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서문 = 5
옮긴이 서문 = 9
제1장 인도 입헌제도의 모형: 유사연방주의에서 연방주의, 유사연합연방주의에 이르기까지 = 21
개요 = 21
입헌적 계보 = 22
인도의 입헌 이론 = 24
민주적 구조물의 수준과 인도의 관례 = 26
제2장 인도 헌법의 형성과 작동 = 37
개요 = 37
기본적인 헌법의 원칙과 철학 = 45
평가 = 49
할당정책 = 53
빈곤완화정책 = 56
제3장 국제화된 세계에서 민주적, 다문화-세속적, 발전적인 국가 = 63
개요 = 63
민주적 차원 = 65
민주국가의 위기 = 71
국민국가와 국민 = 73
민족성과 젠더 = 78
다문화-세속적 차원 = 80
계급 차원 = 91
젠더와 국가 = 93
정치적 자유주의와 국가 = 98
경제 자유주의와 국가 = 102
세계화와 국가 = 109
제4장 의회: 릴리풋 소인국의 걸리버? = 125
개요 = 125
의회와 연합의 정치 = 131
의회 위원회들 = 13
의회의 특권 = 137
판례법 = 139
위축된 의회? = 142
결론 = 146
제5장 연방 행정부: 내각인가 도당인가? = 151
개요 = 151
연방 총리직 양식 = 161
연합정부하의 행정부 = 165
행정 거버넌스의 세 가지 기본적인 문제점 = 167
전(全)인도서비스 = 169
정당체제 = 171
결론 = 173
제6장 사법부: 규칙과 그 이상의 전쟁 = 177
개요 = 177
역사적 배경 = 178
구조 = 179
사법권과 사법심사 = 181
진화의 첫 번째 국면(1950∼1966) = 185
진화의 두 번째 국면(1967∼1972) = 186
진화의 세 번째 국면(1973∼1979) = 187
진화의 네 번째 국면(1980∼현재) = 189
사법행동주의 = 190
제7장 연방화의 심화를 향하여 = 199
개요 = 199
역사적 배경 = 200
연방적 설계 = 201
연방과 주의 관계 = 207
재정상의 연방주의 = 211
논쟁과 상호작용 = 213
지역적 압력 = 219
지역정부: 연방구조의 세 번째 층? = 222
행정 = 224
연합정부 시기의 연방정치 = 225
제8장 주 정부와 지역 정치 = 235
개요 = 235
지리적·문화적 지역 = 237
주 정부의 구조와 작동 = 239
주 정치의 형태와 경향 = 249
주 정치 내 정당집단의 영역 = 256
주 정치의 신개척영역 = 259
결론 = 264
제9장 관료제: '영구적인 정부'인가? = 269
역사 = 269
전통 = 271
계급 편견 = 274
관료제의 통제 = 275
행정 역할의 변화: 1947년 이래 도전과 1990년대 = 278
행정 부패와 개혁 = 283
제10장 선거: 마지못해 하는 불확실한 판단인가? = 291
입헌적이고 합법적인 선거의 틀 = 291
선거법, 정당제와 정부 형성의 정치적 결과 = 293
선거동원 양상/모델 = 295
정치화의 양상 = 296
선거운동의 모델과 공존하는 정당제도와 총리내각 양식 = 308
투표 행위의 결정 요소 = 311
선거 개혁 = 316
법률위원회 = 317
제11장 정당 체계: 체제 없는 지형? = 327
개요 = 327
정당과 정당 계보 = 336
정당체계의 이데올로기적 스펙트럼 = 343
인도 정당의 퇴보 = 351
전망 = 353
선거개혁의 당면과제 = 357
제12장 시민사회: 시민화 과정을 겪는가? = 365
개요 = 365
통칙 = 367
매스미디어 = 375
소작농/농민운동과 달리트운동 = 378
낙살라이트운동 = 380
노동조합운동 = 383
신사회운동 = 386
페미니즘과 생태주의 = 388
비정부기구(NGOs) = 396
신시장경제 = 398
에필로그 : 민주주의적 운명과 인도의 밀회: 민주주의 발전국가의 위기 = 405
인도 민주주의의 지속가능성 = 407
인도 발전의 지속가능성 = 408
인도적 민주 발전국가 = 411
〈부록Ⅰ〉옮긴이에 의한 용어설명(Glossary) = 417
〈부록Ⅱ〉정당표기 = 420
〈부록Ⅲ〉인도정치학 참고 사진 자료 = 422
사항 색인 = 431
인명/지명 색인 = 438
지은이와 옮긴이 소개 = 446
