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예비적 인식 = 1
제1절 역사에 대한 인식 = 1
1. 역사의 의미와 그 연구 방법 = 1
2. 한민족 교육사의 의미 = 4
제2절 한민족사ㆍ교육에 대한 의견 = 5
제2장 상고사회와 교육 = 45
제1절 총설 = 45
제2절 원시사회의 전개 = 47
1. 무리사회 = 47
2. 부락사회 = 51
3. 부락연맹체사회 = 54
제3절 고조선 사회 = 56
1. 고조선 사회 성립의 견해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56
2. 단군 기원과 역사서술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59
3. 고조선 건국의 민족사화 = 63
4. 고조선의 영토 = 68
5. 고조선의 통치지배체제 = 72
6. 기자ㆍ위만조선ㆍ한사군설치의 인식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75
7. 고조선의 문화 = 79
제4절 열국사회 = 81
1. 고조선의 붕괴와 열국사회의 전개 = 81
2. 부여(夫餘)사회 = 84
3. 유럽에서 본 부여의 흔적 = 87
4. 동예사회 = 90
5. 옥저사회 = 91
6. 한(韓)사회 = 93
제5절 상고사회와 교육 = 96
1. 단군개국(檀君開國) 민족사회와 홍익인간 = 96
2. 상고사회의 법과 교육 = 109
제3장 삼국ㆍ남북조사회와 교육 = 113
제1절 총설 = 113
제2절 삼국사회의 성립과 발전 = 115
1. 고구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 115
2. 백제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0
3. 신라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2
4. 가야 연맹사회의 흥망 = 124
제3절 남북조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5
1. 통일신라사회의 성립ㆍ발전 = 125
2. 발해사회의 성립ㆍ발전 = 127
제4절 삼국ㆍ남북조사회의 문화 = 129
1. 삼국의 문화 = 129
2.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 135
제5절 삼국사회와 교육 = 139
1. 고구려사회와 교육 = 139
2. 백제사회의 교육 = 143
3. 신라사회의 교육 = 144
제6절 남북조사회의 교육 = 156
1. 통일신라사회의 교육 = 156
2. 발해사회의 교육 = 161
3. 견당유학생 = 165
제7절 교육가 = 166
1. 원효(元曉; 서기617~686) = 166
2. 설총(薛聰;生沒未詳) = 169
3. 최치원(崔致遠 : 서기857~?) = 171
제4장 고려사회와 교육 = 175
제1절 총설 = 175
제2절 고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 177
1. 귀족사회의 성립과 조직 = 177
2. 귀족사회의 동요와 무신정권의 성립 = 181
3. 권문세족과 신진사류의 사회 = 184
제3절 불교문화의 인식 = 189
1. 고려 불교의 성격 = 189
2. 불교계의 발전 = 191
3. 불교의 비형식적 교육의 전개 = 194
4. 승정제도-승과(僧科)의 고시제도 = 196
제4절 유교문화의 인식 = 197
1. 유교정치와 유교문화 = 197
2. 신진사류=성리학자의 성장 = 201
3. 성리학의 수용과 문화 = 202
제5절 관학(官學)의 발달 = 206
1. 건국 초기의 교육 = 206
2. 유경습업(留京習業)과 권학관(勸學官) 제도 = 207
3. 국자감(國子監) = 208
4. 향교(鄕校) = 211
5. 학당(東ㆍ西學堂→五部學堂) = 213
제6절 사학(私學)의 발달 = 213
1. 십이도(十二徒) = 213
2. 서당(書堂) = 216
제7절 과거제도와 교육 = 216
1. 과거제도(科擧制度) = 216
2. 과거제도와 교육 = 218
제8절 교육가 = 219
1. 지눌(知訥;서기 1158~1210 : 의종 12~희종 6) = 219
2. 안향(安珦;서기 1243~1306) = 224
3. 이색(李穡;서기 1328~1396) = 226
제5장 조선사회와 교육 = 229
제1절 총설 = 229
제2절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 232
1. 조선사회의 성립과 사대부 국가체제의 완성 = 232
2. 지배계층의 변화 = 235
3. 조선사회의 계층구조 = 243
제3절 조선사회의 문화 = 247
1. 양반관료사회의 문화 = 247
2. 사림(士林)사회의 문화 = 253
3. 중인ㆍ평민사회의 문화 = 256
제4절 교육제도 = 261
1. 성균관(成均館) = 261
2. 사부학당(四部學堂, 四學) = 268
3. 향교(鄕校) = 271
4. 서원(書院) = 282
5. 서당(書堂) = 291
6. 잡과교육(雜科敎育) = 294
7. 종학(宗學) = 295
