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백권호 ... 6
제1부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
한·중 관계의 명(明)과 암(暗): 다층적 맥락 및 한·미 동맹을 중심으로|김태호 ... 21
동아시아와 중국의 동맹 정책|조영남 ... 61
21세기 중국의 다자안보전략의 전개 과정과 특징 :‘6자 회담’ 사례를 중심으로|김재관 ... 96
제2부 중국의 정치·사회·문화 이슈
최근 중국의 민주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당내 민주화론을 중심으로|이정남 ... 135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의 문화 민족주의와 재현의 정치학|임춘성 ... 161
복합위험사회로서의 중국: 한국 경험과의 비교 평가|장경섭 ... 184
제3부 한·중 관계 및 비교 이슈
한·중 FTA의 쟁점과 추진 방향|양평섭 ... 215
한·중 매체 댓글을 통해 본 한·중 언론 정책과 네티즌의 속성|김진호 ... 240
한·중 행정개혁 비교 연구 : 신공공관리의 도입, 확산, 진화 과정을 중심으로|정해용 ... 273
서론|백권호 ... 6
제1부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
한·중 관계의 명(明)과 암(暗): 다층적 맥락 및 한·미 동맹을 중심으로|김태호 ... 21
동아시아와 중국의 동맹 정책|조영남 ... 61
21세기 중국의 다자안보전략의 전개 과정과 특징 :‘6자 회담’ 사례를 중심으로|김재관 ... 96
제2부 중국의 정치·사회·문화 이슈
최근 중국의 민주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당내 민주화론을 중심으로|이정남 ... 135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의 문화 민족주의와 재현의 정치학|임춘성 ... 161
복합위험사회로서의 중국: 한국 경험과의 비교 평가|장경섭 ... 184
제3부 한·중 관계 및 비교 이슈
한·중 FTA의 쟁점과 추진 방향|양평섭 ... 215
한·중 매체 댓글을 통해 본 한·중 언론 정책과 네티즌의 속성|김진호 ... 240
한·중 행정개혁 비교 연구 : 신공공관리의 도입, 확산, 진화 과정을 중심으로|정해용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