = 70
6. '집'이 갖는 의미, 그리고 '누에고치'로의 변신 = 74
7. 맺음말 = 79
제3장『바벨탑의 너구리』(バベルの塔の狸)론 = 85
1. 작품 세계로 들어가는 데에는 쉬르리얼리즘에 의하지 않으면 안되는가 = 87
2. '나'와 '잡지 않은 너구리' = 90
3. '그림자' - 소유와 존재 = 99
4. '바벨탑'안의 너구리들 = 101
5. 맺음말 = 106
제4장『벽 - S.카르마씨의 범죄』(壁- S.カルマ氏の犯罪)론 = 111
1. 머리말 - '뒤죽박죽' 세상 = 113
2. a : a' - 거울을 사이에 둔 비추어지는 상과 비쳐진 상 1 = 116
3. a : a' - 거울을 사이에 둔 비추어지는 상과 비쳐진 상 2 = 124
4. '세계 끝'으로의 도주와 '벽'으로의 변신 = 129
5. 맺음말 = 135
제5장 '변신' 모티브 고찰 -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 139
1. 머리말 = 141
2. '도주/정착'에서 '소외/소멸'로 = 145
3. '소유/존재'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변신 모티브 = 152
4. 변신 모티브와 초기 작품의 테마 = 155
5. 맺음말 = 165
제6장『침입자』(闖入者)론 = 169
1. 머리말 = 171
2. 선행 연구 검토 - 왜 연구가 미흡한가 = 173
3. 아베 고보에게 있어서 『침입자』는 어떤 작품인가 = 175
4. 작품 구조 = 178
5. '가족' 집단의 의미 = 181
6. 맺음말 = 189
제7장『모래의 여자』(砂の女)론 = 193
1. 머리말 = 195
2.『모래의 여자』가 차지하는 위치 = 198
3.『모래의 여자』의 평가에 대하여 = 202
4. '남자'의 인물 설정 = 205
5. '여자'의 인물 설정 = 213
6. 맺음말 = 221
제8장『타인의 얼굴』(他人の顔)론 = 225
1. 머리말 = 227
2.『타인의 얼굴』의 주체 형성 과정 = 229
3. '얼굴'은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통로인가 = 235
4. '가면' 또 하나의 얼굴 = 240
5. 맺음말 = 247
제9장『상자 인간』(箱男)론 = 251
1. 머리말 = 253
2. 작품 구조 = 255
3. '나'의 경우 - '상자 인간'이 되기까지 = 257
4. '나'에게 일어난 사건 = 259
5. '상자 인간'이란 = 260
6. 맺음말 = 267
제10장『하늘을 나는 남자』(飛ぶ男)론 = 273
1. 머리말 = 275
2.「초능력 소년에 관한 리포트」 = 280
3.『초능력 소년』 = 285
4.『하늘을 나는 남자』의 탄생 = 292
5. 맺음말 = 298
제11장 '만주'체험과 패전 체험 = 303
1. 머리말 = 305
2. 어린 시절의 '만주'와 '일본' 패전 = 307
3. '만주'체험을 기록하다 = 312
4.『짐승들은 고향을 향한다』에 나타난 '만주'체험 = 317
5. 아베 고보에게 있어서 '만주' = 328
6. 아베 고보 문학의 원풍경 = 337
7. 맺음말 = 341
후기 = 345
아베 고보 국제 심포지엄 보고서 = 349
부록사진 = 366
참고문헌 = 370
작가연보 = 394
일본어 초록 = 413
찾아보기 =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