제5절 과거제도와 학교교육 = 296
1. 과거제도의 개관 = 297
2. 과거와 학교교육 = 302
제6절 한글 창제와 교육 = 304
1. 한글의 창제(創制) 및 반포의 경위 = 304
2. 한글 창제의 교육사적 의의 = 307
제7절 교육적 관행 = 309
1. 향음주례(鄕飮酒禮) = 309
2. 강의(講義) = 311
제8절 사회교화 = 313
1. 향교의 교화사업 = 313
2. 『소학(小學)의』 사회교화 = 314
3. 향약(鄕約)의 사회교화 = 320
제9절 관혼상제와 교육 = 330
1. 전통적 관ㆍ혼ㆍ상ㆍ제의 의의와 형성과정 = 330
2. 관ㆍ혼ㆍ상ㆍ제 개관 = 332
3. 관혼상제의 교육적 의미 = 353
제10절 성리학의 발전과 교육 = 357
1. 성리학의 의미 = 357
2. 성리학의 발전 = 357
3. 심성론과 예학의 발달 = 361
4. 성리학의 교육적 인식 = 367
제11절 실학사상과 교육 = 368
1. 실학의 개념 = 368
2. 실학의 의의와 성격 = 370
3. 실학사상의 형성 = 373
4. 실학사상의 전개 = 377
5. 실학사상과 교육 = 383
제12절 동학사상과 교육 = 384
1. 동학 발생의 배경 = 384
2. 동학(東學)의 발생과 그 근본사상 = 386
3. 동학의 교육사상 = 389
제13절 교육가 = 392
1. 권근(權近;서기1352~1409, 공민왕 1~태종 9) = 392
2. 정극인(丁克仁;서기1401~1481, 태종 1~성종 12) = 395
3. 이황(李滉;서기1501~1570, 연산군 7~선조 3) = 396
4. 김인후(金麟厚;서기1510~1560 : 중종 5~명종 15) = 400
5. 기대승(奇大升, 서기1527~1572;중종22~선조5) = 405
6. 이이(李珥;서기1536~1584, 중종 31~선조 17) = 408
7. 유형원(柳馨遠;서기1622~1673:광해군 14~현종) = 413
8. 이익(李瀷;서기1681~1763:숙종 7~영조 39) = 416
9. 안정복(安鼎福;서기1712~1791;숙종 38~정조 15) = 419
10. 정약용(丁若鏞;서기1762~1836 : 영조 38~헌종 2) = 433
제6장 서세동점기 사회와 교육 = 437
제1절 총설 = 437
제2절 대원군의 개혁과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 = 439
1. 대원군(大院君)의 등장 = 439
2. 대원군의 개혁정치 = 440
3.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과 천주교 탄압 = 441
4. 양요(洋擾)와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의 강화 = 442
제3절 고종의 개화정책과 그 반발 = 443
1. 고종의 개화정책과 통상정책(서기 1873-1886) = 443
2. 개항 = 444
3. 개화정책의 추진 = 447
4. 위정척사파의 반발 = 448
제4절 개화와 보수의 갈등 = 449
1. 임오군란(壬午軍亂) = 449
2. 갑신정변 = 451
제5절 교육사상의 대립 = 453
1. 개화사상 = 453
2. 위정척사사상 = 460
제6절 근대학교의 성립과정 = 469
1. 최초의 근대학교 = 469
2. 정부가 설립한 근대학교(관학) = 470
3. 선교사가 설립한 근대학교 = 472
4. 민족선각자가 설립한 근대학교 = 477
제7절 갑오개혁과 근대적 교육제도의 확립 = 480
1. 갑오개혁 = 480
2. 갑오개혁과 교육 = 481
3. 교육조서(敎育詔書)와 그 교육사적 의의 = 483
4. 신학제에 의한 근대학교 = 485
제8절 독립협회와 교육활동 = 487
1. 독립협회의 창립배경 = 487
2. 독립협회의 창립과 그 발전 = 489
3. 독립협회의 활동 = 496
4. 독립협회의 교육활동 = 500
제9절 주권침해기의 교육 = 510
1. 주권침해기의 상황 = 510
2. 통감부의 교육정책과 실제 = 512
3. 교육구국운동 = 516
제10절 신민회와 민족교육운동 = 518
1. 신민회의 창립과정 = 518
2. 신민회의 조직체계와 해체 = 521
3. 신민회의 민족교육 활동 = 524
제11절 교육가 = 535
1. 최한기(崔漢綺;서기 1803~1877) = 535
2. 최익현(崔益鉉; 서기 1833~1906) = 538
3. 유길준(兪吉濬; 서기 1856~1914) = 544
4. 박은식(朴殷植; 서기 1859~1925) = 549
제7장 주권상실기 사회와 교육 = 559
제1절 총설 = 559
제2절 일제의 교육침략 전개과정 = 561
1. 식민지교육의 추진기 = 561
2. 식민지교육의 본격화기 = 566
3. 소위 황민화(皇民化) 교육정책기 = 568
제3절 3ㆍ1독립운동과 교육계의 참여 = 572
제4절 민립대학 설립운동 = 584
제5절 흥동장학계와 그 활동 = 588
1. 흥동장학계의 설립연혁 = 588
2. 흥동장학계 계칙과 계원 명단 = 590
제6절 노동야학회와 문자보급운동 = 592
제7절 호남의 부호와 민족사학 = 598
1. 김성수(서기 1891~1955)와 중앙중ㆍ보성전문 = 599