옮긴이 서문 = 9
제1장 인도 입헌제도의 모형: 유사연방주의에서 연방주의, 유사연합연방주의에 이르기까지 = 21
개요 = 21
입헌적 계보 = 22
인도의 입헌 이론 = 24
민주적 구조물의 수준과 인도의 관례 = 26
제2장 인도 헌법의 형성과 작동 = 37
개요 = 37
기본적인 헌법의 원칙과 철학 = 45
평가 = 49
할당정책 = 53
빈곤완화정책 = 56
제3장 국제화된 세계에서 민주적, 다문화-세속적, 발전적인 국가 = 63
개요 = 63
민주적 차원 = 65
민주국가의 위기 = 71
국민국가와 국민 = 73
민족성과 젠더 = 78
다문화-세속적 차원 = 80
계급 차원 = 91
젠더와 국가 = 93
정치적 자유주의와 국가 = 98
경제 자유주의와 국가 = 102
세계화와 국가 = 109
제4장 의회: 릴리풋 소인국의 걸리버? = 125
개요 = 125
의회와 연합의 정치 = 131
의회 위원회들 = 13
의회의 특권 = 137
판례법 = 139
위축된 의회? = 142
결론 = 146
제5장 연방 행정부: 내각인가 도당인가? = 151
개요 = 151
연방 총리직 양식 = 161
연합정부하의 행정부 = 165
행정 거버넌스의 세 가지 기본적인 문제점 = 167
전(全)인도서비스 = 169
정당체제 = 171
결론 = 173
제6장 사법부: 규칙과 그 이상의 전쟁 = 177
개요 = 177
역사적 배경 = 178
구조 = 179
사법권과 사법심사 = 181
진화의 첫 번째 국면(1950∼1966) = 185
진화의 두 번째 국면(1967∼1972) = 186
진화의 세 번째 국면(1973∼1979) = 187
진화의 네 번째 국면(1980∼현재) = 189
사법행동주의 = 190
제7장 연방화의 심화를 향하여 = 199
개요 = 199
역사적 배경 = 200
연방적 설계 = 201
연방과 주의 관계 = 207
재정상의 연방주의 = 211
논쟁과 상호작용 = 213
지역적 압력 = 219
지역정부: 연방구조의 세 번째 층? = 222
행정 = 224
연합정부 시기의 연방정치 = 225
제8장 주 정부와 지역 정치 = 235
개요 = 235
지리적·문화적 지역 = 237
주 정부의 구조와 작동 = 239
주 정치의 형태와 경향 = 249
주 정치 내 정당집단의 영역 = 256
주 정치의 신개척영역 = 259
결론 = 264
제9장 관료제: '영구적인 정부'인가? = 269
역사 = 269
전통 = 271
계급 편견 = 274
관료제의 통제 = 275
행정 역할의 변화: 1947년 이래 도전과 1990년대 = 278
행정 부패와 개혁 = 283
제10장 선거: 마지못해 하는 불확실한 판단인가? = 291
입헌적이고 합법적인 선거의 틀 = 291
선거법, 정당제와 정부 형성의 정치적 결과 = 293
선거동원 양상/모델 = 295
정치화의 양상 = 296
선거운동의 모델과 공존하는 정당제도와 총리내각 양식 = 308
투표 행위의 결정 요소 = 311
선거 개혁 = 316
법률위원회 = 317
제11장 정당 체계: 체제 없는 지형? = 327
개요 = 327
정당과 정당 계보 = 336
정당체계의 이데올로기적 스펙트럼 = 343
인도 정당의 퇴보 = 351
전망 = 353
선거개혁의 당면과제 = 357
제12장 시민사회: 시민화 과정을 겪는가? = 365
개요 = 365
통칙 = 367
매스미디어 = 375
소작농/농민운동과 달리트운동 = 378
낙살라이트운동 = 380
노동조합운동 = 383
신사회운동 = 386
페미니즘과 생태주의 = 388
비정부기구(NGOs) = 396
신시장경제 = 398
에필로그 : 민주주의적 운명과 인도의 밀회: 민주주의 발전국가의 위기 = 405
인도 민주주의의 지속가능성 = 407
인도 발전의 지속가능성 = 408
인도적 민주 발전국가 = 411
〈부록Ⅰ〉옮긴이에 의한 용어설명(Glossary) = 417
〈부록Ⅱ〉정당표기 = 420
〈부록Ⅲ〉인도정치학 참고 사진 자료 = 422
사항 색인 = 431
인명/지명 색인 = 438
지은이와 옮긴이 소개 =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