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한자 교육과 한자학 = 9
1. 한자와 한자학 = 10
1) 한자의 탄생과 변화 = 10
2) 문자의 원의 = 22
3) 소학, 문자학, 한자학 = 24
2. 육서(六書)의 교육적 활용 = 29
1) 육서론 = 30
2) 육서의 명칭과 차례 = 32
3) 육서 이론의 교육적 활용 = 35
4) 육서설의 한계와 새 이론 = 40
3. 현대 한자학과 식자(識字) 교육 = 43
1) 현대 한자학 = 43
2) 식자교육 = 47
4. 교과서와 자원(字源) 교육 = 57
1)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 57
2) 중등학교 한문교과서 = 74
제2장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92
1. 한자 교육과 스키마 = 93
1) 스키마의 정의 및 특징 = 93
2) 한자ㆍ한문 스키마 = 96
2. 한자 교육과 문식성(文識性) = 102
1) 문식성의 정의 = 102
2) 한자ㆍ한문 문식성 = 103
3.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111
1) 구성주의 의미와 유형 = 111
2) 구성주의 교수ㆍ학습 이론 = 113
3)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121
4) 한문과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 131
제3장 구성주의 자원(字源) 학습법의 이론 = 142
1.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성격 = 143
1)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성격 = 144
2)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개념 = 146
2. 주체적 반성과 학습 원리 = 148
1) 한자 지식의 구성 = 149
2) 어휘 지식의 구성 = 155
3) 어휘사용 지식의 구성 = 158
4) 어휘 의미추론 지식의 구성 = 159
3. 통합적 경험과 학습 방법 = 160
1) 자형(字形)을 중심으로 한 학습 = 161
2) 자의(字義)를 중심으로 한 학습 = 165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모형 = 168
1) 자형 탐색과 시범 보이기 = 172
2) 자형 구성과 코칭 및 비계설정 = 177
3) 자의 추론과 반성적 사고 = 180
제4장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실제 = 185
1. 수업 내용의 선정 및 수업 과정 = 186
1) 수업 내용의 선정 = 186
2) 수업 과정 = 189
2.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연구 설계 = 196
1) 연구 문제 및 절차 = 197
2) 연구 대상 = 201
3) 수업 효과 측정 = 203
3.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실행 과정 = 204
1) 실행 절차 = 205
2) 수업 참여관찰 = 207
3) 학습자 면담 = 209
4) 내용의 분석 = 210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효과 분석 = 211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 216
2) 한자 이해 능력 = 217
3) 어휘 이해 능력 = 220
제5장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적용 = 227
1. 참여 관찰 = 228
1) 이미지 컷 대조하기 = 228
2) 비슷한 자형 찾기 = 233
3) 자형 변화 그려보기 = 236
4) 자의 추론하기 = 239
2. 학습자의 심층 면담 = 241
1) 배경 지식 = 242
2) 학습 반응 = 246
3) 한자 지식의 구성 = 249
3. 어휘 학습 자료 = 252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 실행의 의의 = 259
참고문헌 = 264
부록 1. 수업내용 전사(轉寫) 자료 = 279
부록 2. 심층면담 전사(轉寫) 자료 = 286
부록 3. 한자 자원(字源) 학습 활용자료 = 292
머리말 = 3
제1장 한자 교육과 한자학 = 9
1. 한자와 한자학 = 10
1) 한자의 탄생과 변화 = 10
2) 문자의 원의 = 22
3) 소학, 문자학, 한자학 = 24
2. 육서(六書)의 교육적 활용 = 29
1) 육서론 = 30
2) 육서의 명칭과 차례 = 32
3) 육서 이론의 교육적 활용 = 35
4) 육서설의 한계와 새 이론 = 40
3. 현대 한자학과 식자(識字) 교육 = 43
1) 현대 한자학 = 43
2) 식자교육 = 47
4. 교과서와 자원(字源) 교육 = 57
1)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 57
2) 중등학교 한문교과서 = 74
제2장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92
1. 한자 교육과 스키마 = 93
1) 스키마의 정의 및 특징 = 93
2) 한자ㆍ한문 스키마 = 96
2. 한자 교육과 문식성(文識性) = 102
1) 문식성의 정의 = 102
2) 한자ㆍ한문 문식성 = 103
3.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111
1) 구성주의 의미와 유형 = 111
2) 구성주의 교수ㆍ학습 이론 = 113
3) 한자 교육과 구성주의 = 121
4) 한문과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 131
제3장 구성주의 자원(字源) 학습법의 이론 = 142
1.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성격 = 143
1)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성격 = 144
2)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개념 = 146
2. 주체적 반성과 학습 원리 = 148
1) 한자 지식의 구성 = 149
2) 어휘 지식의 구성 = 155
3) 어휘사용 지식의 구성 = 158
4) 어휘 의미추론 지식의 구성 = 159
3. 통합적 경험과 학습 방법 = 160
1) 자형(字形)을 중심으로 한 학습 = 161
2) 자의(字義)를 중심으로 한 학습 = 165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모형 = 168
1) 자형 탐색과 시범 보이기 = 172
2) 자형 구성과 코칭 및 비계설정 = 177
3) 자의 추론과 반성적 사고 = 180
제4장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실제 = 185
1. 수업 내용의 선정 및 수업 과정 = 186
1) 수업 내용의 선정 = 186
2) 수업 과정 = 189
2.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연구 설계 = 196
1) 연구 문제 및 절차 = 197
2) 연구 대상 = 201
3) 수업 효과 측정 = 203
3.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실행 과정 = 204
1) 실행 절차 = 205
2) 수업 참여관찰 = 207
3) 학습자 면담 = 209
4) 내용의 분석 = 210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효과 분석 = 211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 216
2) 한자 이해 능력 = 217
3) 어휘 이해 능력 = 220
제5장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의 적용 = 227
1. 참여 관찰 = 228
1) 이미지 컷 대조하기 = 228
2) 비슷한 자형 찾기 = 233
3) 자형 변화 그려보기 = 236
4) 자의 추론하기 = 239
2. 학습자의 심층 면담 = 241
1) 배경 지식 = 242
2) 학습 반응 = 246
3) 한자 지식의 구성 = 249
3. 어휘 학습 자료 = 252
4. 구성주의 자원 학습법 실행의 의의 = 259
참고문헌 = 264
부록 1. 수업내용 전사(轉寫) 자료 = 279
부록 2. 심층면담 전사(轉寫) 자료 = 286
부록 3. 한자 자원(字源) 학습 활용자료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