2. 고창지방의 부호들과 고창고보의 설립 = 610
3. 문재철(서기 1883~1955)과 문태중학교 = 615
4. 현준호(玄俊鎬; 서기 1889~1950)와 민족을 위한 교육활동 = 621
5. 김종익(金鐘翊; 서기 1886~1937)과 민족을 위한 교육사업 = 626
제8절 신간회와 교육 = 631
1. 신간회의 성립배경 = 631
2. 신간회의 창립경과 = 633
3. 신간회의 민족교육활동 = 637
4. 신간회의 분열ㆍ해소(解消) 및 교육사적 의의 = 643
제9절 민족교육과 학생운동 = 645
1. 서설 = 645
2. 6ㆍ10 만세학생운동 = 647
3. 광주학생운동 = 655
4. 비밀결사운동: 독서회 = 661
제10절 교육가 = 667
1. 남궁 억(서기南宮檍; 서기1863~1939) = 667
2. 안창호(安昌浩; 서기1878~1938) = 671
3. 이승훈(李昇薰;서기1864~1930) = 675
제8장 8ㆍ15광복ㆍ미 군정기 사회와 교육 = 685
1. 8ㆍ15전후의 상황과 미군정 = 685
2. 미군정기 사회와 교육 = 690
3. 미군정의 교육조치 실제 = 697
제9장 제1ㆍ2공화국 사회와 교육 = 713
제1절 총설 = 713
제2절 대한민국 성립과 발전 = 715
제3절 제헌헌법 전문의 기본정신 = 717
제4절 교육에 관한 헌법과 법의 준거 = 720
1. 교육에 관한 헌법의 준거와 그 문제점 = 720
2. 교육에 관한 교육법의 준거와 그 문제점 = 724
제5절 교육의 방황과 그 반성 = 728
1. 교육의 반성 = 735
제10장 5ㆍ16군사 쿠데타 세력 집권 하의 사회와 교육 = 737
제1절 총설 = 737
제2절 5ㆍ16 군사 쿠데타 군정기 사회와 교육 = 741
1. 5ㆍ16 군사쿠데타와 군정의 인식 = 741
2. 5ㆍ16군사 쿠데타 군정기 사회의 교육 = 742
제3절 제3공화국과 교육 = 749
1. 제3공화국(서기 1963.12~1972.10)의 인식 = 749
2. 제3공화국 사회와 교육 = 751
제4절 유신체제와 교육 = 759
1. 유신체제(維新體制)-제4공화국(서기1972.10~1979.10)의 인식 = 759
2. 유신체제기의 교육 = 760
제11장 신군부 쿠데타 세력 주도 하의 사회와 교육 = 765
제1절 총설 = 765
제2절 7.30 교육개혁 = 771
제3절 제5공 정권의 주요 문교시책의 개관 = 780
1. 중학교 의무교육실시 = 780
2. 교육세법 제정 = 781
3. 영재교육(英才敎育) = 781
4. 특수교육의 진흥 = 781
5. 유아교육의 진흥과 확충 = 782
제4절 사학의 활성화를 위한 전의 = 783
제5절 교육개혁 심의를 위한 노력 = 784
제6절 민주화 운동 후의 교육 = 786
1. 민주화 운동과 그 결과 = 786
2. 민주화 운동 후의 교육 = 788
제12장 문민ㆍ국민ㆍ참여 정부사회와 교육 = 799
제1절 총설 = 799
제2절 문민정부와 교육 = 800
1. 문민정부의 인식(서기 1993.2~1998.2) = 800
2. 문민정부의 교육정책 = 802
제3절 국민정부와 교육 = 804
1. 국민정부의 인식(서기 1998.2.25~2003.2.24) = 804
2. 국민정부의 교육정책 = 805
제4절 참여정부와 교육 = 807
1. 참여정부의 인식(서기 2003.2.25~2008.2.24) = 807
2. 참여정부의 교육정책 = 817
제13장 북한 사회와 교육 = 821
제1절 총설 = 821
제2절 소련군의 북한진주와 대북한정책 = 823
1. 소련군의 북한진주 = 823
2. 군정기구 = 824
3. 대북한정책의 형성 = 826
4. 소군정기의 교육 = 830
제3절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과 그 발전 = 833
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 = 833
2. 북한의 남침; 6ㆍ25 한국전쟁 = 835
3. 서기 1950년대 권력 강화와 사회주의 정책 = 837
4. 서기 1960~70년대 북한의 변화 = 839
5. 서기 1980~1990년대 북한의 변화 = 842
제4절 북한의 교육이념과 목표 = 846
1. 북한의 교육과 이념에 대한 헌법의 태도 = 846
2. 북한의 교육이념과 목적 = 848
제5절 북한교육제도의 변천과정 = 852
1. 사회주의 교육 시도기(서기 1945~1950) = 853
2. 사회주의 교육기반 수립기(서기 1954~1960) = 854
3. 사회주의 교육 확산기(서기 1961~1970) = 856
4. 사회주의 교육강화ㆍ주체적 교육 수립기(서기 1971~1977) = 857
5. 주체적 교육심화기(서기 1978~1984) = 859
제14장 재중한민족 사회와 교육 = 863
제1절 총설 = 863
제2절 재중한민족 이주과정 = 864
1. 청대의 이주 = 865
2. 중화민국ㆍ일제 통치기의 이주 = 871
제3절 정착ㆍ시련기의 교육 = 877
1. 서당교육 = 878
2. 민족사학의 성립과 그 발전 = 879
3. 상해지역 한민족교육 = 883
4. 상해임시정부의 민족교육운동 = 885
