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곤산강과 위량보 ... 25
곤극이란 ... 27
강남 지방에 유행한 가락들 ... 28
‘곤산강’은 어떠한 가락이었나 ... 32
위량보가 ‘곤곡’ 창법을 만들다 ... 33
무대에서 노래하는 ‘곤강’의 시대 ... 35
2. 서위와 월중파 ... 39
세상을 비웃은 광인 ... 41
네 가지의 기발한 이야기 ... 44
월나라 땅의 작가들 ... 50
3. 탕현조와 임천사몽 ... 55
천재적인 몽상가 ... 57
진정한 사랑을 꿈꾸다 ... 60
한바탕의 덧없는 꿈이라 ... 62
틀보다 맛과 멋이 먼저다 ... 65
4. 심경과 오강파 ... 71
소박한 원칙주의자 ... 73
교훈을 주는 이야기들 ... 76
오나라 땅의 작가들 ... 81
5. 이옥과 소주파 ... 87
시민 의식의 대변자 ... 89
의로운 시민들의 폭동 ... 94
소주 지방의 작가들 ... 96
6. 이어와 한정우기 ... 101
유쾌한 상업 작가 ... 103
열 가지의 재미난 이야기 ... 107
연극에 관해 쓴 호젓한 글 ... 112
7. 홍승과 장생전 ... 119
비운의 낭만주의자 ... 121
황제와 애첩의 이야기 ... 125
장생전에서 나눈 사랑 ... 130
8. 곤극의 음악 형식 ... 133
남곡과 북곡 ... 135
남희의 음악 ... 136
남희에서 전기로의 주요 변화 ... 139
곡패의 기능 ... 141
곡보와 운서 ... 143
공척보와 반주 악기 ... 147
9. 배역과 분장의 체계 ... 153
전통극의 공연 ... 155
배역의 분업화 ... 159
분장의 유형화 ... 163
10. 가정희반의 양성 ... 167
가정희반 ... 169
신사 계층의 극단주 ... 171
신시행 ... 172
전대 ... 173
반윤단 ... 174
도륭 ... 175
기표가 ... 175
이어의 특수성 ... 176
염상 계층의 극단주 ... 178
칠대내반 ... 179
황원덕 ... 181
강광달 ... 182
극단 후원의 파급 효과 ... 185
재정적 측면 ... 186
심미적, 양식적 측면 ... 187
11. 삽화본 희곡의 간행 ... 191
목판화 ... 193
삽화본 희곡 ... 195
금릉과 휘주 ... 198
항주와 소주 그리고 오흥 ... 200
간행의 동기 ... 203
12. 사교적 공연 공간 ... 207
누선 공연 ... 209
풍몽정과 기표가 ... 212
장대 ... 214
도암몽억 ... 216
사교의 공간들 ... 219
부록 1 ... 223
부록 2 ... 231
곤극이란 ... 27
강남 지방에 유행한 가락들 ... 28
‘곤산강’은 어떠한 가락이었나 ... 32
위량보가 ‘곤곡’ 창법을 만들다 ... 33
무대에서 노래하는 ‘곤강’의 시대 ... 35
2. 서위와 월중파 ... 39
세상을 비웃은 광인 ... 41
네 가지의 기발한 이야기 ... 44
월나라 땅의 작가들 ... 50
3. 탕현조와 임천사몽 ... 55
천재적인 몽상가 ... 57
진정한 사랑을 꿈꾸다 ... 60
한바탕의 덧없는 꿈이라 ... 62
틀보다 맛과 멋이 먼저다 ... 65
4. 심경과 오강파 ... 71
소박한 원칙주의자 ... 73
교훈을 주는 이야기들 ... 76
오나라 땅의 작가들 ... 81
5. 이옥과 소주파 ... 87
시민 의식의 대변자 ... 89
의로운 시민들의 폭동 ... 94
소주 지방의 작가들 ... 96
6. 이어와 한정우기 ... 101
유쾌한 상업 작가 ... 103
열 가지의 재미난 이야기 ... 107
연극에 관해 쓴 호젓한 글 ... 112
7. 홍승과 장생전 ... 119
비운의 낭만주의자 ... 121
황제와 애첩의 이야기 ... 125
장생전에서 나눈 사랑 ... 130
8. 곤극의 음악 형식 ... 133
남곡과 북곡 ... 135
남희의 음악 ... 136
남희에서 전기로의 주요 변화 ... 139
곡패의 기능 ... 141
곡보와 운서 ... 143
공척보와 반주 악기 ... 147
9. 배역과 분장의 체계 ... 153
전통극의 공연 ... 155
배역의 분업화 ... 159
분장의 유형화 ... 163
10. 가정희반의 양성 ... 167
가정희반 ... 169
신사 계층의 극단주 ... 171
신시행 ... 172
전대 ... 173
반윤단 ... 174
도륭 ... 175
기표가 ... 175
이어의 특수성 ... 176
염상 계층의 극단주 ... 178
칠대내반 ... 179
황원덕 ... 181
강광달 ... 182
극단 후원의 파급 효과 ... 185
재정적 측면 ... 186
심미적, 양식적 측면 ... 187
11. 삽화본 희곡의 간행 ... 191
목판화 ... 193
삽화본 희곡 ... 195
금릉과 휘주 ... 198
항주와 소주 그리고 오흥 ... 200
간행의 동기 ... 203
12. 사교적 공연 공간 ... 207
누선 공연 ... 209
풍몽정과 기표가 ... 212
장대 ... 214
도암몽억 ... 216
사교의 공간들 ... 219
부록 1 ... 223
부록 2 ...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