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Ⅰ. 미래예측, 의사결정, 정렬, 성과관리, 그리고 BSC = 3
Ⅱ. 공공부문에서의 인과관계의 불확실성과 복잡성 = 7
Ⅲ. 공공부문에서 일을 옳게 하는 것과 옳은 일을 하는 것 = 11
Ⅳ.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위한 공통지침: 옳은 일을 옳게 하는 것 = 14
제1편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1장 공공부문 성과관리와 생산성의 개념 = 21
제2장 지식정보화 사회와 BSC에 대한 이해 = 27
제3장 의사결정 모형과 성과관리 = 33
제4장 공공부문의 특성: 통제불가능한 영역('ε')에 대한 관리 = 39
참고문헌 = 47
제2편 조직의 심장을 찾아서: UOFO와 DBSC
제1장 무엇이 UOFO인가? = 53
제2장 UO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직 = 61
제3장 UO 발견을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축방법론 = 65
제4장 UO를 달성하기 위한 히트상품의 발견절차 = 90
제5장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 = 116
제6장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UOFO = 130
제7장 DBSC(Double Balanced Scorecard)를 위하여 = 135
제8장 많은 조직들이 성과관리에 실패하는 7가지 이유 = 139
참고문헌 = 154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무형의 자산관리
제1장 모호해지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선 = 159
제2장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 165
제3장 Alvin Toffler의 7가지 간과점 = 169
에필로그
Ⅰ. BSC를 버려라 = 185
Ⅱ. 고객을 버려라 = 186
Ⅲ. '작은정부-큰시장', '큰정부-작은시장'의 논리를 버려라 = 188
Ⅳ. 시스템에 의한 평가를 버려라 = 190
Ⅴ. Input에 대한 개념을 버려라 = 193
Ⅵ. 기존의 동기부여 방식을 버려라 = 195
Ⅶ. CUO를 모셔라 = 197
Ⅷ. 공공재의 비극과 결과적 가치의 중요성을 떼어놓지 말라 = 200
Ⅸ. 지표달성도에 의한 성과관리를 버려라 = 202
Ⅹ. 다시 한 번 옳은 일을 옳게 하자 = 210
XI. 대한민국 르네상스-UOFO! = 213
참고문헌 = 216
[부록]
(성과관리와 평가)
1. 전략집중형 조직에 기초한 다기능 연합조직 설계를 통한 UO 발견절차(예시) = 219
2. 미션에 기초한 결과지표 도출 절차(예시) = 234
3. 구성원들의 수용성 확보를 위한 BSC의 도입절차 = 237
4. 샬롯시 BSC 운영과 관련된 1차 인터뷰 = 245
5. 샬롯시 BSC 운영과 관련된 2차 인터뷰 = 252
6. 팀제와 BSC 정합성을 위한 제언 = 257
7. 공공부문 BSC에 대한 오해와 진실 = 262
8. 공공부문 BSC 운영과 관련한 25가지 Q&A = 265
9. 샬롯시의 PRD 절차 예시 = 282
(가슴으로 느끼는 UOFO)
10. 가슴으로 내린 판결문과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에서 내려진 판결문 = 297
11. 가슴으로 내리지 못한 판결문 예시와 그 원인진단 = 301
12. 가슴 저린 결과지표관리의 중요성 = 303
13. UOFO적 기질을 가진 구성원 = 306
찾아보기 = 309
프롤로그
Ⅰ. 미래예측, 의사결정, 정렬, 성과관리, 그리고 BSC = 3
Ⅱ. 공공부문에서의 인과관계의 불확실성과 복잡성 = 7
Ⅲ. 공공부문에서 일을 옳게 하는 것과 옳은 일을 하는 것 = 11
Ⅳ.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위한 공통지침: 옳은 일을 옳게 하는 것 = 14
제1편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1장 공공부문 성과관리와 생산성의 개념 = 21
제2장 지식정보화 사회와 BSC에 대한 이해 = 27
제3장 의사결정 모형과 성과관리 = 33
제4장 공공부문의 특성: 통제불가능한 영역('ε')에 대한 관리 = 39
참고문헌 = 47
제2편 조직의 심장을 찾아서: UOFO와 DBSC
제1장 무엇이 UOFO인가? = 53
제2장 UO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직 = 61
제3장 UO 발견을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축방법론 = 65
제4장 UO를 달성하기 위한 히트상품의 발견절차 = 90
제5장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 = 116
제6장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UOFO = 130
제7장 DBSC(Double Balanced Scorecard)를 위하여 = 135
제8장 많은 조직들이 성과관리에 실패하는 7가지 이유 = 139
참고문헌 = 154
제3편 공공부문의 위기와 기회: 무형의 자산관리
제1장 모호해지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선 = 159
제2장 얼라인먼트와 유연성, 그리고 원칙 = 165
제3장 Alvin Toffler의 7가지 간과점 = 169
에필로그
Ⅰ. BSC를 버려라 = 185
Ⅱ. 고객을 버려라 = 186
Ⅲ. '작은정부-큰시장', '큰정부-작은시장'의 논리를 버려라 = 188
Ⅳ. 시스템에 의한 평가를 버려라 = 190
Ⅴ. Input에 대한 개념을 버려라 = 193
Ⅵ. 기존의 동기부여 방식을 버려라 = 195
Ⅶ. CUO를 모셔라 = 197
Ⅷ. 공공재의 비극과 결과적 가치의 중요성을 떼어놓지 말라 = 200
Ⅸ. 지표달성도에 의한 성과관리를 버려라 = 202
Ⅹ. 다시 한 번 옳은 일을 옳게 하자 = 210
XI. 대한민국 르네상스-UOFO! = 213
참고문헌 = 216
[부록]
(성과관리와 평가)
1. 전략집중형 조직에 기초한 다기능 연합조직 설계를 통한 UO 발견절차(예시) = 219
2. 미션에 기초한 결과지표 도출 절차(예시) = 234
3. 구성원들의 수용성 확보를 위한 BSC의 도입절차 = 237
4. 샬롯시 BSC 운영과 관련된 1차 인터뷰 = 245
5. 샬롯시 BSC 운영과 관련된 2차 인터뷰 = 252
6. 팀제와 BSC 정합성을 위한 제언 = 257
7. 공공부문 BSC에 대한 오해와 진실 = 262
8. 공공부문 BSC 운영과 관련한 25가지 Q&A = 265
9. 샬롯시의 PRD 절차 예시 = 282
(가슴으로 느끼는 UOFO)
10. 가슴으로 내린 판결문과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에서 내려진 판결문 = 297
11. 가슴으로 내리지 못한 판결문 예시와 그 원인진단 = 301
12. 가슴 저린 결과지표관리의 중요성 = 303
13. UOFO적 기질을 가진 구성원 = 306
찾아보기 = 309