제4절 수난기의 교육 = 891
1.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 = 891
2. '신학제'의 실시 = 894
3. 전시체제하의 교육 = 895
4. 항일 유격 지역의 한민족 교육 = 896
5. 항일 민족교육운동 = 897
제5절 광복기의 교육 = 898
1. 중공의 교육정책 = 898
2. 교육의 상황 = 900
3. 고급인재 양성과 교육 = 903
4. 한민족 교사진의 형성과 그 발전 = 904
5. 어문교육과 교재편찬 = 905
6. 민족고등교육의 형성 = 906
제6절 발전기의 교육 = 908
1. 교육정책 = 908
2. 민족교육정책 = 910
3. 중ㆍ소학교의 교육 = 911
4. 교원양성교육 = 913
5. 중등전문교육 = 914
6. 고등교육 = 915
7. 성인교육 = 919
제7절 좌절기의 교육 = 920
1. 민족정책의 유린 = 921
2. 조선족의 고등교육 파괴와 유린 = 922
3. 중등전문ㆍ기술교육의 파괴와 유린 = 923
4. 중ㆍ소학교교육의 파괴와 유린 = 923
5. 조선어문 교육의 파괴 = 925
제8절 재발전기의 교육 = 927
1. 국가의 교육방침과 정책 = 927
2. 민족교육의 방침과 임무 = 928
3. 유아교육 = 930
4. 초ㆍ중등교육 = 932
5. 교원 양성과 교원교육 = 935
6. 중등전문교육과 직업기술교육 = 937
7. 고등교육 = 942
8. 성인교육 = 947
9. 교육재정 = 950
제9절 교육가 = 952
1. 김약연(金躍淵, 서기 1868~1942) = 952
2. 이상설(李相卨, 서기 1870~1917) = 964
3. 신채호(서기 1880~1936) = 982
4. 이동녕(李東寧; 서기 1869~1940) = 997
5. 이동휘(李東輝 : 1873~1935) = 1006
6. 이동춘(李同春 : 서기 1872~1940) = 1015
제15장 재러 한민족 사회와 교육 = 1021
제1절 총설 = 1021
제2절 이주과정 = 1023
1. 극동으로의 이주 = 1023
2. 극동에서 중앙아세아로의 강제이주(서기1937~1938) = 1029
3. 한민족 이주민의 중앙아세아 개발 = 1040
4. 중앙아세아에서 연해주로의 재이주 = 1044
제3절 한민족 이주민의 경제활동 = 1049
1. 극동에서의 경제활동 = 1049
제4절 제2차 세계 대전과 한민족 이주민 사회 = 1052
1. 제2차 세계 대전기간 한민족 이주민의 상황 = 1052
2. 제2차 세계 대전 후 한민족 이주민 사회의 생활 = 1056
제5절 한민족 이주민의 문화 = 1065
1. 의식주 = 1065
2. 관습 = 1068
3. 언어와 언어교육 = 1068
제6절 이주 초기의 교육 = 1072
제7절 한민족 이주민의 의식변화와 민족교육의 시작 = 1077
제8절 결사단체와 민족교육운동 = 1083
1.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성립과 민족교육운동 = 1084
2. 권업회(勸業會)의 성립과 민족교육운동 = 1087
제16장 재일 한민족 사회와 교육 = 1095
제1절 총설 = 1095
1. 서설 = 1095
2. 광복 후 민족교육운동과 그 제한 = 1096
3. 한ㆍ일 조약 이후의 재일 한민족 교육에 대한 규제 = 1101
제2절 재일 한민족의 이주과정 = 1104
1. 토지조사사업기(土地調査事業期 : 서기 1910~1918) = 1105
2. 산미증식계획기(産米增殖計劃期 : 서기 1921~1930) = 1107
3. 일제의 중국대륙 침략기(中國大陸侵略期 : 서기 1931~1938) = 1109
4. 전시체제기(戰時體制期 : 서기 1939~1945) = 1110
제3절 재일 한민족 유학생과 그 활동 = 1115
1. 도일 유학의 연혁 = 1115
2. 도일 유학생의 학생운동 단체 = 1120
3. 도일유학생과 2ㆍ8독립선언 = 1123
4. 재일유학생과 2ㆍ8독립선언 이후의 운동 = 1133
제4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일 한민족의 상황 = 1137
1. 종전 직후의 인구상황 = 1137
2. 그 후의 인구상황 = 1138
3. 재일 한민족의 귀화(歸化) = 1140
제5절 제2차 세계 대전후 재일 한민족 사회의 분열과 대립 = 1142
1. 광복 직후 한민족 사회의 상황 = 1142
2. 재일 대한민국거류민단과 그 활동 = 1146
3. 재일 조선인총연합회와 그 활동 = 1153
제6절 재일 한민족과 교육 = 1155
1. 서설 = 1155
2. 광복 후 민족교육운동과 그 제한 = 1156
3. 한ㆍ일 조약이후의 재일 한민족 교육에 대한 규제 = 1161
제7절 민단과 민족교육 = 1164
1. 연혁 = 1164
2. 교육목표와 방침 = 1166
3. 교육내용 = 1168
4. 민단의 50시간 의무교육 = 1172
제8절 조총련과 민족교육 = 1174
1. 조총련과 교육사업 = 1174
2. 조총련의 교육목적ㆍ방침ㆍ내용 = 1176
3. 조선대학(朝鮮大學) = 1180
제9절 일본인 학교 교포 자녀 취학 현황 = 1181
