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11
1. 매체 기념의 계보 ... 20
2. 매체론의 역사. 플라톤에서 니체까지 ... 30
시작 : 플라톤의 문자 비판 ... 31
18세기와 19세기의 매체의 은유화 : 레싱, 헤르더, 헤겔 ... 36
프리드리히 니체의 매체적인 것의 '가면' ... 48
3. 체계적인 매체론 : 마르크스주의 매체비판과 캐나다 학파 ... 61
3.1. 마르크스주의 매체비판 ... 61
벨라 발라즈, 발터 벤야민, 베르톨트 브레히트 ... 64
에필로그 :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와 1970년대 논쟁의 연속 ... 79
테오도르 아도르노, 막스 호르크하이머, 귄터 안더스 ... 86
3.2. 캐나다 학파 ... 98
해롤드 이니스 ... 101
에릭 하벨록, 월터 옹 그리고 잭 구디 ... 108
마셜 맥루언 ... 114
데릭 드 커코브 ... 139
4. 매체철학 ... 143
빌렘 플루서와 '텔레마틱'사회 ... 148
장 보드리야르 그리고 실재의 고통 ... 168
폴 비릴리오. 과잉 속도에 대한 비판 ... 183
프리드리히 키틀러와 정신의 추방 ... 202
니클라스 루만 : 매체와 형식의 구분 ... 225
5. 부정적 매체론의 전망 ... 239
주석 ... 250
개념 색인 ... 264
인명 색인 ... 267
약호 표기 ... 272
서문 ... 11
1. 매체 기념의 계보 ... 20
2. 매체론의 역사. 플라톤에서 니체까지 ... 30
시작 : 플라톤의 문자 비판 ... 31
18세기와 19세기의 매체의 은유화 : 레싱, 헤르더, 헤겔 ... 36
프리드리히 니체의 매체적인 것의 '가면' ... 48
3. 체계적인 매체론 : 마르크스주의 매체비판과 캐나다 학파 ... 61
3.1. 마르크스주의 매체비판 ... 61
벨라 발라즈, 발터 벤야민, 베르톨트 브레히트 ... 64
에필로그 :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와 1970년대 논쟁의 연속 ... 79
테오도르 아도르노, 막스 호르크하이머, 귄터 안더스 ... 86
3.2. 캐나다 학파 ... 98
해롤드 이니스 ... 101
에릭 하벨록, 월터 옹 그리고 잭 구디 ... 108
마셜 맥루언 ... 114
데릭 드 커코브 ... 139
4. 매체철학 ... 143
빌렘 플루서와 '텔레마틱'사회 ... 148
장 보드리야르 그리고 실재의 고통 ... 168
폴 비릴리오. 과잉 속도에 대한 비판 ... 183
프리드리히 키틀러와 정신의 추방 ... 202
니클라스 루만 : 매체와 형식의 구분 ... 225
5. 부정적 매체론의 전망 ... 239
주석 ... 250
개념 색인 ... 264
인명 색인 ... 267
약호 표기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