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고대의 교육과 사회
제1장 고대의 교육과 인재양성
제1절 머리말 = 18
제2절 상고시대의 청년조직을 통한 교육 = 19
제3절 삼국시대의 교육기관과 그 교육의 내용 = 24
제4절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과 그 사회적 기능 = 33
제5절 맺는 말 -고대 교육의 특징- = 46
제2장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처지 -고구려사회의 노예제설 비판의 일환으로-
제1절 머리말 = 50
제2절 고구려 왕을 순장자 중 수묘인의 사회적 처지에 관한 최근의 학설 = 51
제3절 『삼국사기』소재 고구려 순장 관계기사 검토 = 56
제4절 중국과의 비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지지 = 61
제5절 맺음말 = 70
제2부 고대 사회의 발전과 통일
제1장 백제초기 소국의 형성과 연맹의 발전 -『삼국사기』의 기록을 중심으로-
제1절 머리말 = 76
제2절 십제소국의 형성과 그 요인 = 78
제3절 소국연맹기 백제의 성립과 그 정치 = 89
제4절 주변소국정복기 백제의 성립과 그 통치조직 = 100
제5절 맺음말 = 108
제2장 신라의 서울지역 진출과 삼국통일
제1절 신라의 국가적 발전과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의 성립 = 112
제2절 지증왕ㆍ법흥왕ㆍ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 확장 추이 = 116
제3절 진흥왕 때의 서울지역 장악 = 120
제4절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민족사적 의의 = 123
제3부 고대의 사회와 사상
제1장 보덕의 사상과 활동
제1절 머리말 = 134
제2절 보덕의 사상 = 136
제3절 보덕의 신분과 그의 활동 = 144
제4절 『보덕전』에 대한 검토 = 160
제5절 맺는 말 = 167
제2장 보덕의 불교수호운동과 열반사상
제1절 머리말 = 170
제2절 연개소문 정권의 불교 탄압과 이에 대한 보덕의 저항 = 172
제3절 보덕의 남하와 그 제자들의 활약 = 180
제4절 보덕의 열반사상과 그 사회적 의의 = 186
제5절 맺는 말 = 197
제3장 신라시대 『효경』의 수용과 그 사회적 의의
제1절 머리말 = 202
제2절 『효경』의 수용 = 204
제3절 『효경』주석본의 종류와 그 내용의 특징 = 221
제4절 골품체제하『효경』수용의 사회적 의의 = 231
제5절 맺는 말 = 243
제4장 신라하대 선종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제1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 248
제2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의 특징 = 252
〈부록〉 서평 / 차하순 ; 이기동 ; 이현혜 ; 이수건 ; 홍승기 공저, 『한국사시대구분론』 (소화, 1995) = 259
ABSTRACT = 277
찾아보기 = 287
제1부 고대의 교육과 사회
제1장 고대의 교육과 인재양성
제1절 머리말 = 18
제2절 상고시대의 청년조직을 통한 교육 = 19
제3절 삼국시대의 교육기관과 그 교육의 내용 = 24
제4절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과 그 사회적 기능 = 33
제5절 맺는 말 -고대 교육의 특징- = 46
제2장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처지 -고구려사회의 노예제설 비판의 일환으로-
제1절 머리말 = 50
제2절 고구려 왕을 순장자 중 수묘인의 사회적 처지에 관한 최근의 학설 = 51
제3절 『삼국사기』소재 고구려 순장 관계기사 검토 = 56
제4절 중국과의 비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지지 = 61
제5절 맺음말 = 70
제2부 고대 사회의 발전과 통일
제1장 백제초기 소국의 형성과 연맹의 발전 -『삼국사기』의 기록을 중심으로-
제1절 머리말 = 76
제2절 십제소국의 형성과 그 요인 = 78
제3절 소국연맹기 백제의 성립과 그 정치 = 89
제4절 주변소국정복기 백제의 성립과 그 통치조직 = 100
제5절 맺음말 = 108
제2장 신라의 서울지역 진출과 삼국통일
제1절 신라의 국가적 발전과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의 성립 = 112
제2절 지증왕ㆍ법흥왕ㆍ진흥왕 때 신라의 영토 확장 추이 = 116
제3절 진흥왕 때의 서울지역 장악 = 120
제4절 신라의 삼국통일과 그 민족사적 의의 = 123
제3부 고대의 사회와 사상
제1장 보덕의 사상과 활동
제1절 머리말 = 134
제2절 보덕의 사상 = 136
제3절 보덕의 신분과 그의 활동 = 144
제4절 『보덕전』에 대한 검토 = 160
제5절 맺는 말 = 167
제2장 보덕의 불교수호운동과 열반사상
제1절 머리말 = 170
제2절 연개소문 정권의 불교 탄압과 이에 대한 보덕의 저항 = 172
제3절 보덕의 남하와 그 제자들의 활약 = 180
제4절 보덕의 열반사상과 그 사회적 의의 = 186
제5절 맺는 말 = 197
제3장 신라시대 『효경』의 수용과 그 사회적 의의
제1절 머리말 = 202
제2절 『효경』의 수용 = 204
제3절 『효경』주석본의 종류와 그 내용의 특징 = 221
제4절 골품체제하『효경』수용의 사회적 의의 = 231
제5절 맺는 말 = 243
제4장 신라하대 선종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제1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 = 248
제2절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의 특징 = 252
〈부록〉 서평 / 차하순 ; 이기동 ; 이현혜 ; 이수건 ; 홍승기 공저, 『한국사시대구분론』 (소화, 1995) = 259
ABSTRACT = 277
찾아보기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