1. 취학 현황 = 1181
2. 일본인 학교내의 '민족교실' = 1182
3. 한일협정 후 일본 당국의 조치 = 1185
찾아보기 = 1187
제1절 역사에 대한 인식 = 1
1. 역사의 의미와 그 연구 방법 = 1
2. 한민족 교육사의 의미 = 4
제2절 한민족사ㆍ교육에 대한 의견 = 5
제2장 상고사회와 교육 = 45
제1절 총설 = 45
제2절 원시사회의 전개 = 47
1. 무리사회 = 47
2. 부락사회 = 51
3. 부락연맹체사회 = 54
제3절 고조선 사회 = 56
1. 고조선 사회 성립의 견해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56
2. 단군 기원과 역사서술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59
3. 고조선 건국의 민족사화 = 63
4. 고조선의 영토 = 68
5. 고조선의 통치지배체제 = 72
6. 기자ㆍ위만조선ㆍ한사군설치의 인식에 대한 반성과 재인식 = 75
7. 고조선의 문화 = 79
제4절 열국사회 = 81
1. 고조선의 붕괴와 열국사회의 전개 = 81
2. 부여(夫餘)사회 = 84
3. 유럽에서 본 부여의 흔적 = 87
4. 동예사회 = 90
5. 옥저사회 = 91
6. 한(韓)사회 = 93
제5절 상고사회와 교육 = 96
1. 단군개국(檀君開國) 민족사회와 홍익인간 = 96
2. 상고사회의 법과 교육 = 109
제3장 삼국ㆍ남북조사회와 교육 = 113
제1절 총설 = 113
제2절 삼국사회의 성립과 발전 = 115
1. 고구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 115
2. 백제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0
3. 신라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2
4. 가야 연맹사회의 흥망 = 124
제3절 남북조사회의 성립과 발전 = 125
1. 통일신라사회의 성립ㆍ발전 = 125
2. 발해사회의 성립ㆍ발전 = 127
제4절 삼국ㆍ남북조사회의 문화 = 129
1. 삼국의 문화 = 129
2.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 135
제5절 삼국사회와 교육 = 139
1. 고구려사회와 교육 = 139
2. 백제사회의 교육 = 143
3. 신라사회의 교육 = 144
제6절 남북조사회의 교육 = 156
1. 통일신라사회의 교육 = 156
2. 발해사회의 교육 = 161
3. 견당유학생 = 165
제7절 교육가 = 166
1. 원효(元曉; 서기617~686) = 166
2. 설총(薛聰;生沒未詳) = 169
3. 최치원(崔致遠 : 서기857~?) = 171
제4장 고려사회와 교육 = 175
제1절 총설 = 175
제2절 고려사회의 성립과 발전 = 177
1. 귀족사회의 성립과 조직 = 177
2. 귀족사회의 동요와 무신정권의 성립 = 181
3. 권문세족과 신진사류의 사회 = 184
제3절 불교문화의 인식 = 189
1. 고려 불교의 성격 = 189
2. 불교계의 발전 = 191
3. 불교의 비형식적 교육의 전개 = 194
4. 승정제도-승과(僧科)의 고시제도 = 196
제4절 유교문화의 인식 = 197
1. 유교정치와 유교문화 = 197
2. 신진사류=성리학자의 성장 = 201
3. 성리학의 수용과 문화 = 202
제5절 관학(官學)의 발달 = 206
1. 건국 초기의 교육 = 206
2. 유경습업(留京習業)과 권학관(勸學官) 제도 = 207
3. 국자감(國子監) = 208
4. 향교(鄕校) = 211
5. 학당(東ㆍ西學堂→五部學堂) = 213
제6절 사학(私學)의 발달 = 213
1. 십이도(十二徒) = 213
2. 서당(書堂) = 216
제7절 과거제도와 교육 = 216
1. 과거제도(科擧制度) = 216
2. 과거제도와 교육 = 218
제8절 교육가 = 219
1. 지눌(知訥;서기 1158~1210 : 의종 12~희종 6) = 219
2. 안향(安珦;서기 1243~1306) = 224
3. 이색(李穡;서기 1328~1396) = 226
제5장 조선사회와 교육 = 229
제1절 총설 = 229
제2절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 232
1. 조선사회의 성립과 사대부 국가체제의 완성 = 232
2. 지배계층의 변화 = 235
3. 조선사회의 계층구조 = 243
제3절 조선사회의 문화 = 247
1. 양반관료사회의 문화 = 247
2. 사림(士林)사회의 문화 = 253
3. 중인ㆍ평민사회의 문화 = 256
제4절 교육제도 = 261
1. 성균관(成均館) = 261
2. 사부학당(四部學堂, 四學) = 268
3. 향교(鄕校) = 271
4. 서원(書院) = 282
5. 서당(書堂) = 291
6. 잡과교육(雜科敎育) = 294
7. 종학(宗學) = 295
제5절 과거제도와 학교교육 = 296
1. 과거제도의 개관 = 297
2. 과거와 학교교육 = 302
제6절 한글 창제와 교육 = 304
1. 한글의 창제(創制) 및 반포의 경위 = 304
2. 한글 창제의 교육사적 의의 = 307
제7절 교육적 관행 = 309
1. 향음주례(鄕飮酒禮) = 309
2. 강의(講義) = 311
제8절 사회교화 = 313
1. 향교의 교화사업 = 313
2. 『소학(小學)의』 사회교화 = 314
3. 향약(鄕約)의 사회교화 = 320
제9절 관혼상제와 교육 = 330
1. 전통적 관ㆍ혼ㆍ상ㆍ제의 의의와 형성과정 = 330
2. 관ㆍ혼ㆍ상ㆍ제 개관 = 332
3. 관혼상제의 교육적 의미 = 353
제10절 성리학의 발전과 교육 = 357
1. 성리학의 의미 = 357
2. 성리학의 발전 = 357
3. 심성론과 예학의 발달 = 361
4. 성리학의 교육적 인식 = 367
제11절 실학사상과 교육 = 368
1. 실학의 개념 = 368
2. 실학의 의의와 성격 = 370
3. 실학사상의 형성 = 373
4. 실학사상의 전개 = 377
5. 실학사상과 교육 = 383
제12절 동학사상과 교육 = 384
1. 동학 발생의 배경 = 384
2. 동학(東學)의 발생과 그 근본사상 = 386
3. 동학의 교육사상 = 389
제13절 교육가 = 392
1. 권근(權近;서기1352~1409, 공민왕 1~태종 9) = 392
2. 정극인(丁克仁;서기1401~1481, 태종 1~성종 12) = 395
3. 이황(李滉;서기1501~1570, 연산군 7~선조 3) = 396
4. 김인후(金麟厚;서기1510~1560 : 중종 5~명종 15) = 400
5. 기대승(奇大升, 서기1527~1572;중종22~선조5) = 405
6. 이이(李珥;서기1536~1584, 중종 31~선조 17) = 408
7. 유형원(柳馨遠;서기1622~1673:광해군 14~현종) = 413
8. 이익(李瀷;서기1681~1763:숙종 7~영조 39) = 416
9. 안정복(安鼎福;서기1712~1791;숙종 38~정조 15) = 419
10. 정약용(丁若鏞;서기1762~1836 : 영조 38~헌종 2) = 433
제6장 서세동점기 사회와 교육 = 437
제1절 총설 = 437
제2절 대원군의 개혁과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 = 439
1. 대원군(大院君)의 등장 = 439
2. 대원군의 개혁정치 = 440
3.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과 천주교 탄압 = 441
4. 양요(洋擾)와 서구에 대한 배타적 정책의 강화 = 442
제3절 고종의 개화정책과 그 반발 = 443
1. 고종의 개화정책과 통상정책(서기 1873-1886) = 443
2. 개항 = 444
3. 개화정책의 추진 = 447
4. 위정척사파의 반발 = 448
제4절 개화와 보수의 갈등 = 449
1. 임오군란(壬午軍亂) = 449
2. 갑신정변 = 451
제5절 교육사상의 대립 = 453
1. 개화사상 = 453
2. 위정척사사상 = 460
제6절 근대학교의 성립과정 = 469
1. 최초의 근대학교 = 469
2. 정부가 설립한 근대학교(관학) = 470
3. 선교사가 설립한 근대학교 = 472
4. 민족선각자가 설립한 근대학교 = 477
제7절 갑오개혁과 근대적 교육제도의 확립 = 480
1. 갑오개혁 = 480
2. 갑오개혁과 교육 = 481
3. 교육조서(敎育詔書)와 그 교육사적 의의 = 483
4. 신학제에 의한 근대학교 = 485
제8절 독립협회와 교육활동 = 487
1. 독립협회의 창립배경 = 487
2. 독립협회의 창립과 그 발전 = 489
3. 독립협회의 활동 = 496
4. 독립협회의 교육활동 = 500
제9절 주권침해기의 교육 = 510
1. 주권침해기의 상황 = 510
2. 통감부의 교육정책과 실제 = 512
3. 교육구국운동 = 516
제10절 신민회와 민족교육운동 = 518
1. 신민회의 창립과정 = 518
2. 신민회의 조직체계와 해체 = 521
3. 신민회의 민족교육 활동 = 524
제11절 교육가 = 535
1. 최한기(崔漢綺;서기 1803~1877) = 535
2. 최익현(崔益鉉; 서기 1833~1906) = 538
3. 유길준(兪吉濬; 서기 1856~1914) = 544
4. 박은식(朴殷植; 서기 1859~1925) = 549
제7장 주권상실기 사회와 교육 = 559
제1절 총설 = 559
제2절 일제의 교육침략 전개과정 = 561
1. 식민지교육의 추진기 = 561
2. 식민지교육의 본격화기 = 566
3. 소위 황민화(皇民化) 교육정책기 = 568
제3절 3ㆍ1독립운동과 교육계의 참여 = 572
제4절 민립대학 설립운동 = 584
제5절 흥동장학계와 그 활동 = 588
1. 흥동장학계의 설립연혁 = 588
2. 흥동장학계 계칙과 계원 명단 = 590
제6절 노동야학회와 문자보급운동 = 592
제7절 호남의 부호와 민족사학 = 598
1. 김성수(서기 1891~1955)와 중앙중ㆍ보성전문 = 599
2. 고창지방의 부호들과 고창고보의 설립 = 610
3. 문재철(서기 1883~1955)과 문태중학교 = 615
4. 현준호(玄俊鎬; 서기 1889~1950)와 민족을 위한 교육활동 = 621
5. 김종익(金鐘翊; 서기 1886~1937)과 민족을 위한 교육사업 = 626
제8절 신간회와 교육 = 631
1. 신간회의 성립배경 = 631
2. 신간회의 창립경과 = 633
3. 신간회의 민족교육활동 = 637
4. 신간회의 분열ㆍ해소(解消) 및 교육사적 의의 = 643
제9절 민족교육과 학생운동 = 645
1. 서설 = 645
2. 6ㆍ10 만세학생운동 = 647
3. 광주학생운동 = 655
4. 비밀결사운동: 독서회 = 661
제10절 교육가 = 667
1. 남궁 억(서기南宮檍; 서기1863~1939) = 667
2. 안창호(安昌浩; 서기1878~1938) = 671
3. 이승훈(李昇薰;서기1864~1930) = 675
제8장 8ㆍ15광복ㆍ미 군정기 사회와 교육 = 685
1. 8ㆍ15전후의 상황과 미군정 = 685
2. 미군정기 사회와 교육 = 690
3. 미군정의 교육조치 실제 = 697
제9장 제1ㆍ2공화국 사회와 교육 = 713
제1절 총설 = 713
제2절 대한민국 성립과 발전 = 715
제3절 제헌헌법 전문의 기본정신 = 717
제4절 교육에 관한 헌법과 법의 준거 = 720
1. 교육에 관한 헌법의 준거와 그 문제점 = 720
2. 교육에 관한 교육법의 준거와 그 문제점 = 724
제5절 교육의 방황과 그 반성 = 728
1. 교육의 반성 = 735
제10장 5ㆍ16군사 쿠데타 세력 집권 하의 사회와 교육 = 737
제1절 총설 = 737
제2절 5ㆍ16 군사 쿠데타 군정기 사회와 교육 = 741
1. 5ㆍ16 군사쿠데타와 군정의 인식 = 741
2. 5ㆍ16군사 쿠데타 군정기 사회의 교육 = 742
제3절 제3공화국과 교육 = 749
1. 제3공화국(서기 1963.12~1972.10)의 인식 = 749
2. 제3공화국 사회와 교육 = 751
제4절 유신체제와 교육 = 759
1. 유신체제(維新體制)-제4공화국(서기1972.10~1979.10)의 인식 = 759
2. 유신체제기의 교육 = 760
제11장 신군부 쿠데타 세력 주도 하의 사회와 교육 = 765
제1절 총설 = 765
제2절 7.30 교육개혁 = 771
제3절 제5공 정권의 주요 문교시책의 개관 = 780
1. 중학교 의무교육실시 = 780
2. 교육세법 제정 = 781
3. 영재교육(英才敎育) = 781
4. 특수교육의 진흥 = 781
5. 유아교육의 진흥과 확충 = 782
제4절 사학의 활성화를 위한 전의 = 783
제5절 교육개혁 심의를 위한 노력 = 784
제6절 민주화 운동 후의 교육 = 786
1. 민주화 운동과 그 결과 = 786
2. 민주화 운동 후의 교육 = 788
제12장 문민ㆍ국민ㆍ참여 정부사회와 교육 = 799
제1절 총설 = 799
제2절 문민정부와 교육 = 800
1. 문민정부의 인식(서기 1993.2~1998.2) = 800
2. 문민정부의 교육정책 = 802
제3절 국민정부와 교육 = 804
1. 국민정부의 인식(서기 1998.2.25~2003.2.24) = 804
2. 국민정부의 교육정책 = 805
제4절 참여정부와 교육 = 807
1. 참여정부의 인식(서기 2003.2.25~2008.2.24) = 807
2. 참여정부의 교육정책 = 817
제13장 북한 사회와 교육 = 821
제1절 총설 = 821
제2절 소련군의 북한진주와 대북한정책 = 823
1. 소련군의 북한진주 = 823
2. 군정기구 = 824
3. 대북한정책의 형성 = 826
4. 소군정기의 교육 = 830
제3절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과 그 발전 = 833
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 = 833
2. 북한의 남침; 6ㆍ25 한국전쟁 = 835
3. 서기 1950년대 권력 강화와 사회주의 정책 = 837
4. 서기 1960~70년대 북한의 변화 = 839
5. 서기 1980~1990년대 북한의 변화 = 842
제4절 북한의 교육이념과 목표 = 846
1. 북한의 교육과 이념에 대한 헌법의 태도 = 846
2. 북한의 교육이념과 목적 = 848
제5절 북한교육제도의 변천과정 = 852
1. 사회주의 교육 시도기(서기 1945~1950) = 853
2. 사회주의 교육기반 수립기(서기 1954~1960) = 854
3. 사회주의 교육 확산기(서기 1961~1970) = 856
4. 사회주의 교육강화ㆍ주체적 교육 수립기(서기 1971~1977) = 857
5. 주체적 교육심화기(서기 1978~1984) = 859
제14장 재중한민족 사회와 교육 = 863
제1절 총설 = 863
제2절 재중한민족 이주과정 = 864
1. 청대의 이주 = 865
2. 중화민국ㆍ일제 통치기의 이주 = 871
제3절 정착ㆍ시련기의 교육 = 877
1. 서당교육 = 878
2. 민족사학의 성립과 그 발전 = 879
3. 상해지역 한민족교육 = 883
4. 상해임시정부의 민족교육운동 = 885
제4절 수난기의 교육 = 891
1.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 = 891
2. '신학제'의 실시 = 894
3. 전시체제하의 교육 = 895
4. 항일 유격 지역의 한민족 교육 = 896
5. 항일 민족교육운동 = 897
제5절 광복기의 교육 = 898
1. 중공의 교육정책 = 898
2. 교육의 상황 = 900
3. 고급인재 양성과 교육 = 903
4. 한민족 교사진의 형성과 그 발전 = 904
5. 어문교육과 교재편찬 = 905
6. 민족고등교육의 형성 = 906
제6절 발전기의 교육 = 908
1. 교육정책 = 908
2. 민족교육정책 = 910
3. 중ㆍ소학교의 교육 = 911
4. 교원양성교육 = 913
5. 중등전문교육 = 914
6. 고등교육 = 915
7. 성인교육 = 919
제7절 좌절기의 교육 = 920
1. 민족정책의 유린 = 921
2. 조선족의 고등교육 파괴와 유린 = 922
3. 중등전문ㆍ기술교육의 파괴와 유린 = 923
4. 중ㆍ소학교교육의 파괴와 유린 = 923
5. 조선어문 교육의 파괴 = 925
제8절 재발전기의 교육 = 927
1. 국가의 교육방침과 정책 = 927
2. 민족교육의 방침과 임무 = 928
3. 유아교육 = 930
4. 초ㆍ중등교육 = 932
5. 교원 양성과 교원교육 = 935
6. 중등전문교육과 직업기술교육 = 937
7. 고등교육 = 942
8. 성인교육 = 947
9. 교육재정 = 950
제9절 교육가 = 952
1. 김약연(金躍淵, 서기 1868~1942) = 952
2. 이상설(李相卨, 서기 1870~1917) = 964
3. 신채호(서기 1880~1936) = 982
4. 이동녕(李東寧; 서기 1869~1940) = 997
5. 이동휘(李東輝 : 1873~1935) = 1006
6. 이동춘(李同春 : 서기 1872~1940) = 1015
제15장 재러 한민족 사회와 교육 = 1021
제1절 총설 = 1021
제2절 이주과정 = 1023
1. 극동으로의 이주 = 1023
2. 극동에서 중앙아세아로의 강제이주(서기1937~1938) = 1029
3. 한민족 이주민의 중앙아세아 개발 = 1040
4. 중앙아세아에서 연해주로의 재이주 = 1044
제3절 한민족 이주민의 경제활동 = 1049
1. 극동에서의 경제활동 = 1049
제4절 제2차 세계 대전과 한민족 이주민 사회 = 1052
1. 제2차 세계 대전기간 한민족 이주민의 상황 = 1052
2. 제2차 세계 대전 후 한민족 이주민 사회의 생활 = 1056
제5절 한민족 이주민의 문화 = 1065
1. 의식주 = 1065
2. 관습 = 1068
3. 언어와 언어교육 = 1068
제6절 이주 초기의 교육 = 1072
제7절 한민족 이주민의 의식변화와 민족교육의 시작 = 1077
제8절 결사단체와 민족교육운동 = 1083
1.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성립과 민족교육운동 = 1084
2. 권업회(勸業會)의 성립과 민족교육운동 = 1087
제16장 재일 한민족 사회와 교육 = 1095
제1절 총설 = 1095
1. 서설 = 1095
2. 광복 후 민족교육운동과 그 제한 = 1096
3. 한ㆍ일 조약 이후의 재일 한민족 교육에 대한 규제 = 1101
제2절 재일 한민족의 이주과정 = 1104
1. 토지조사사업기(土地調査事業期 : 서기 1910~1918) = 1105
2. 산미증식계획기(産米增殖計劃期 : 서기 1921~1930) = 1107
3. 일제의 중국대륙 침략기(中國大陸侵略期 : 서기 1931~1938) = 1109
4. 전시체제기(戰時體制期 : 서기 1939~1945) = 1110
제3절 재일 한민족 유학생과 그 활동 = 1115
1. 도일 유학의 연혁 = 1115
2. 도일 유학생의 학생운동 단체 = 1120
3. 도일유학생과 2ㆍ8독립선언 = 1123
4. 재일유학생과 2ㆍ8독립선언 이후의 운동 = 1133
제4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일 한민족의 상황 = 1137
1. 종전 직후의 인구상황 = 1137
2. 그 후의 인구상황 = 1138
3. 재일 한민족의 귀화(歸化) = 1140
제5절 제2차 세계 대전후 재일 한민족 사회의 분열과 대립 = 1142
1. 광복 직후 한민족 사회의 상황 = 1142
2. 재일 대한민국거류민단과 그 활동 = 1146
3. 재일 조선인총연합회와 그 활동 = 1153
제6절 재일 한민족과 교육 = 1155
1. 서설 = 1155
2. 광복 후 민족교육운동과 그 제한 = 1156
3. 한ㆍ일 조약이후의 재일 한민족 교육에 대한 규제 = 1161
제7절 민단과 민족교육 = 1164
1. 연혁 = 1164
2. 교육목표와 방침 = 1166
3. 교육내용 = 1168
4. 민단의 50시간 의무교육 = 1172
제8절 조총련과 민족교육 = 1174
1. 조총련과 교육사업 = 1174
2. 조총련의 교육목적ㆍ방침ㆍ내용 = 1176
3. 조선대학(朝鮮大學) = 1180
제9절 일본인 학교 교포 자녀 취학 현황 = 1181
1. 취학 현황 = 1181
2. 일본인 학교내의 '민족교실' = 1182
3. 한일협정 후 일본 당국의 조치 = 1185
찾아보기 =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